"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Trauma’s sometimes used somewhat loosely and promiscuously to refer to things that are not traumatic.
‘트라우마’라는 단어는 트라우마가 아닌 일에도 너무 쉽게, 마구잡이로 쓰이곤 합니다.
So people will have a difficult experience and say “I was traumatized.”
그래서 어떤 사람은 단지 힘든 일을 겪고 “외상 입었어”라고 말합니다.
No, they weren’t. They just had a difficult experience.
하지만 그건 외상이 아니라 단순히 힘든 경험일 뿐입니다.
And this — one of my colleagues points out — all trauma is stressful, but not every stress is traumatic.
제 동료는 이렇게 말합니다. 모든 트라우마는 스트레스지만, 모든 스트레스가 트라우마는 아니라고요.
So sometimes people use the word to refer to difficult experiences, which is not the same as being traumatized.
즉, 사람들이 힘들었다고 해서 ‘트라우마’라는 단어를 쓰는 건 정확하지 않습니다.
And on the other hand, where it really matters, which is in the area of health that you and I are both concerned in — whether it’s physical or mental health —
반면에 정말 중요한 영역, 바로 우리 모두가 관심을 가지는 신체적·정신적 건강에서는
trauma is not understood nearly enough or used nearly enough.
트라우마가 제대로 이해되거나 충분히 다뤄지지 않고 있습니다.
So that to my mind, a lot of conditions of mind and body are actually very much trauma-related,
그래서 저는 많은 정신적, 신체적 질환이 외상과 깊이 관련 있다고 봅니다.
without the healing profession — particularly the medical profession — actually recognizing it.
그런데 의료계는 이 사실을 거의 인식하지 못합니다.
So trauma — it comes in a Greek word for wounding.
‘트라우마’는 원래 그리스어로 ‘상처’를 뜻합니다.
Trauma is a wound.
즉, 트라우마는 하나의 상처입니다.
It’s a psychic wound that leaves a scar.
그것은 우리 마음에 깊은 흉터를 남깁니다.
It leaves an imprint in your nervous system, in your body, in your psyche.
그 흔적은 신경계, 몸, 정신에 모두 남습니다.
And then shows up in multiple ways that are not helpful to you later on.
그리고 이후 삶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드러나며 해를 끼치게 되죠.
And in its basic sense, trauma is a psychic wound.
결국 트라우마는 ‘보이지 않는 마음의 상처’입니다.
And if you look at the nature of a wound — on the one hand, if it’s raw and open, it really hurts.
아직 덜 아문 상처는 누가 건드리기만 해도 심하게 아픕니다.
So when somebody touches that wound that you sustained a long time ago but it hasn’t healed yet,
그래서 누군가 오래전에 당신이 입었지만 아직 아물지 않은 상처를 건드릴 때,
you’ll react like you’re just being tormented all over again.
당신은 마치 다시 고통을 겪는 것처럼 반응하게 됩니다.
This happens in relationships all the time.
이런 일은 관계 속에서 항상 일어납니다.
On the other hand, wounds scar over, and the scar tissue has certain features — it’s very hard, it’s rigid.
반면에, 상처는 흉터로 남고, 그 흉터 조직은 특정한 특성을 지닙니다 — 매우 단단하고, 뻣뻣합니다.
So it’s not flexible — so people tend to be rigid when they’re traumatized.
그래서 유연하지 않으며 — 사람들은 외상을 입었을 때 경직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It also doesn’t grow — so trauma very often stops emotional growth and development.
그것은 또한 자라지 않기 때문에 — 외상은 종종 감정적인 성장과 발달을 멈추게 합니다.
It’s very raw and painful.
그것은 매우 생생하고 고통스럽습니다.
On the other hand, it even lacks sensation because scar tissue doesn’t have nerve endings in it.
반대로, 흉터 조직에는 신경 말단이 없어 감각조차 없습니다.
The trauma then — just to finish — is not what happened to you.
결론적으로, 트라우마는 당신에게 일어난 일이 아닙니다.
So trauma is not the difficult incidents — like trauma is not the war, it’s not the — in my case — the Second World War when I was born, or what happened to me.
즉, 트라우마는 그 어려운 사건들이 아닙니다 — 전쟁도 아니고, 제 경우에는 제가 태어났던 제2차 세계대전도, 제게 일어난 일도 아닙니다.
Trauma is not the abuse that people experienced. Trauma is not the pain that they felt.
트라우마는 사람들이 겪은 학대가 아니고, 그들이 느낀 고통도 아닙니다.
