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립트

[KOR/ENG] 우리 모두 그런 시기를 겪는다. ‘고통’을 뚫고 나가기 위한 진짜 도구 | 툴스, 내면강화 저자 필스터츠

nomatterscript 2025. 4. 14. 13:34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필 스터츠 소개

I am so excited to have this gentleman here

이 분을 여기에 초대해 너무나 기쁩니다.

I know this man for the past 30 years

저는 이 분을 지난 30년간 알고 지냈습니다.

30 years, 30 years ago when I was just about becoming famous,

30년 전, 제가 이제 막 유명해지려고 할 무렵에

I said, you know, I got—I don’t know how this is all affecting me.

저는 말했죠. 이게 저에게 어떤 영향을 주고 있는지 잘 모르겠다고요.

I was getting really nervous

심적으로 너무 불안하고 긴장된 상태였죠.

So I said I want to see a shrink.

그래서 정신과 의사를 만나고 싶다고 했죠.

and people told me there's only one shrink to see

사람들은 단 한 명만 만나야 한다고 했어요.

and that’s this guy. I said why is that?

바로 이 분이요. 제가 왜 그러냐고 물었죠.

and they told me, he sees all the big people.

그들은 말했어요. 이 분은 유명인들을 많이 본다고요.

You have to see his list.

그의 고객 리스트를 봐야 한다고요.

I said, I don’t I’m not worried about his list.

저는 리스트에는 관심 없다고 했어요.

Is he a great shrink. And you know what?

이 사람이 정말 훌륭한 의사인지가 중요했죠. 그리고 아시겠지만,

He’s probably the most brilliant shrink I ever spoke to in my life.

그는 아마 제가 인생에서 만나본 가장 뛰어난 정신과 의사입니다.

here he is the one and only Doctor Phil Stutz

자, 여기 계십니다. 단 하나뿐인 필 스터츠입니다.

Anyway, you’re going to see me rocking back and forth during this show.

이번 방송 내내 제가 몸을 앞뒤로 흔드는 걸 보게 될 겁니다.

That’s for my medication. I have Parkinson’s disease.

그건 약 때문입니다. 저는 파킨슨병을 앓고 있거든요.

But hopefully it won’t distract you too much.

너무 거슬리진 않길 바랍니다.

Mr. Phil Stutz. Because without you, Phil,

필 스터츠, 당신 없었으면

I don’t think I’d be here right now, man.

지금의 저는 없었을 거예요.

I’m honored that you feel like that.

당신이 그렇게 느껴주셔서 정말 영광입니다.

즉각적인 만족을 향한 욕망이 혼란을 만든다

The negativity in the world right now

지금 이 세상에 있는 부정성은

it’s almost like we’re having a civil war.

마치 내전이 일어난 것처럼 느껴집니다.

There’s one side against the other side.

한쪽이 다른 쪽과 맞서고 있어요.

I remember you telling me this. that the negative forces are so strong on Earth.

당신이 말해줬던 게 기억나요. 지구에서 부정적인 힘이 너무 강하다고요.

And the positive force why is it the negative forces are stronger than the positive forces?

그런데 왜 부정적인 힘이 긍정적인 힘보다 더 강한 걸까요?

Great question.

좋은 질문입니다.

The answer is the negative forces are stronger because they’re easier to contact.

답은 간단해요. 부정적인 힘은 접촉하기가 훨씬 쉽기 때문입니다.

There’s the context of positive force

긍정적인 힘을 가지려면

think about it. It takes discipline. It takes patience.

절제력, 인내심이 필요하죠.

It takes some degree of faith.

어느 정도의 믿음도 필요하고요.

The bad stuff? I can go out and order a bottle of gin boom I'm right there

나쁜 건요? 그냥 나가서 술 한 병 시키면 끝이에요. 바로 거기 도달합니다.

Heroin, chocolate cookies, lust all these things.

