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진짜 변화는 잠재의식을 인식할 때 시작된다
I think why we don’t believe we can create change is because of everything that’s happening beneath the iceberg, if you will, or in our subconscious mind.
우리가 변화를 만들 수 있다고 믿지 못하는 이유는, 말하자면 ‘빙산 아래’ 혹은 무의식에서 벌어지는 모든 일들 때문이라고 생각해요.
Within our relationships — everything from beliefs about ourself, as you even shared in the intro, roles and identities that we’ve learned to play, deep wounding which contain these moments of nervous system disregulation and reactivity —
관계 속에서 — 우리가 스스로에 대해 가진 신념, 당신이 말했듯 배워온 역할과 정체성, 그리고 신경계가 불안정해지는 깊은 상처의 순간들까지 포함되죠.
And ultimately when we have these chain of events, these meanings, interpretations that our subconscious mind is making to the happenings or not-happenings in our relationship —
그리고 결국 이런 사건들의 연결고리, 관계에서 일어난 일이나 일어나지 않은 일에 대해 무의식이 부여한 의미와 해석이 생겨요.
When that is connected then to physiological shifts in my body — those nervous system moments of disregulation —
그것이 우리 몸의 생리적 변화, 즉 신경계의 불안정한 반응과 연결될 때,
And then when we tune in, typically is either mid-reaction or somewhere shamefully post-reaction —
우리가 그것을 인식하는 순간은 대개 반응 중간이거나, 부끄럽게도 반응이 끝난 이후죠.
And until we’ve paid conscious attention — or simply awareness — to all of the different parts of the story that contribute it to what feels like an instinctive reaction —
그 반응이 왜 그렇게 본능적으로 나왔는지를 구성하는 모든 이야기 조각들에 의식적으로 주의를 기울이기 전까지는,
“I’m compelled to do this thing. I can’t stop behaving in this way.”
“나는 어쩔 수 없이 이렇게 행동하게 돼. 멈출 수가 없어.”
Or the world continues to create the same struggles, the same feelings, the same cycles.
혹은 세상은 계속해서 같은 고통, 같은 감정, 같은 패턴을 반복하게 만들어요.
And I think it then becomes really natural that we don’t feel like we have choice.
그래서 우리가 선택권이 있다고 느끼지 못하는 건 어쩌면 당연한 일이에요.
And I think how I convince us all that we do have choice is — as we become aware of what’s going on beneath the surface —
하지만 우리가 정말로 ‘선택할 수 있다’는 걸 믿게 되는 순간은, 그 표면 아래에서 무슨 일이 벌어지고 있는지를 자각하게 될 때예요.
As we become aware of the beliefs and the physiology that is driving those changes —
그 변화를 유발하는 신념과 신체 반응을 인식하게 되면,
We can begin to create just a little bit of space.
우리는 그 반응과 반응 사이에 아주 작은 틈을 만들 수 있게 돼요.
Because I mean — I could sit up here and explain to many listeners why we don’t feel in choice —
왜 우리가 선택권이 없다고 느끼는지를 설명할 수는 있겠지만,
Until we embody the practice of being able to pause before that habitual reaction —
그 습관적인 반응 전에 ‘멈추는 연습’을 몸으로 체화하기 전까지는,
It’s going to be really hard for me to convince us all that we can create change.
우리가 진짜로 변화할 수 있다는 걸 믿게 하기는 어려워요.
But when we have the tools to view our internal world in a new way — including our body and all of the stress reaction that’s housed in it —
하지만 우리 몸과 그 안에 저장된 스트레스 반응까지 포함해, 내면 세계를 새롭게 볼 수 있는 도구가 있다면,
Then I think we do have that empowered shift —
그때 우리는 진짜 변화의 힘을 가질 수 있어요.
Where I can possibly convince you that there is choice and change possible in your future.
그리고 당신의 미래에는 선택과 변화가 가능하다는 걸 진심으로 믿게 만들 수 있을 거예요.
유년기의 감정 경험이 지금의 관계를 만든다
Early childhood experiences are affecting our current relationships and of course future relationships.
어린 시절의 경험은 우리의 현재 관계, 그리고 미래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I think this conversation into the subtlety of it is so foundationally important
이런 섬세한 주제에 대해 이야기하는 건 관계의 뿌리를 이해하는 데 꼭 필요합니다.
because I know that there’s a lot of us, especially, you know, as we kind of progress through adulthood, that has this idea that “Well, childhood is decades ago. It’s actually a space I don’t want to go back to. I’m an adult now and it doesn’t impact me.”