Trauma is the wound that is sustained as a result.
트라우마는 그 결과로 입은 상처입니다.
So the trauma wasn’t, for example, the sexual abuse. Trauma was the wound that the person sustained as a result of having been abused.
그러니까 트라우마는 예를 들어 성적 학대 자체가 아니라, 그 학대를 당함으로써 생긴 상처입니다.
That’s the good news, Jay — because if trauma is the wound that we sustained, it can be healed at any time.
그게 좋은 소식이에요, 제이 — 왜냐하면 트라우마가 우리가 입은 상처라면, 그것은 언제든지 치유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If trauma is what happened to me 75 years ago or 78 years ago — it happened.
만약 트라우마가 75년 전 혹은 78년 전에 나에게 일어난 일이라면 — 그것은 이미 일어난 일입니다.
It never not will have happened.
그 일은 절대 ‘일어나지 않았던 일’이 될 수 없습니다.
But if the wound is what happened to people inside — is the result — that can be healed.
하지만 만약 상처가 사람들 안에서 일어난 일, 그 결과라면 — 그것은 치유될 수 있습니다.
Now what trauma does is it disconnects us.
트라우마가 하는 일은 우리를 분리시키는 것입니다.
It splits us off from our true self and disconnects us from our emotions, even from our bodies.
트라우마는 우리를 진정한 자아로부터, 감정으로부터, 심지어 신체로부터도 분리시킵니다.
So if that disconnection is the essence of trauma, then the healing is that coming together of the self to become a whole again.
그래서 그 분리가 트라우마의 본질이라면, 치유는 다시 자아가 하나로 모여 온전해지는 것입니다.
And healing is often used synonymously with cure — fair enough — but strangely enough in my view, and not just in my view,
그리고 치유는 종종 ‘치료’와 같은 의미로 사용됩니다 — 그럴 수 있죠 — 하지만 제 생각에, 그리고 제 생각만이 아니라,
people can be cured from an illness without becoming whole, without healing.
사람들은 병을 고칠 수는 있어도 온전해지지 않거나, 치유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People sometimes also become healed without being cured.
사람들은 때로 병이 낫지 않아도 치유될 수 있습니다.
So in essence, healing is not the absence of a physical illness,
그래서 본질적으로, 치유는 신체 질병의 부재가 아닙니다.
but it’s the integrity of a person who’s no longer split off from themselves.
오히려 자신과 분리되지 않은 사람의 온전함입니다.
I’m intrigued by — how does time… we’ve always heard “time will heal,” right? Like that’s a whole cliché.
저는 궁금한 게 있어요 — 시간은 어떻게 작용하나요… 우리는 항상 “시간이 치유해줄 거야”라는 말을 들어왔잖아요? 완전 흔한 말이죠.
It won’t.
그렇지 않습니다.
So let’s go back to the wound and talk about — is there any relationship between time and wounds or unhealed wounds?
그럼 다시 상처로 돌아가서 이야기해볼게요 — 시간과 상처 혹은 치유되지 않은 상처 사이에는 어떤 관계가 있을까요?
And what is that relationship?
그 관계는 무엇일까요?
How is that wound being formed internally — as you said trauma is not what happens to you, it’s what happens inside of you.
그 상처는 내부에서 어떻게 형성되는 걸까요 — 당신이 말했듯이 트라우마는 당신에게 일어난 일이 아니라, 당신 안에서 일어난 일이잖아요.
That which is happening inside of you — what is happening with that wound over time when it’s left?
당신 안에서 일어나고 있는 일 — 그 상처가 시간이 지나도록 방치된다면 어떻게 될까요?
What happens is that it may lie dormant for a long time, and then something occurs that touches it.
그 상처는 오랫동안 잠복해 있을 수 있고, 그러다 어떤 일이 그것을 건드립니다.
It’s when we talk about people being triggered, for example — something touches the unhealed wound inside you, and you react.
예를 들어 우리가 ‘트리거된다’고 말할 때 — 치유되지 않은 상처가 건드려지면 당신은 반응하게 됩니다.
You’ve just been wounded for the first time — again.
당신은 다시, 마치 처음으로 상처를 입은 것처럼 느낍니다.
the unhealed wounds, you may think you’ve gone past them,
치유되지 않은 상처들이 있었는데, 그것들을 극복했다고 생각했지만,
but then something will happen that touches that wound, and you react like you’re being tormented all over again.