헤로인, 초코 쿠키, 욕망

They’re right in front of you. They’re easy.

이런 것들은 바로 앞에 있어요. 너무 쉽죠.

And they promise something they can’t deliver

그리고 그런 것들은 ‘만족’을 약속하지만,

which is some kind of satisfaction

결국은 절대 채워지지 않아요.

That’s like we talked about it’s like immediate gratification.

그게 우리가 이야기했던 ‘즉각적인 만족’이죠.

yes

that's correct right

맞아요, 그렇죠.

the desire for immediate gratification causes chaos

즉각적인 만족을 향한 욕망이 혼란을 만듭니다.

Every time someone goes for it, they feel like afterwards. they feel like shit afterwards everyone

누구든 그걸 따라가면 결국 나중에 기분이 엉망이 됩니다.

you didn't get it over this you look over here for it

얻지 못하면 또 다른 곳에서 찾으려고 하죠.

it's chaos

혼란의 악순환입니다.

앞으로 나아가게 만드는 힘

and the opposite of chaos is order is discipline

혼돈의 반대는 질서이자 절제입니다.

which moves forward into the future

그것들이 미래를 향해 나아가는 힘입니다.

Being willing to sacrifice immediate gratification.

즉각적인 만족을 기꺼이 포기할 수 있어야 해요.

and so our society is in chaos

지금 사회는 혼란에 빠져 있어요.

There are three aspects of human life that nobody can escape from

인간이라면 누구나 피할 수 없는 세 가지가 있어요.

one is uncertainty

하나는 불확실성,

one is pain and one is the need for constant work

하나는 고통이고, 다른 하나는 끊임없는 노력의 필요성입니다.

those three things nobody gets away with from those things so

이 세 가지는 아무도 피해갈 수 없습니다. 그런 것들로부터, 그러니까

and that's called exoneration

사람들은 이걸 ‘면제’라 부르죠.

everybody wants to be exonerated

다들 거기서 벗어나고 싶어해요.

I got the best looking girlfriend

예쁜 여자친구도 있고,

I got the most I got this and because I do I'm exonerated from playing by the rules

최고를 가졌으니까 규칙 따위 필요 없다는 생각이죠.

and I mean you're a great example of it where you turn that around

근데 당신은 그걸 반대로 바꿨어요.

and major source of power and confidence

그걸 힘과 자신감의 원천으로 만들었죠.

but that takes it that takes time

쉽지 않죠. 오래 걸리는 여정이에요.

즉각적인 만족이 끼치는 영향

Do you feel, Phil, that the Internet absolutely made it worse for people?

필, 인터넷이 그 즉각적인 만족을 더 심하게 만들지 않았나요?

It made it a thousand times worse.

천 배는 더 심해졌죠.

Think about it. The problem is immediate gratification the inability to control yourself.

생각해보세요. 문제는 자제력을 잃고 즉각적인 만족만을 찾는 거예요.

And here are these flashing images right in your face.

계속해서 자극이 밀려들어오죠.

That’s how you have a boy “Come over here!”

그게 사람들을 부르는 방식이에요. “이리 와봐!”

the density, the amount of interactions you have with evil

우리가 ‘악’이라 부르는 자극과 마주치는 횟수는,

It’s so the amount of them, let’s say in a day, is so much higher than what it used to be.

요즘은 하루에도 수십 번씩 그런 자극을 마주하죠.

Think about if a guy’s a farmer he doesn’t have time for a lot of this

생각해보세요. 농부 같은 사람은 이런 걸 신경 쓸 시간조차 없잖아요.

he’s got a fatherland or whatever else farmers do.

그는 땅을 돌봐야 하거나, 뭐든 농부가 해야 할 일들이 있죠.

But a person in the modern world he’s trying to squeeze as much experience as he can.

그런데 현대인은 가능한 한 많은 경험을 쥐어짜내려 하죠.

It’s like he’s like trying to squeeze 20 pounds into a ten pound bag, right?