많은 사람들이 “그건 옛날 얘기야, 지금 내 삶과는 상관없어”라고 말하며 유년 시절을 외면하려 해요.
Because I do think we look for the kind of more obvious signs.
왜냐하면 우리는 더 눈에 띄는 징후들만 찾는 경향이 있으니까요.
But there are so many kinds of ways in which what we were made in childhood to directly or indirectly think about ourselves ultimately becomes those deep-rooted beliefs that we carry and continue to think about ourselves into adulthood.
하지만 어린 시절 우리가 스스로에 대해 직접적 혹은 간접적으로 갖게 된 생각은 결국 어른이 되어서도 우리가 계속 갖게 되는 뿌리 깊은 믿음이 됩니다.
In terms of our emotions, the way in which we were allowed to express our emotions, the support we had in which navigating our emotions, simply the level of attunement that our caregivers gave us will directly impact our current relationship in adulthood with our emotions and our ability to be responsively present to them as opposed to reactive.
감정 면에서는, 우리가 감정을 표현할 수 있었던 방식, 감정을 다룰 수 있도록 받은 지지, 그리고 양육자로부터 받은 정서적 조율 수준이 지금 성인이 된 우리가 감정을 어떻게 인식하고 반응하는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And the way those identities that you talked about earlier—the way in which we’ve learned in childhood to connect or relate, which for a lot of us meant shoving down parts of our self-expression, right?
관계 속에서 살아남기 위해 내 본모습 일부를 숨기며 형성된 ‘가면’ 같은 역할들이 지금도 계속 작동하는 거예요.
Not showing certain aspects of our thoughts, of our emotions, of our just general self and/or amplifying other aspects.
우리 생각이나 감정 혹은 자아의 일부를 보여주지 않거나, 다른 부분을 과장해서 표현하게 되죠.
So really simply, how at one time we had to connect with or relate to another individual ultimately becomes those same roles that we play in our current relationship.
국, 과거에 누군가와 관계를 맺기 위해 형성했던 방식이 지금 우리가 관계 속에서 하는 역할이 되는 거예요.
When we begin to truly understand not only the individual impact—
우리가 개인적인 영향뿐만 아니라,
Right—do I know myself? Do I know how to navigate my emotions?
나는 나 자신을 잘 알고 있을까? 내 감정을 다루는 법을 알까?
Do I know how to give and receive support in a relationship?
나는 관계 속에서 지지하는 법과 지지를 받는 법을 알고 있을까?
To then relationally—who am I?
그다음 관계 속에서의 나는 누구인가?
So much is a remnant or an artifact, in my opinion, of who we once had to be—
우리가 현재 보이는 모습은, 과거에 ‘그렇게 살아남기 위해’ 만들어낸 캐릭터의 잔재예요.
Which is why we have an epidemic, in a sense, of adults who don’t know themselves—
그래서 지금 우리 사회에는 ‘자기 자신을 모르는 어른들’이 너무나 많아요.
Who don’t have the emotional resilience they need to remain responsive to their emotions—
자신의 감정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회복할 수 있는 ‘감정적 회복력’을 갖추지 못한 채 살아가죠.
And who are showing up in all of these, you know, kind of masks, playing all of these roles—
그리고 그런 사람들은 다양한 가면을 쓰고, 다양한 역할을 연기하듯 살아가고 있어요.
And are feeling deeply unfulfilled—even those of us that are actively in relationships.
그리고 그들은 깊은 공허함을 느껴요. 심지어 관계를 맺고 있는 사람들조차도요
Yeah, I feel like there’s this contention—
그래요, 많은 관계 안에서 일어나는 갈등은요—
A lot of us in relationships are fighting for who we were—
우리는 ‘과거의 나’를 지키려고 애쓰는 동시에—
There’s a defense to “This is how I’ve been raised. This is what I think is right. This is what I’ve been told. These are my beliefs.”
“난 이렇게 자랐어, 이게 옳다고 배웠고, 이게 내 가치관이야.”라고 방어하는 거죠.
And then there’s another part of us that’s trying to cater to and sway towards—
하지만 또 다른 한편에서는 상대의 가치관을 받아들이려고 애써요—
“Oh no, but I know I need to take on some of yours as well.”