그러다 어떤 일이 그 상처를 건드리면, 당신은 다시 고통을 받는 것처럼 반응하게 됩니다.
Time does not automatically heal.
시간은 자동으로 치유해주지 않습니다.
Time maybe scars it over.
시간은 흉터를 덮는 역할을 할 수도 있습니다.
Time maybe makes it less available to immediate memory.
시간은 그 기억을 당장은 떠오르지 않게 만들 수도 있습니다.
But should something happen to evoke it, it’s going to show up in its full painful impact.
하지만 그 상처를 자극하는 일이 생긴다면, 그것은 완전한 고통으로 다시 드러납니다.
Until you do some work to heal, time by itself does not heal — not spontaneously, not automatically.
당신이 치유를 위한 노력을 하지 않는 이상, 시간 그 자체로는 치유되지 않습니다 — 저절로, 자동으로 되는 일은 아닙니다.
Vulnerability itself is absolutely essential for growth.
취약성 자체는 성장에 절대적으로 필수적입니다.
So vulnerability — the word itself — comes from the Latin word “vulnerary,” to wound.
‘Vulnerability’라는 단어는 라틴어 ‘vulnerary’ — 상처를 입히다 — 에서 유래했습니다.
So vulnerability is our capacity to be wounded.
그래서 취약성은 우리가 상처를 입을 수 있는 능력입니다.
Now the reality is that as human beings, we’re all vulnerable from conception until death.
현실은, 인간으로서 우리는 잉태되는 순간부터 죽을 때까지 모두 취약하다는 것입니다.
But when we’re hurt in childhood and the vulnerability is too painful to bear,
하지만 어린 시절에 상처를 받고 그 취약성이 너무 고통스러우면,
we will try and shut down our vulnerability.
우리는 그 취약성을 차단하려고 합니다.
And for example, by being right — because if I’m right, then I’m powerful, and I can’t be assailed anymore.
예를 들어, 항상 옳으려는 태도로요 — 내가 옳다면 강한 존재가 되고, 더 이상 공격받지 않을 수 있으니까요.
But when we do that, we stop growing.
하지만 그렇게 되면 우리는 성장을 멈추게 됩니다.
Everything in nature grows only where it’s vulnerable.
자연 속 모든 것은 오직 취약한 부분에서만 자랍니다.
So a crustacean animal like a crab inside a hard shell — it can’t grow.
게처럼 단단한 껍질을 가진 갑각류 동물은 자랄 수 없습니다.
It has to molt and make itself very vulnerable to be able to grow.
성장하려면 탈피하고 스스로를 아주 취약하게 만들어야 합니다.
A tree doesn’t grow where it’s hard and thick, does it?
나무도 단단하고 두꺼운 부분에서는 자라지 않죠?
It grows where it’s soft and green and vulnerable.
나무는 부드럽고 푸르며 취약한 곳에서 자랍니다.
The vulnerability is absolutely essential for growth.
취약성은 성장에 정말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And for vulnerability, you gotta let go of those defenses — such as being right —
그리고 취약해지려면, 예를 들면 ‘옳으려는 자세’ 같은 방어기제를 내려놔야 합니다.
that you developed as a child in order to protect yourself from the pain.
그건 당신이 고통으로부터 자신을 지키기 위해 어린 시절에 만든 방어기제이기 때문이죠.
So that’s why we talk about “growing pains” — because vulnerability is necessary for growth.
그래서 우리가 “성장통”이라는 말을 하는 이유입니다 — 성장에는 취약함이 필요하니까요.
Without vulnerability, there is no growth.
취약성이 없다면 성장은 없습니다.
Wow — what you just said, that is so beautiful.
와 — 방금 말씀하신 건 정말 아름답네요.
It has to do with the anxieties of the parents.
그것은 부모의 불안과 관련이 있습니다.
That kid is going to download the anxieties of their parents.
아이들은 부모의 불안을 그대로 받아들입니다.
So mollycoddled kids become very anxious and very scared and very ungrounded in themselves.
그래서 지나치게 감싸주는 아이들은 매우 불안하고, 겁이 많고, 자기 중심이 없는 사람이 됩니다.
On the other hand, it’s not possible to love kids too much.
반면에, 아이를 너무 사랑하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In fact, it was a very interesting study where they looked at a large number of mothers and their infants,
실제로 많은 어머니들과 아기들을 대상으로 한 매우 흥미로운 연구가 있었습니다.
very in the early few months.
태어난 지 몇 달 안 된 아주 초기의 시점이었습니다.