마치 10파운드짜리 가방에 20파운드를 우겨 넣으려는 거예요.

And eventually, the bag breaks everything breaks.

결국 감당 못 하고 터지는 거예요.

And when everything breaks everybody's dissatisfied

그리고 모든 게 무너지면, 사람들은 다 불만족스러워하죠.

and then everybody goes at everybody else

책임을 자신이 아닌 남 탓으로 돌리는 거예요.

it's your fault it's your fault

네 잘못이야 네 잘못이야

So because they’re not getting the 20 pounds in a 10-pound bag,

그래서 그들은 10파운드짜리 가방에 20파운드를 넣지 못하기 때문에,

they blame everybody else

남 탓을 하는 거군요.

Yes. And that’s the crux of the victim.

맞아요. 그게 바로 ‘피해자 사고방식’의 핵심이죠.

I mean because everybody on the internet is negative

인터넷 세상은 온통 부정적인 말들뿐이죠.

I mean they’re writing reviews of restaurants they hate.

예를 들어, 다들 싫어하는 음식점 리뷰만 쓰잖아요.

If you say something everybody jumps on you.

뭐 하나 말하면 다들 달려들죠.

People are getting canceled.

사람들은 '캔슬' 당하고 있죠.

People everything isthey’re obsessed with beauty.

외모 집착도 너무 심해요.

and everybody's pretty now they got filters Phil

요즘은 다 예뻐요 필터가 있으니까요, 필.

they have filters that girls and men put on

남자든 여자든 필터를 쓰는데,

but it's not really them it looks like them

그게 진짜 그들이 아니죠. 겉보기엔 본인처럼 보이지만,

but nobody looks like that Phil

실제로는 아무도 그렇게 생기지 않았어요.

it's fucking crazy I'm telling you

정말 미친 짓이예요, 진짜로.

it's crazy and it's only getting worse

그리고 점점 더 나빠지고 있어요.

and I don't know where it's gonna end

이게 어디로 갈지 모르겠어요

You know, things like that can only be improved or resolved when a certain number of people say, "fuck it I've had it I can’t live like this anymore.”

이런 문제들은 어느 정도 사람들이 “젠장, 더는 못 살겠다”라고 말할 때에만 해결되거나 나아질 수 있어요.

And when that’s going to happen and how effective it’ll be I don’t know.

그게 언제 일어날지, 얼마나 효과가 있을지는 모르겠어요.

I’m an optimist, so I feel those people are out there.

전 낙관적인 편이라, 그런 사람들은 이미 존재한다고 생각해요.

They’re terrified now, you know, from every point of view.

지금은 무서워서 움직이지 못할 뿐이에요.

우리 모두 가지고 있는 '파트 X’

because part X

그게 바로 ‘파트 X’예요.

so we just call part X the destructive part of the person

우린 파트 X를 이렇게 부릅니다.

that doesn’t want you to learn, grow, realize your positive.

배움, 성장, 긍정을 막으려는 파괴적인 내면.

That’s part X

그게 파트 X죠

we call it that's part of the destructive personality

'x파트'는 항상 존재하는, 부정적 자아의 한 부분이에요.

yeah so look

맞아요.

everybody's got a part X everybody and we'll have it for the rest of your life

모두가 파트 X를 가지고 있어요. 평생 따라다니는 그림자 같은 존재죠.

that's the hardest thing for people to accept

그게 사람들에게 가장 받아들이기 힘든 사실이에요.

They say, “I’ll use the tools, I’ll do this enough but when is it going to be easy?”

사람들은 말하죠. “도구도 쓰고 노력도 했는데, 언제 쉬워지는 건가요?”

and the answer is never

답은, 절대 쉬워지지 않는다는 겁니다.

it could be satisfying, gratifying, pleasurable, and creative it could be all those things.

인생은 만족스럽고, 보람 있고, 즐겁고, 창의적일 수 있어요.