“당신의 가치관도 받아들여야 해.”라고 생각하니까요.
And that kind of often creates a bit of conflict on an identity level—
그리고 그런 고민이 정체성 수준의 혼란과 갈등을 일으키곤 해요.
Because we’re wondering: What parts of myself do I leave behind?
왜냐하면 우리는 고민하죠: 내가 어떤 부분을 포기해야 하지?
But then—am I trading for their values? Then are their values right?
그렇다면 나는 그 사람의 가치관에 나를 맞추고 있는 걸까? 그게 맞는 걸까?
모든 사람에겐 저마다의 내면 세계가 있다
How do you kind of make sense of all of that?
그럼 이런 복잡한 상황을 어떻게 이해하면 좋을까요?
Because it seems like you’ve got your early childhood impact…
왜냐하면, 한 사람 안에도 ‘어린 시절의 영향’이 있고—
The person you have a relationship with has their early childhood impact…
당신의 파트너 또한 그들만의 어린 시절 상처와 영향을 가지고 있죠.
You’ve now become adults, now you’re interacting—
그리고 이제 어른이 된 두 사람이 관계를 맺고 있는 거고요.
There’s a lot of complexity there—
이건 정말 복잡한 문제예요—
Because you may not even be aware of your own—
왜냐하면 우리는 자신의 무의식조차 자각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고—
Let alone—they may not be aware of theirs.
하물며 상대방도 자기 내면을 모를 수 있으니까요.
And so you don’t have any context of theirs.
그러니 우리는 서로의 맥락을 전혀 모르는 채 갈등을 겪는 거예요.
So it feels like there’s a lot of unknown unknown in a lot of relationships.
결국 많은 관계 안에는 ‘알 수 없는 미지의 영역’이 굉장히 많아요.
I think you beautifully, Jay, described why relationships are so complicated.
제이, 방금 정말 멋지게 설명해주셨어요. 왜 관계가 그렇게 복잡한지를요.
Why, as I said in the beginning, so many of us continue to struggle—
그래서 제가 처음에 말했듯, 왜 이렇게 많은 사람들이 여전히 관계 안에서 고통을 겪고 있는지요.
Or wherever we are on our healing journey within our relationships.
또는 관계 안에서 어떤 치유의 여정을 걷고 있는지에 대한 이야기예요.
Because we do have all of these influences—
왜냐하면 우리 모두는 수많은 무의식의 영향을 안고 살아가고 있기 때문이에요.
Many of which that are out of sight.
그중 대부분은 눈에 보이지도 않고, 인식되지도 않죠.
And knowing for ourself—of course, because we can only receive information that partners or potential partners are sharing—
그리고 우리는 상대가 말해주는 만큼만 그 사람을 알 수 있으니까요.
But I feel like the individual journey of awareness—
그래서 결국 중요한 건, 개인의 ‘자각 여정’이라고 생각해요.
Of even first reckoning with the possibility that our past is impacting us—
‘우리의 과거가 지금의 나에게 영향을 주고 있다’는 가능성을 처음 인정하는 것부터 시작해서—
And then getting really present to what habits and patterns we are carrying into our relationship—
그리고 내가 관계 안으로 가져온 습관과 패턴들을 자각하는 것이 필요해요.
And then once I think we get really clear in terms of what is on our side of the street—
그렇게 해서 내 쪽에서 할 수 있는 것을 명확히 이해하게 된다면—
Then we can simply…
우리는 그제야 비로소 진짜 ‘우리 관계’를 바꿔갈 수 있어요.
Then we can simply—before we know the details of kind of what is in the subconscious world of our potential partners or our loved ones—
그리고 나서 우리는 이렇게 할 수 있어요—아직 파트너나 가족의 무의식 세계에 어떤 게 있는지 모를지라도,
We can at least have awareness that they have that world, right?
그들 역시 저마다의 내면세계를 가지고 있다는 사실은 인식할 수 있어요, 그렇죠?
매일 반복하는 ‘나와의 약속’이 중요하다
I remember being a very little kid sitting there usually laying awake at night—
어렸을 때, 불안 때문에 밤마다 잠들지 못하고 누워 있던 기억이 선명해요.
When a lot of anxiety would happen for me—
특히 밤이 되면 불안이 밀려왔어요.