And most mothers in this study were seen as really good mothers, and some were a bit distant,
이 연구에서 대부분의 어머니들은 매우 좋은 어머니로 보였고, 일부는 약간 거리를 두었습니다.
and for their own — because of their own traumas — not as available.
그들은 자신의 트라우마 때문에 아이에게 충분히 다가가지 못했습니다.
And a small group were seen as like super loving in how they doted over their infants.
그리고 소수의 어머니들은 아기를 매우 애정 깊게 보살펴주는 ‘사랑 많은’ 유형이었습니다.
Okay, 30 years later they looked at these infants when they were adults.
좋아요, 30년 후에 이 아이들이 성인이 된 후 다시 관찰했습니다.
The ones that were most emotionally grounded and healthy were the ones who received the super loving.
가장 감정적으로 안정되고 건강했던 사람들은 바로 ‘사랑’을 받은 아이들이었습니다.
So there’s a difference between — you can’t love a child too much — what you can.
그래서 차이가 있습니다 — 아이를 너무 사랑하는 건 불가능합니다 — 하지만 할 수 있는 건,
So the mollycoddling that you describe is not a child being loved too much.
그러니까 당신이 말하는 과잉보호는 아이를 지나치게 사랑하는 게 아닙니다.
It’s a child who has to endure the anxieties of the parents.
그것은 부모의 불안을 감당해야 하는 아이입니다.
And you know there’s a very famous example in world history of someone whose parents wanted to protect him from suffering — was the Buddha.
그리고 세계사에서 고통으로부터 자녀를 보호하려 했던 아주 유명한 사례가 있습니다 — 바로 부처입니다.
He never saw death. He never saw illness. He never saw old age.
그는 죽음도, 병도, 노화도 보지 못했습니다.
Until he goes out and sees a dying person, sees a very poor person, a very ill person, a very old person.
그가 밖으로 나가 죽어가는 사람, 매우 가난한 사람, 매우 아픈 사람, 매우 늙은 사람을 볼 때까지 말입니다.
He realizes there’s suffering in the world.
그는 세상에 고통이 존재한다는 것을 깨닫습니다.
So all the mollycoddling he received could not ultimately protect him from the awareness of pain and vulnerability.
그래서 그가 받았던 모든 과잉보호는 결국 고통과 취약성에 대한 인식으로부터 그를 지켜주지 못했습니다.
Although if I talk about the Buddha, I also have to say that his own trauma is often not talked about —
하지만 부처에 대해 말하자면, 그의 트라우마도 자주 언급되지 않죠 —
because his mother died when he was a week old or right after birth, didn’t she?
왜냐하면 그의 어머니는 그가 태어난 지 일주일 만에, 또는 출생 직후에 세상을 떠났으니까요, 그렇죠?
So even if they try to protect him, they couldn’t, you know?
그러니까 아무리 그를 보호하려 해도, 그럴 수 없었던 겁니다.
But so anyway, mollycoddling has got nothing to do with the needs of the child.
어쨌든 과잉보호는 아이의 욕구와는 아무런 상관이 없습니다.
Yeah, that’s a great differentiation.
맞아요, 정말 중요한 구분입니다.
It has to do with the unmet needs of the parents.
그건 부모 자신의 충족되지 않은 욕구와 관련 있습니다.
And as soon as parents project their needs onto the child,
그리고 부모가 자신의 욕구를 아이에게 투영하는 순간,
no longer see the child as they exist — they see their own anxieties, their own fears, and their own fantasies.
아이를 있는 그대로 보지 않고, 자신의 불안, 두려움, 환상을 보게 됩니다.
Naturally, that’s going to hurt the child.
당연히 그것은 아이에게 상처를 줍니다.
Yeah, that’s such a great differentiator.
맞아요, 정말 중요한 차이점이에요.
That’s — again, it’s a trauma response.
그건 — 다시 말하지만, 트라우마 반응입니다.
It’s a trauma.
트라우마입니다.
Yeah, it’s a trauma response.
맞아요, 트라우마 반응이에요.
How and when should children, young adults be exposed to pain in order to develop their vulnerability —
어린이와 청소년들은 취약성을 기르기 위해 언제, 어떻게 고통을 겪어야 할까요 —
There’s no reason to deliberately expose children to pain, because they’re going to experience it.
아이들을 일부러 고통에 노출시킬 이유는 없습니다. 그들은 어차피 고통을 경험하게 될 테니까요.
The question is how do we support them.