But first you have to pay the piper over here. And that’s part of it.

하지만 먼저 대가를 치러야 해요. 그게 과정의 일부죠.

So everybody has to pay the piper.

누구도 예외는 없어요.

No exaggerations.

네 과장이 아닙니다.

함께 할 사람을 알아보는 법

relationships take work

관계는 노력이 필요하잖아요.

when do you know Phil and I think people are what like to know this

도대체 언제쯤 ‘이 관계는 아닌가 보다’ 하고 알 수 있는 걸까요?

when do you know when it's too much work

‘노력의 한계’는 어떻게 알 수 있을까요?

and you know what two people shouldn't be together

그리고 이렇게 생각하죠. ‘우린 같이 있으면 안 돼.’

I say there's two answers to that

그건 두 가지로 나눠서 볼 수 있어요.

the first one is you have to feel the other person is making as much

첫 번째는 상대가 나만큼 노력하고 있는지 느껴야 해요.

effort as you are it's the most important thing

그게 가장 중요한 요소예요.

they don't have to grow as fast as you have grown

서로 속도가 다를 수 있어요.

they don't have to agree with everything you say

당신의 말에 다 동의할 필요도 없어요.

but they have to in their in their own mind their own world they have to be moving forward

하지만 내면적으로는 계속 성장하고 있어야 하죠.

and the person that you know you say you meet somebody you say that person spoiled what you

어떤 사람을 보고 “그 사람은 버릇없어”라고 말할 때가 있잖아요.

what you're really saying is they don't think they have to do the work

사실은 “그 사람은 노력하지 않아도 된다고 생각하더라”는 의미죠.

now there's another thing am I talking too much

그리고 또 하나 있어요. 제가 너무 말 많이 하나요?

no go please

아니에요. 계속 말씀해 주세요.

there’s another aspect of this.

이 주제에는 또 다른 측면이 있어요.

that's are they capable of changing

두 번째는, “그 사람이 변할 수 있는가?”예요.

there are three things that somebody has to accept and do if they wanna be in a relationship

좋은 관계를 위해 꼭 필요한 세 가지 조건이 있습니다.

if they don't do these three things

이 세 가지가 없다면

they're incapable of relationship

그 사람은 건강한 관계를 맺을 수 없어요.

now the the three things are

이제 세 가지가 있습니다.

sacrifice

첫 번째는 ‘희생’이에요.

empathy is another one empathy

둘째는 ‘공감’이에요.

sacrifice empathy

희생, 공감

and and what would be the third one

그리고 세 번째는 무엇일까요?

we're riding with you so initiative initiative okay

세 번째는 ‘주도성’이에요.

so initiative means like if let's say a typical thing

주도성이라는 건, 예를 들면 이런 거예요

a woman's waiting for somebody to call her

여자가 누군가의 전화를 기다리고 있다면

she just met this guy seems like a nice guy

그녀는 괜찮아 보이는 남자를 만났지만,

but he hasn't called her at all

연락이 전혀 없어요.

I'll tell her forget it get rid of him

저는 그녀에게 말하죠. “그 사람은 잊어버려요. 정리하세요.”

When you say if a person doesn’t have initiative,

상대가 움직이지 않고,

doesn’t have empathy, is not willing to put the work in

공감하지 않고, 전혀 변할 의지도 없다면

Where you go, “You know what, this is not going to work.”

그땐 이렇게 말하죠. “이 관계는 안 되겠다.”

Yeah. You have to be realistic about it.

맞아요. 그건 현실적으로 판단해야 해요.

Even if you’re wrong, you’re right.

혹시 착각일지라도, 그 선택은 자기존중이에요.

Meaning, in terms of self-esteem, self-reliance

그건 곧 ‘내가 나를 존중하는가’의 문제예요.

“I deserve to get these three things. If I don’t get them, I’m unhappy.”