I now looking back believe it was anxiety.
당시엔 몰랐지만, 나중에 보니 그게 불안 장애였던 거죠.
And I was emotionally alone—so completely overwhelmed.
감정적으로 완전히 혼자였어요. 감당할 수 없을 정도였죠.
'And I lived then with near constant anxiety up through my 20s.
그리고 20대까지 거의 끊임없는 불안과 함께 살았어요.
I had panic attack after panic attack.
공황 발작도 여러 번 겪었고요.
And so two things that translated to: a general disconnect from my body—
결국 두 가지 결과가 있었어요. 첫 번째는 내 몸과의 단절.
So much so that—I’ve been an athlete my whole life—
제가 평생 운동을 해왔는데도요.
I played softball through college and generally lived in cities, walked, things like that—
대학교 때까지 소프트볼 선수였고, 도시에서 많이 걷고 활동적이었는데도요.
Anytime I’d be doing more vigorous movement and my heart rate would start to elevate—
운동을 좀 세게 하면 심장이 빨리 뛰고—
And my body would start to mimic the panic attack feelings—
그게 공황 발작과 비슷한 느낌을 주기 시작하면—
I would start to immediately think I was going to have a panic attack.
저는 즉시 ‘또 공황 발작이 오려나 봐’라고 생각했어요.
So over time, gradually, I started to even limit how much time I spent in my body.
그래서 점점 제 몸과 함께 있는 시간도 줄이게 되었어요.
How much time I was moving—because certain movements would mimic and bring me back.
몸을 움직이는 시간도 줄였어요. 어떤 동작들은 과거의 공황 상태를 떠올리게 했거든요.
Anytime I would feel a discomfort, especially in my heart, like “Oh, avoid that—exercise’s not for me.”
조금이라도 심장이 불편하면 “아, 안 돼. 운동은 나랑 안 맞아.” 라며 피했어요.
And so over time, disconnected from my body—
그렇게 시간이 지나며, 제 몸과는 완전히 단절되었어요.
Avoiding anything that could help me reconnect with my body—because it felt too much like anxiety.
몸과 다시 연결될 수 있는 어떤 것도 피했어요. 불안을 떠올리게 했기 때문에요.
Living that same embodied way—away from my emotions—on my spaceship, like I call it.
저는 이런 상태를 ‘우주선에 타 있는 느낌’이라고 표현하곤 해요.
Yet my number one complaint in relationship after relationship was—
연애할 때마다 제일 많이 했던 불만은 이거였어요—
“How emotionally disconnected I felt.”
“나는 왜 이렇게 정서적으로 단절된 기분이 들지?”
Just like we’ve been talking about—pointed the finger outside of myself.
지금까지 얘기한 것처럼, 저는 항상 그 원인을 외부 탓으로 돌렸어요.
“It must be the person I’m picking—you’re not able to meet me on my emotional level.”
“내가 잘못된 사람을 만났나 봐. 당신은 내 감정에 공감하지 못해.”
On to the next relationship—where, lo and behold, after a couple months of honeymoon…
그리고 다음 연애를 시작했죠. 처음엔 좋다가 몇 달 지나면…
Then I was back into, “We’re disconnected again.”
또다시 “우린 정서적으로 멀어졌어”라는 상태가 됐고요.
Not seeing how all of this connected back to my childhood.
이 모든 것이 제 어린 시절과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지는 몰랐어요.
Overwhelmed with emotion—my body and the emotions, which were totally normal—were too much for me to handle.
감정은 정상적인 것이었지만, 제게는 감당하기엔 너무 벅찼어요.
I created this disconnect that I then lived in—on this spaceship.
그래서 저는 감정과 몸에서 분리된 채, ‘우주선’처럼 살아온 거예요.
And then I held everyone responsible for that disconnection that I was playing a part in creating.
그리고 그 단절의 원인을 모두 ‘다른 사람 탓’으로 돌렸죠.
And again, for me—that was an invitation to rebuild.
그리고 그게 바로, 저에게는 다시 ‘재건’할 기회가 되었어요.
All that awareness was beautiful.
그 모든 자각은 아름다웠어요.
Now I’m still tasked with the daily commitment of reconnecting and living in my body.
지금도 매일, 내 감정과 내 몸을 느끼며 살아가기 위한 훈련을 하고 있어요.