문제는 우리가 어떻게 그들을 지지하느냐는 것입니다.
And they do you know why?
그리고 그들이 왜 그런지 아세요?
Because their puppy’s gonna die.
왜냐하면 그들의 강아지는 죽을 것이고,
Because grandfather is going to die.
할아버지도 돌아가실 것이고,
Because some neighborhood friend won’t want to play with them.
이웃 친구가 함께 놀고 싶어하지 않을 것이고,
Because they’re not going to get the toy they wanted.
그들이 원했던 장난감을 얻지 못할 것이고,
Because some disappointment will happen, you know.
어떤 실망스러운 일이 일어날 것이기 때문입니다.
So pain is inevitable.
그래서 고통은 피할 수 없습니다.
But it doesn’t have to become traumatic.
하지만 그 고통이 반드시 트라우마가 되어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If the child is supported in experiencing the pain and moving past it.
아이에게 고통을 겪고 그것을 넘어설 수 있도록 지지가 주어진다면 말이죠.
So we don’t have to impose or bring pain into a kid’s life to train them — life’s gonna do that.
그래서 아이를 단련시키기 위해 고통을 강제로 줄 필요는 없습니다 — 인생이 그 역할을 할 테니까요.
The question is how are we to interact with them while they’re enduring the pain.
문제는 그들이 고통을 겪는 동안, 우리가 어떻게 그들과 상호작용할 것인가입니다.
And so grief is essential for life,
그래서 슬픔은 삶에 있어서 필수적입니다.
because grief is coming to terms with the fact that something is gone — is not going to come back.
왜냐하면 슬픔은 어떤 것이 사라졌고 다시 돌아오지 않는다는 사실을 받아들이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You know, so, I mean, a child experiences grief.
그러니까, 제 말은, 아이도 슬픔을 경험합니다.
And, you know, I said that the need of the child is to be able to experience all the emotions.
그리고 말씀드렸듯이, 아이에게 필요한 것은 모든 감정을 경험할 수 있는 능력입니다.
They need to be able to experience the grief as well.
슬픔 또한 경험할 수 있어야 합니다.
And it doesn’t matter whether from adult eyes we see that loss as major or minor.
그리고 어른의 시선에서 그 상실이 크건 작건 중요하지 않습니다.
It’s a question of how’s the child experiencing it.
중요한 것은 아이가 그것을 어떻게 느끼고 있는가입니다.
And for a small child, even what looks like small losses can be very painful.
작은 아이에게는 어른 눈엔 사소해 보이는 상실도 매우 고통스러울 수 있습니다.
Well, then we don’t make the child wrong for it.
그래서 우리는 아이의 감정을 잘못된 것이라 하지 않습니다.
We don’t say, “Get over it. There’s nothing wrong.”
“그만해, 별일 아니야”라고 말하지 않습니다.
“Think of all the other children who are suffering.”
“세상에는 더 고통받는 아이들이 많잖아” 같은 말도 하지 않습니다.
All that kind of relativistic shaming stuff.
그런 상대적 비교와 수치심을 주는 말들은 말이죠.
You say, “Oh, it really hurts, doesn’t it?”
우리는 이렇게 말합니다. “정말 아프지, 그렇지?”
“You really wish Grandpa would be here with you.”
“할아버지가 여기 함께 있었으면 좋겠지.”
“You really wish Mom and Dad weren’t leaving each other.”
“엄마랑 아빠가 헤어지지 않았으면 좋겠지.”
It hurts.
그건 정말 아픈 일이야.
In other words, you just validate their emotions.
다시 말해, 우리는 아이의 감정을 인정해주는 겁니다.
By doing so, you help them accept the loss.
그렇게 하면 아이는 상실을 받아들이게 됩니다.
And you help them move through.
그리고 그것을 지나갈 수 있도록 돕습니다.
And you help them learn that they can endure difficult emotions without having to become falling to pieces.
또한 아이는 힘든 감정도 무너지지 않고 견딜 수 있다는 것을 배우게 됩니다.
So we have a circuitry for grief in our brains.
그래서 우리는 뇌 속에 슬픔을 위한 회로를 가지고 있습니다.
It needs to be allowed to do its work.
그 회로는 작동할 수 있도록 허용되어야 합니다.
A therapist once told me: “If your parents couldn’t hold you emotionally,
한 치료사가 제게 이렇게 말했습니다: “당신의 부모가 감정적으로 당신을 안아주지 못했다면,
you’ll create a mind to hold yourself instead.”