“나는 이 세 가지를 받을 자격이 있어. 안 되면 난 불행해.”

I'm not saying just fucking tell the person drop that and walk walk off

무작정 “꺼져”라고 말하라는 건 아니에요.

But if they’re not corrected if they’re not corrected in your mind

하지만 그게 계속 고쳐지지 않고, 당신 안에서도 끝났다면

Then that’s the time to say, “Okay, it’s time to go.”

그때가 바로 “이제 떠날 때야”라고 말해야 할 순간이네요.

which brings up another certain subject so to speak

이건 또 다른 중요한 질문으로 이어져요

Which is how do you get yourself to leave a situation where you really would not leave?

마음은 남고 싶은데, 어쩔 수 없이 떠나야 할 땐 어떻게 하죠?

You’d prefer to stay, but you have to leave because the person’s violated the principles.

당신은 남고 싶지만 상대가 원칙을 어겼기 때문에 떠나야 하죠.

so that ability to let go of somebody

중요한 건, 사랑이 남아 있어도

even if you're still in love with them or whatever right that's called the potency of non attachment

떠날 수 있는 ‘비집착의 힘’이 필요해요.

In other words, you love the person, you want to be with them, but

다시 말해, 사랑하지만, 함께 있고 싶지만

You’re not attached enough to not let them go

그들을 보내줄 만큼의 거리감은 유지하고 있는 거예요.

even though you'd rather let them go

비록 당신이 그들을 떠나게 하고 싶지 않아도

because think about it because then only then will they would you know how they feel about you if

왜냐면 그때서야 비로소 상대의 진심도 보이거든요.

If there’s no limit.

한계가 없으면, 무너지기만 해요.

고통이 알려주는 것

You have very strong instincts. Like, very strong.

당신은 본능이 강한 사람이에요.

And I don’t think I’ve ever seen you not

당신이 그걸 외면한 적은 없었던 것 같아요.

When you finally realized it was time to do something you did it.

결정의 순간이 오면 늘 행동으로 옮겼죠.

I believe in because what you told me was

당신이 나에게 가르쳐준 게 있어요

If I’m scared, if I’m fearing something, if I’m worried it’s going to be painful

내가 무섭고, 두렵고, 고통스러울 것 같을 때

That’s when I know I have to do it.

그때가 바로 내가 해야 할 때라는 걸 알게 됐어요.

because that’s the signal that no matter how painful it is I have to do it.

그건 고통이 따르더라도 ‘해야만 하는 신호’예요.

If I don’t do it I won’t grow.

도망치면, 내 인생도 멈추게 되니까요.

And you taught me that nothing grows in the comfort zone.

그리고 당신은 ‘안전지대에서는 아무것도 자라지 않는다’고 가르쳐줬어요.

that if you wanna grow you have to like be willing to have pain

성장하고 싶다면 고통을 감수할 각오가 있어야 해요.

I remember you gave me a metaphor once of the pearl

당신이 한 번 ‘진주’에 비유했잖아요.

You said, like an oyster, it rots, it dies but out of that comes the pearl.

굴은 썩고, 죽지만 그 안에서 진주가 나온다고요.

and that's what life is about

그게 바로 인생이라는 거죠.

It’s hard to say no. It’s hard to leave another person. It’s hard.

거절도, 이별도, 모두 어렵죠.

but if you're living a life of quiet desperation

조용한 절망 속에서 살고 있고,

and you're not happy there's one guarantee

그리고 만약 당신이 행복하지 않다면, 한 가지는 확실해요

you will be unhappy the rest of your life

그 삶은 평생 불행할 겁니다.

yeah that's true

그래, 맞아.

but the guarantee is if you take the chance and deal with the pain

하지만 만약 그 고통을 감수하고 도전한다면

there is a chance and a good chance that hope and happiness will find your way

희망과 행복이 당신에게 찾아올 ‘가능성’이 생깁니다.

yes hundred percent

맞아요. 100%예요.