And I think this is the other side of the coin here.
자각은 끝이 아니라, 시작에 불과해요.
All that awareness was beautiful.
깨닫는 과정은 깊고 소중했어요.
Now I’m still tasked with the daily commitment of reconnecting and living in my body. 하지만 지금도 여전히 매일 내 몸과 다시 연결되기 위한 과제를 안고 있어요.
And there are a lot of moments where I still meet—whether it’s physical discomfort, emotional discomfort—
여전히 많은 순간들이 있어요. 육체적인 불편함이든, 감정적인 불편함이든 마주하게 되죠.
Because now I have a lot of tension that I carry—a lot of muscles and hunch posture—
왜냐하면 저는 여전히 몸에 많은 긴장을 가지고 있고, 자세도 굽어 있고, 근육이 많이 뭉쳐 있어요.
That I’m always trying to stretch and work out of my body.
그래서 그걸 풀기 위해 늘 스트레칭하고 몸을 풀려고 해요.
And that physical discomfort makes me want to say, “You know what? I don’t want to do this today. I’ll do this tomorrow.”
그리고 이런 신체적 불편함은 가끔 “오늘은 그냥 안 하고 내일 할래.”라고 말하게 만들어요.
Yet staying committed to releasing that tension—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긴장을 풀어주는 데 계속 전념하려고 해요.
Same thing emotionally—feeling really vulnerable and uncomfortable being emotionally vulnerable—
감정적으로도 마찬가지예요. 감정적으로 나약해지고 불편한 느낌이 들죠.
And asking for the support I need.
그리고 내가 필요한 도움을 요청하는 것도 그렇고요.
But knowing that that’s what’s going to create that level of attunement that I’m looking for.
하지만 그것이야말로 내가 바라는 ‘정서적 조율’을 만들어주는 방법이라는 걸 알고 있어요.
So all of this, for me, remains a daily commitment.
그래서 이 모든 것이 저에게는 여전히 매일의 약속이에요.
Because even though logically I can sit here and—on podcast after podcast—say how important these things are…
논리적으로는, 제가 여기 앉아서 수많은 팟캐스트에서 이런 것들의 중요성을 말할 수 있지만…
Yet all of this wiring and this discomfort and this vulnerability and all these beliefs are still present.
하지만 제 안에는 여전히 불편함, 취약함, 믿음 체계들이 남아 있어요.
That it is a conscious, intentional choice every day for me to say—
그래서 매일 의식적이고 의도적인 결정을 내려야 해요.
“No, Nicole, foundationally your day begins in your body.”
“아니야, 니콜. 너의 하루는 네 몸에서 시작해야 해.”
Whether it’s just, you know, 20 to 30 minutes of gentle stretching and silent reflection—
비록 그게 20~30분간의 가벼운 스트레칭과 조용한 사색일지라도요.
I’m in my own—
그것이 제가 제 자신으로 돌아오는 방식이에요.
I’m in my own—you know—vessel before I then go and serve the world.
세상을 돌보기 전에, 먼저 나 자신과 연결되어야 해요.
And that isn’t to say that my email isn’t distracting me.
그렇다고 이메일이 저를 방해하지 않는다는 뜻은 아니에요.
I don’t have all these things I should be doing running through my head every morning.
매일 아침 해야 할 일들이 머릿속을 맴돌지 않는다는 것도 아니고요.
But I use this as an illustration again because I think some people think that—
그럼에도 불구하고 제가 이 이야기를 예시로 드는 이유는요—
“Oh, awareness equals—oh, I just shift and change and become this new person.”
“아, 자각했으니까 바로 변화하고 새로운 사람이 되는 거구나.”라고 생각하기 때문이에요.
And especially if we’re talking about reconnecting with our body and developing the ability to tolerate stress and upsetting emotions—
특히 우리가 몸과 다시 연결되고, 스트레스나 불편한 감정을 견디는 능력을 키우는 것에 대해 이야기할 때는—
That awareness is going to take a lot of practice to put into place.
그런 자각을 실제로 삶에 적용하려면 많은 연습이 필요해요.
The tools and the resources in our body—
몸도 훈련을 통해 ‘감정과 스트레스’를 담을 수 있는 그릇이 되어야 해요.
So that we can begin to contain the discomfort.
그제야 불편한 감정도 받아들이고 다룰 수 있어요.