당신은 스스로를 붙잡기 위한 ‘마음’을 만들어내게 될 겁니다.”
So we find safety in that mental structure we built.
그래서 우리는 그렇게 만들어낸 마음의 구조 안에서 안정을 느끼죠.
But here’s the catch — that mind is built to defend.
그런데 문제는 그 마음이 방어를 위해 만들어졌다는 겁니다.
It’s formed in response to pain — not just logic or love.
그건 논리나 사랑이 아니라 고통에 대한 반응으로 형성됩니다.
It’s scared of pain, so it protects you from ever feeling it again.
고통을 두려워해서, 다시는 그것을 느끼지 않도록 막아버리는 거예요.
That’s why it worries, overthinks, avoids vulnerability and change.
그래서 걱정하고, 과하게 생각하고, 취약함과 변화를 피하려고 하죠.
Because deep down, it remembers the pain that was never held in childhood.
왜냐하면 마음속 깊은 곳엔 어릴 적 다뤄지지 않았던 고통이 자리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Addiction is one example of this.
중독은 이런 마음의 한 예입니다.
Keith Richards once said: “Addiction is the contortions you go through just not to be yourself.”
키스 리처즈는 이렇게 말했죠: “중독은 잠시라도 자기 자신이 되지 않기 위한 몸부림이다.”
Why would someone not want to be themselves? Because it hurts.
왜 어떤 사람은 자기 자신으로 존재하기를 거부할까요? 너무 아프기 때문입니다.
So the mind protects us with ideas, beliefs, desires — even false needs.
그래서 마음은 개념, 신념, 욕망, 심지어 가짜 욕구로 우리를 지키려 합니다.
It’s terrified to let go — because then, we fear we’ll be helpless again.
우리는 마음을 놓는 걸 무서워합니다 — 그럼 다시 무력한 아이가 될까봐요.
So this mental structure becomes our shield — but also our prison.
이 마음의 구조는 우리의 방패가 되지만, 동시에 감옥이 되기도 하죠.
That’s why two people can respond so differently to the same situation.
그래서 같은 일을 겪고도 사람들이 전혀 다른 방식으로 반응하는 겁니다.
One avoids drugs forever; the other becomes addicted.
한 사람은 약을 멀리하고, 다른 사람은 중독으로 빠지죠.
Because no two children grow up with the exact same parents — even in the same home.
같은 집에 살아도, 같은 부모를 가진 아이는 둘이 없습니다.
And no two children have the same childhoods, even — even though they grew up in the same biological family.
그리고 어떤 두 아이도 같은 어린 시절을 보내지 않았습니다, 비록 같은 생물학적 가족 안에서 자랐더라도 말이죠.
Because first of all, one of them came along at a different time, so they had a different set of experiences.
우선, 각 아이는 서로 다른 시기에 태어나 서로 다른 경험을 하게 되니까요.
This is the birth order that affects how children experience the parents.
이것이 바로 ‘출생 순서’로, 아이들이 부모를 어떻게 경험하는지에 영향을 줍니다.
Then there’s degrees of sensitivities — so some people are born more sensitive than others.
그리고 사람마다 ‘민감성’의 정도가 다릅니다 — 어떤 사람은 타인보다 더 민감하게 태어납니다.
Sensitive, again, comes from the Latin word “sentire,” to feel.
‘Sensitive(민감한)’는 라틴어 ‘sentire(느끼다)’에서 왔습니다.
So the more sensitive we are, the more we feel.
우리가 더 민감할수록, 더 많이 느낍니다.
Given the right environment — nourishing, supportive, grounded environment —
양육적이고, 지지적이며, 안정적인 환경이 주어진다면
that sensitive child just becomes an intuitive, a creator, an artist, an actor, a leader.
그 민감한 아이는 직관적인 사람, 창작자, 예술가, 배우, 리더가 될 수 있습니다.
But in an environment where there’s pain,
하지만 고통이 있는 환경에서는,
that sensitive child suffers more pain than a less sensitive one.
그 민감한 아이는 덜 민감한 아이보다 더 많은 고통을 겪습니다.
So you’ll have more of a reason to escape from the pain.
그래서 도피하고자 하는 이유가 더 강해지죠.
It’s not so much that he imitates the behavior of the adult —
그 아이가 어른의 행동을 단순히 모방해서가 아니라 —
it’s that he takes the same escape route.
같은 도피 경로를 선택했기 때문입니다.
And actions are always, in my view at least, an escape route from pain.