I thought it would be good to talk about that

이 이야기를 꼭 하고 싶었어요

because I meet so many people that wish they took

저는 그런 기회를 놓쳤다고 후회하는 사람들을 너무 많이 만나거든요.

they wanna leave their job to do a

마음속 꿈은 있는데 꺼내지 못하죠.

they wanna do something I always wanted to be a chef

“요리사가 되고 싶었어요.”

I always wanted to be an actor

“배우가 되고 싶었어요.”

I always wanted to I wanted to go to law school

법대를 가고 싶었어요.”

oh I'm not happy in my marriage

“결혼생활이 불행해요.”

I'm not happy with my husband

“남편과의 관계가 힘들어요.”

most people live lives of quiet desperation

대부분의 사람들은 조용한 절망 속에 살고 있어요.

yeah like we said

그래요. 우리가 말했듯이요.

And that’s because of the pain.

그건 ‘고통’을 두려워하기 때문이에요.

but I tell everybody out there

그래서 전 모든 이에게 말해요

Phil Stuts Doctor Phil Stuts taught me and that's why I'm here today

필 스터츠 박사가 저에게 가르쳐준 것들 그게 제가 지금 이 자리에 있는 이유고,

and I've been successful for all these years

오랜 시간 성공해올 수 있었던 이유예요.

every time I don't want to do something and it's painful I do it

나는 무언가를 하기 싫을 때마다 고통스러운 일이 올 때마다 그냥 했어요.

and it always comes out good

결국엔 늘 잘 풀렸어요.

인생에 가장 중요한 가치

What do you think is the most important thing to instill in your children? You think in a child?

아이에게 가장 먼저 가르쳐야 할 가치는 뭘까요?

I would to me I would say kindness was the most important thing.

제 생각에는요. ‘친절함’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해요.

Yes, kindness. I agree with you.

맞아요, 친절. 저도 동의해요.

I think you have to teach more to be children

아이들에게 도덕적으로 바르게 사는 걸

to be morally good kids

더 많이 가르쳐야 해요.

you know everybody's obsessed

모두가 집착하고 있죠.

especially out here in New York

특히 뉴욕같은 곳에선 더 심하고요.

I want my child to go to Harvard I want him to go to Yale I want him to go to Princeton

“내 아이는 하버드 가야 해. 예일, 프린스턴 가야 해.”

I mean and then look what happened when the scams when they try to get their kids

그리고 봐요 그런 스캔들까지 있었잖아요 아이들을 억지로 넣으려고 하다가

this whole thing is disgusting to me

진심으로, 역겨운 일이었어요.

it's disgusting I mean

정말 끔찍해요, 제 말이에요.

doesn't that hurt the child more

그게 결국 아이에게 더 상처를 주는 거 아닌가요?

it's horrible see

정말 최악이죠.

there's two kinds of routes to success

성공의 두 가지 길이 있습니다.

so the first route is is the route to mediocrity

첫 번째는 ‘평범함’으로 가는 길이에요.

it was this is like a pathway that a million people have walked before you

그것은 그냥, 이미 수백만 명이 걸어간 길이죠.

the route to mediocrity

그게 바로 평범함의 길이죠.

went to Harvard and went to what do you call it Princeton whatever Goldman Sachs

네, 하버드 나오고, 프린스턴 나오고, 골드만삭스 가고

it's actually and I don't fault people

전 그런 사람들을 비난하진 않아요.

cause some people are strong enough

그들도 강하거든요.

but they they want to know every step of the way

하지만 늘 안전함을 확인하고 싶어하죠.

that they're safe this is what we talked about before

우리가 말한 ‘보장된 시스템’이요.

that's the power system you gravitate towards power

그게 바로 ‘권력 시스템’이에요. 힘을 향해 끌리는 거죠.

Now this is the opposite system

그 반대가 있어요

which is a route that you create yourself.