내면 아이를 마주하고 돌보는 연습
One of them that we could, upon hearing it—“inner child”—“I’m an adult, that doesn’t apply to me.”
“내면 아이”라는 말을 들으면, ‘난 어른인데, 그건 나랑 상관없어’라고 생각할 수도 있죠.
And I think what kind of an inner child—how we can define that is the subconscious space of our mind, as I’ve been describing throughout—
그런데 제가 계속 설명해왔듯이, ‘내면 아이’란 우리 마음속 무의식의 한 공간이라고 볼 수 있어요.
That houses a lot of this patterned way of being that was created at that time.
그 시절, 즉 어린 시절에 형성된 여러 행동 패턴들이 바로 그 안에 담겨 있는 거예요.
That was the adaptation in terms of how we had to shift and change—
그때 필요한 생존 전략이 지금도 무의식에 남아 있는 거죠.
What needs were getting met or not getting met—
어떤 욕구는 채워졌고, 어떤 욕구는 채워지지 못한 채 남아 있어요.
And what emotions we had to—or aspects of our self-expression—that weren’t appropriate or that we were shamed for having.
표현하면 안 된다고 배운 감정, 창피하다고 느꼈던 감정들도 내면 아이 안에 자리 잡고 있어요.
So that ultimately, all of this now is beneath the surface.
결국 이 모든 것들이 지금은 무의식 아래에 자리 잡고 있는 거예요.
It’s still, for a lot of us, driving a lot of our reactivity.
우리가 갑자기 예민하게 반응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어요.
So I think the first shift is understanding that that exists inside of us.
그래서 첫 번째 전환점은, 내 안에 그런 내면 아이가 있다는 걸 인식하는 거예요.
That we are kind of compelled and wired and we do have needs.
우리는 그런 방식으로 반응하게 설계돼 있고, 욕구도 분명히 존재하니까요.
And beginning then to explore how we are showing up in service of our needs.
그리고 이제, 우리가 그 욕구를 어떻게 충족하려 하고 있는지를 살펴보는 거죠.
Is there space in our general—
내 삶에는 그런 걸 위한 여유가 있을까?
Is there space in our relational day to make sure that I’m caring for my physical self?
관계 속에서도, 나는 내 몸과 건강을 챙길 수 있는 시간을 주고 있나요?
Is there room and space for my emotions?
나는 내 감정을 인정하고 표현할 수 있는 여유가 있나요?
Am I giving and receiving the support that relationships allow for?
나는 사랑도 지지도 제대로 주고받고 있나요?
And do I feel safe to be who I am?
나는 진짜 나로 살아도 괜찮다고 느끼고 있을까요?
And chances are—if you’re not overwhelmingly saying, “Yeah, I’m feeling pretty calm, grounded, I can take care of my needs…”
그리고 대부분의 경우, “그래, 난 지금 꽤 안정되고, 내 욕구를 잘 채우고 있어”라고 말할 수 없다면,
Then a lot of what probably is happening are the habits of our inner child.
아마도 지금 벌어지고 있는 많은 일들은, 내면 아이의 습관적인 반응일 가능성이 높아요.
So becoming then clear how it is and creating space to break those patterns first—
그래서 그 패턴을 인식하고, 그것을 끊어낼 수 있는 공간을 만드는 것이 먼저예요.
Kind of shifting out of those habitual ways of being—
늘 하던 방식에서 벗어나 새롭게 반응하는 연습을 시작하는 거예요.
And creating an opportunity to show up newly.
예전과는 다른 방식으로 자신을 표현할 수 있는 여지를 만들어 주는 거예요.
And for a lot of us, that means even bringing a full circle—
많은 사람들에게 그건 결국 이런 것을 의미하죠—
Learning a new relationship with our body.
바로 ‘내 몸’과 새로운 관계를 맺는 것이요.
Really simplifying it—
정말 간단하게 말하면요—
Looking into our sleep habits, looking into our nutritional habits, looking at how we navigate stress and the impact that it has on us.
내가 얼마나 자고, 뭘 먹고, 스트레스를 어떻게 다루는지부터 점검해보는 거예요.
And then creating new habits that can better care for our nervous system.
내 신경계(마음 + 몸)를 안정시켜 줄 새로운 루틴을 만들기 시작하는 거죠.
So that ultimately we can be more attuned to our emotions and more able to share those with somebody else.