그리고 행동이란 건, 제 생각에는 언제나 고통으로부터의 탈출구입니다.
So it has to do with birth order, with family circumstances, with degrees of sensitivity.
그래서 이건 출생 순서, 가정 환경, 민감성의 정도와 관련이 있습니다.
Having said that, the other child who doesn’t become an addict hasn’t necessarily escaped.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중독자가 되지 않은 아이가 고통에서 벗어났다는 뜻은 아닙니다.
They just may have developed different coping mechanisms.
그들은 단지 다른 ‘대처 기제’를 발달시켰을 뿐입니다.
They might have become one of these people that are going to make a big success in the world out of themselves,
그들은 세상에서 큰 성공을 이루겠다고 다짐한 사람이 되었을 수도 있고,
and they’re never going to fail, and they have to be the best.
절대 실패하지 않겠다, 반드시 최고가 되겠다는 사람이 되었을 수 있습니다.
And they’re going to suffer too — they just might suffer in a different way.
하지만 그들 또한 고통받습니다 — 단지 그 방식이 다를 뿐입니다.
So what I’m saying to people is: acknowledge your own suffering,
그래서 제가 사람들에게 말하는 건: 자신의 고통을 인정하세요,
but to look to the wisdom within toward the healing.
하지만 치유를 향한 내면의 지혜를 바라보라는 겁니다.
And it’s there — that wisdom to heal is inside cultures and societies, peoples, and inside individuals as well.
그리고 그 지혜는 존재합니다 — 치유의 지혜는 문화, 사회, 사람들, 그리고 개인 안에도 있습니다.
We both have to acknowledge the suffering and not get stuck on it.
우리는 고통을 인정하되, 거기에 머물러 있어선 안 됩니다.
But then to look for the healing capacity within.
그 대신 내면의 치유 능력을 찾아야 합니다.
And you certainly can’t wait for the world to —
그리고 분명히, 세상이 바뀌길 기다릴 순 없습니다 —
it’s nice, but you can’t wait for it.
물론 세상이 변하면 좋지만, 기다릴 순 없습니다.
Otherwise, you’re dependent on somebody else for your healing.
그렇지 않으면, 당신의 치유는 남에게 의존하게 됩니다.
First question is What is the best advice you’ve ever received on healing or trauma?
첫 번째 질문입니다: 치유나 트라우마에 관해 지금까지 받은 최고의 조언은 무엇인가요?
Authenticity.
진정성입니다.
Expand — I’m going to ask you to expand because I want to hear.
좀 더 설명해 주세요 — 그 얘기를 꼭 듣고 싶어요.
Now be yourself. You know, um…
“너 자신이 되어라.”
When I was a very confused young man and I was acting out all over the place,
제가 정말 혼란스러운 젊은 시절, 방황하며 엉망진창일 때,
I had an aunt who herself was a very traumatized person.
제게는 트라우마가 깊은 이모가 있었어요.
She was an Auschwitz survivor, and she came back weighing 80 pounds.
그녀는 아우슈비츠 생존자였고, 돌아올 때 몸무게가 80파운드밖에 되지 않았죠.
She was an ophthalmologist.
그녀는 안과 의사였습니다.
And she saw me being inauthentic, and she quoted — she sent me this passage from Hamlet.
그녀는 제 모습이 진정하지 않다는 걸 보고 햄릿의 한 구절을 보내주었죠.
That famous phrase: “Unto thyself be true.”
유명한 구절이죠: “네 자신에게 진실하라.”
“And it follows as the night the day, then thou canst not be false to any man.”
“밤이 낮을 따르듯, 네가 너 자신에게 진실하다면 그 누구에게도 거짓될 수 없다.”
So be true to yourself.
그러니 네 자신에게 진실하라.
Without going into the details, that woman couldn’t be true to herself because of the nature of this culture.
자세한 얘긴 하지 않겠지만, 그녀는 이 문화의 특성 때문에 자신에게 진실할 수 없었죠.
But that advice has always stayed with me.
하지만 그 조언은 늘 제 마음속에 남아 있었습니다.
Yeah, so authenticity has been a major theme in my life.
그래서 진정성은 제 인생의 핵심 주제가 되었어요.
It’s amazing. I love that. That’s a great answer.
정말 멋져요. 너무 좋은 답변입니다.
Okay, question number two. What’s the worst advice you’ve ever heard or received around trauma and healing?
좋아요, 두 번째 질문입니다. 치유나 트라우마와 관련해 들었거나 받은 최악의 조언은 무엇인가요?