그렇게 해서, 결국은 내 감정에 더 민감하게 반응하고, 타인과 감정을 나눌 수 있게 되는 거예요.
Yeah, one of the things you talk about in the book, which I really resonated with, was the “seven conditioned selves.”
당신 책에서 언급한 ‘7가지 역할’ 이야기가 정말 와닿았어요.
Caretaker, Overachiever, Underachiever, Rescuer, Protector, Life of the Party, Yes Person, and Hero Worshipper.
돌보는 사람, 과잉 성취자, 저성취자, 구원자, 보호자, 분위기 메이커, 항상 ‘예스’ 하는 사람, 그리고 영웅 숭배자.
And I was thinking about this a lot—
저는 이걸 정말 많이 생각해봤어요—
Because I found that a lot of people—naturally, the way we see it—they’re still playing that role.
왜냐하면 많은 사람들이 여전히 그 역할을 계속 수행하고 있다는 걸 알게 됐거든요.
That role that allowed them to feel safe, protected, in control when they were younger.
어릴 적 자신을 안전하게 하고, 통제감 있게 만들어줬던 그 역할 말이죠.
They’re still demonstrating that role.
지금도 여전히 그 역할을 계속 보여주고 있어요.
And often that role today can actually lead them to becoming extremely successful, extremely accomplished,
extremely adored—famous, rich—everything else.
그리고 아이러니하게도, 그 역할 덕분에 오늘날 엄청난 성공, 성취, 인기, 부를 얻게 된 사람들도 많죠.
But then they almost get exhausted at playing that role.
그런데 문제는, 그게 내 본모습이 아니라는 거예요. 연기하느라 지치게 되죠.
Or you recognize—it’s a role.
혹은, 어느 순간 ‘이건 그냥 역할일 뿐이었구나’ 하고 깨닫게 되죠.
And it was a role that you took on. But it was never you.
그리고 그건 내가 선택해서 맡았던 역할일 뿐, 진짜 나는 아니었다는 거예요.
It wasn’t the you you wanted to be. It was the you you had to be.
그건 내가 되고 싶었던 내가 아니라, ‘되어야만 했던’ 나였죠.
How do you reconcile that?
그렇다면, 우리는 이런 걸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까요?
So once we become aware that there is a role we’re playing—
지금까지 내가 어떤 ‘가면’을 쓰고 살아왔는지 자각하게 되면,
Which for a lot of us is very shame-relieving.
“아, 이게 내 잘못이 아니었구나.” 하고 안도하게 돼요.
Because I know for me, very much identifying with the overachiever—
저 같은 경우, 저는 ‘과잉 성취자’ 역할에 정말 깊이 몰입했었어요.
Very much being validated by society that celebrated many of my achievements—
사회가 제 성취를 칭찬해줄수록 그게 제 정체성처럼 느껴졌죠.
I carried a ton of shame as I started to feel really disconnected and unfulfilled—
하지만 그렇게 살아오면서도 마음 깊은 곳에서는 만족감도 연결감도 느끼지 못했고, 오히려 수치심이 쌓여갔어요.
With this life that was supposedly created to make me feel validated and happy and fulfilled—
그 모든 성취는 저를 인정받고 행복하게 만들기 위한 것이었는데 말이죠.
And so when I didn’t immediately feel that way I started to worry and wonder what was wrong with me, right?
그래서 그런 감정을 느끼지 못하자, ‘도대체 내가 왜 이럴까?’ 하고 고민하게 됐어요.
So without the language to have kind of zoomed back and say, “Oh well, it’s understandable you don’t feel connected to your life, Nicole—”
그런데 이런 상황을 언어로 설명할 수 없었기 때문에, 한 발 물러서서 “니콜, 네가 삶과 연결되지 못한다고 느끼는 건 당연해.”라고 말해줄 수 없었죠.
“Because you’re not authentically living it.”
“왜냐하면 그건 네가 진짜로 원하는 삶이 아니니까.”
“You achieved all of these things in service of seeking your mom’s attention, her love—”
“너는 엄마의 관심과 사랑을 얻기 위해 모든 걸 성취했던 거야.”
“Seeking the sense of worthiness in action.”
“행동과 결과를 통해 스스로의 가치를 증명하려 했던 거야.”
“And in reality it doesn’t represent who you authentically are.”