Is it okay if nothing comes up for me?
아무것도 떠오르지 않아도 괜찮을까요?
Yeah, if you’ve never had any bad advice, that’s good.
물론이죠. 나쁜 조언을 안 받은 거라면 오히려 좋은 일이죠.
What is something that you once valued that you no longer value?
예전에 중요하게 여겼지만 지금은 더 이상 중요하지 않게 된 것은 무엇인가요?
This is almost true: what other people think of me.
거의 사실인데요 — 다른 사람이 나를 어떻게 생각하는가입니다.
Yeah, I’d be lying if I said I didn’t care. But at the same time, I can do without it.
신경 안 쓴다고 하면 거짓말일 거예요. 하지만 없어도 괜찮습니다.
It’s still there, but I’m not attached to it.
아직 남아 있지만, 집착하지 않습니다.
Yeah. Question number four: How would you define your current purpose in life?
좋습니다. 네 번째 질문입니다: 당신의 현재 삶의 목적을 어떻게 정의하시겠어요?
My purpose is that people are free from limitations of culture, and also the limitations of their own past and their own minds.
제 목적은 사람들이 문화의 한계, 과거의 한계, 자신의 마음의 한계에서 벗어나는 것입니다.
And also free politically. So my purpose is that people are free.
정치적으로도 자유로워지는 것. 그래서 제 목적은 ‘자유로운 사람들’입니다.
That’s beautiful.
아름다운 말씀이에요.
And fifth and final question: If you could create one law that everyone in the world had to follow, what would it be?
그리고 다섯 번째, 마지막 질문입니다: 세상 모든 사람이 따라야 하는 법 하나를 만든다면, 어떤 법을 만들고 싶으신가요?
One rule? One rule, one law, one principle.
하나의 규칙, 하나의 법, 하나의 원칙입니다.
If it was coercing and creating the impression that one had to do anything, that already defeats its own purpose.
만약 어떤 일을 ‘해야만 한다’는 인상을 주게 되면, 그 자체로 그 목적이 무너진다고 생각해요.
Because as soon as somebody has to — it’s almost like, just lean forward for a minute, would you? And put out your hand?
누군가가 ‘반드시 해야 해’라고 느끼는 순간 — 자, 잠깐 몸을 숙이고 손을 내밀어보세요.
Yeah, what do you do as soon as I push on your hand?
제가 당신 손을 밀면, 당신은 어떻게 반응하죠?
You resist.
당신은 저항하죠.
So as soon as people sense that there’s a “had to,” there’s gonna be resistance.
그래서 누군가 ‘해야만 한다’는 걸 느끼는 순간, 저항이 생깁니다.
So I’m going to decline answering that.
그래서 저는 이 질문에 답하지 않겠습니다.
That’s a great answer. We’ve never had that on the show. I love that answer.
정말 멋진 답변이에요. 이 쇼에서 그런 답은 처음입니다. 너무 좋네요.
That’s a brilliant answer. That’s fantastic.
정말 탁월하고 환상적인 답변이에요.
I love the way you think.
당신의 사고방식이 정말 마음에 듭니다.
📚 가보마테 저서
-아이의 손을 놓지 마라
https://link.coupang.com/a/cnbwwM
NSB9788989847625 새책-스테이책터 [아이의 손을 놓지 마라] 소셜 미디어와 게임 문화의 영향을 다룬
쿠팡에서 NSB9788989847625 새책-스테이책터 [아이의 손을 놓지 마라] 소셜 미디어와 게임 문화의 영향을 다룬 개정판-북라인-고든 뉴펠드.가보 마테 구매하고 더 많은 혜택을 받으세요! 지금 할인중
www.coupang.com
-정상이라는 환상
https://link.coupang.com/a/cnbqTm
정상이라는 환상 - 논술/문학 | 쿠팡
쿠팡에서 정상이라는 환상 구매하고 더 많은 혜택을 받으세요! 지금 할인중인 다른 논술/문학 제품도 바로 쿠팡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www.coupang.com
-몸이 아니라고 말할 때
https://link.coupang.com/a/cnbvT1
몸이 아니라고 말할 때:당신의 감정은 어떻게 병이 되는가 - 인문/교양 일반 | 쿠팡
쿠팡에서 몸이 아니라고 말할 때:당신의 감정은 어떻게 병이 되는가 구매하고 더 많은 혜택을 받으세요! 지금 할인중인 다른 인문/교양 일반 제품도 바로 쿠팡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www.coupang.com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