“하지만 그건 진짜 너의 모습과는 거리가 있어.”
“Because in many moments you’re not even sharing who you authentically are with anyone.”
“왜냐하면 많은 순간 너는 진짜 너의 모습을 그 누구와도 나누지 않고 있으니까.”
So that awareness piece I think for a lot of us can be hugely shame-relieving—
그래서 이런 자각이 많은 이들에게 큰 위로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해요.
Though it doesn’t shift us into maybe the embodied self or the self-expression or authentic expression that we want and need to create—
하지만 이런 자각이 곧바로 ‘진짜 나’의 표현으로 이어지지는 않죠.
We have to break the habit of being this person—
지금까지 연기해온 그 ‘사람’의 습관을 깨뜨려야 해요.
Of playing this role, of wearing this mask—
살아남기 위해 만들어낸 ‘캐릭터’에서 벗어나는 거예요.
And create a new habit of showing up in our authenticity.
그리고 우리의 진짜 모습을 드러내는 새로운 습관을 만들어야 해요.
Which for a lot of us is very destabilizing.
오히려 ‘진짜 나’로 사는 게 훨씬 더 낯설고 무서울 수 있어요.
We’ve wrapped these identities—
그동안 역할과 자아를 동일시하며 살아왔으니까요.
Some of us even prided ourselves—
어떤 사람들은 그 정체성을 자랑스러워하기도 했고요.
Some of us, like myself, created a whole life around this identity that now we’re questioning.
저처럼 어떤 사람들은 그 정체성 위에 인생 전체를 쌓아왔는데, 이제 와서 그걸 의심하게 된 거죠.
We could feel shameful because we’re older now—we should know who we are and what we want.
나이가 들었는데도 아직 ‘내가 누구인지’ ‘뭘 원하는지’ 모른다는 것에 부끄러움을 느낄 수도 있어요.
So that could feel, you know, overwhelming.
그래서 모든 게 너무 벅차게 느껴질 수 있어요.
We might need to shed, right, some of the actual identity in service—like how we are showing up now.
지금의 모습, 우리가 현재 보여주는 방식 속에서 실제 정체성의 일부를 벗어야 할 수도 있어요.
We are making, like, strategically new choices—so we’re shedding identity.
For a lot of us, it means mourning and grieving the circumstances that created the need for me to play that role.
많은 사람들에게는, 그 역할을 하게 만든 상황을 애도하고 슬퍼하는 과정이 필요해요.
The unmet needs, the aspects of myself that I was taught was too unworthy to be expressed.
표현하기엔 너무 부족하다고 배워온 내 모습, 충족되지 못한 욕구들—
So for a lot of us, it’s getting curious.
지금 내 감정과 패턴이 어디서 비롯됐는지 알아보는 호기심이 필요해요.
It’s questioning. It’s creating the space to grieve and be with our pain.
질문하고, 슬퍼할 공간을 만들고, 그 고통과 함께 있어주는 거예요.
And the resilience to begin to make new choices.
그렇게 감정에 휘둘리지 않고 ‘지금의 나’로서 결정할 수 있는 힘이 생기는 거예요.
📚 니콜 르페라 저서
-관계의 뇌과학 생각,감정,행동을 결정하는 인간관계의 메커니즘
https://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215972075
-내 안의 어린 아이가 울고 있다
https://link.coupang.com/a/ckNrfU
'스크립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ENG/KOR] “항상 옳고 싶은 당신에게” 트라우마는 감정의 성장을 막는다. 방어기제의 시작점 | 가보 마테 (0) | 2025.04.06 |
---|---|
[ENG/KOR] “하루 10분” 회복력은 이렇게 만들어진다. 불안하고 스트레스에 잠식당하는 당신이 알아야 할 뇌 이야기 | 웬디 스즈키 (1) | 2025.03.30 |
[ENG/KOR] “내 마음을 모르겠어요.” 감정을 해석할 줄 모르면 고통이 따른다. 감정기복 심한 부모 밑에서 자란 사람들의 특징 | 알랭 드 보통 (1) | 2025.03.17 |
[ENG/KOR] 그들의 감정은 내 몫이 아닙니다 | 멜 로빈스 (0) | 2025.03.14 |
[ENG/KOR] 시크릿 끌어당김에도 알려주지 않는 꿈을 이루는 법 | 에밀리 발세티스 박사 (1) | 2025.03.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