바로 ‘스스로 만드는 길’이죠.

you don't give a fuck about what anybody else thinks

남들이 뭐라고 생각하든 신경 쓰지 않아요.

your mission is to create

그들의 사명은 ‘창조’예요.

and let the chips fall where they may.

결과는 따라올 뿐이죠.

and it's very hard you know

그리고 그것은 매우 어렵습니다.

the kid sees all his friends going for the first the power system instead of this creative system

주변 친구들이 다 ‘권력 시스템’으로 가는 걸 보니까요.

what I always tell people is when you're 92

나는 항상 사람들에게 이렇게 말합니다. 당신이 92세가 되었을 때,

when you look back on your life

당신이 살아온 인생을 돌아보면

even if it didn't work out as well as you would have liked it to work out

생각만큼 잘 풀리진 않았더라도

You can say to yourself, “I made my decisions based on who I really am. And based on my instincts.”

“나는 내 진짜 자아와 본능에 따라 선택했다.”라고 말할 수 있어야 해요.

Obviously, you don’t want to be 100

물론 100%는 힘들겠지만,

but if you could get up to like 80, you’d be doing pretty good.

80% 정도만 되어도 정말 잘한 거예요.

평생 기억에 남을 조언

I’ve always taught this: discipline is the most important thing that you could have.

내가 늘 강조한 건 이거예요. ‘규칙 있는 삶’이 가장 중요하다고요.

order order is the right word

질서가 필요하죠.

order is the right word not yeah

‘질서’가 맞는 말이에요. 딱 그 단어예요.

not this order

무질서가 아니라요.

knowing you told me you helped me with such a great deal

그때 당신의 말이 내 삶을 많이 바꿨어요.

You said the way not to waste your days is to plan your day the night before.

당신이 말했죠. “하루를 낭비하지 않는 방법은 전날 밤 계획하는 것이다.”

Knowing what you have to do.

평생 기억에 남는 조언이에요.

And I never forgot that. And you taught me that.

그건 평생 기억에 남는 조언이에요.

and so do I do it every time

제가 매번 그렇게 하냐고요?

no but I do it when I really have to

꼭 그렇진 않지만 꼭 필요할 땐 그렇게 해요.

and I try to do it as much as I can

그리고 최대한 자주 하려고 노력하죠.

because you could just waste a day easy

하루는 생각보다 너무 쉽게 사라져요.

you told me you said that Eugene O'Neill didn't write his classics till he was in his 60s

그리고 당신이 말해줬죠. 유진 오닐이 명작을 쓴 건 60대였다고요.

yeah. The last two things he wrote was actually the best.

네. 그가 쓴 마지막 두 가지는 사실 최고였습니다.

The Iceman Cometh and I think Long Days journey

‘아이스맨이 온다’랑 ‘긴 하루의 여정’ 말이죠.

yeah and he was already famous he was compelled to get something out of himself that

네 이미 성공했지만, 더 깊은 진짜를 꺼내야만 했던 거죠.

that's what it was

그게 핵심이었죠.

By that pointyou don’t really care very much.

그 시점이 되면 세상이 날 어떻게 보든 별로 신경 쓰지 않게 되죠.

I don't care that much about now how I'm received

지금은 사람들이 절 어떻게 보는지 별로 신경 안 써요.

I did a lot when I was younger

젊었을 땐 많이 그랬지만요.

these books I mean I got to tell you folks and

이제 이 책들에 대해 말씀드릴게요 정말 중요한 얘기입니다

and this is really I know he doesn't like what I say it

필 박사님은 겸손하시지만, 전 꼭 말해야겠어요

but you have to read the tools and you have to read the other book that him and Barry Michaels another doctor Barry Michaels wrote

《더 툴스》와 배리 마이클스 박사와 함께 쓴 다른 책도 꼭 읽어야 해요.

If you’re feeling it just helps with guiding through life.

삶이 막막하거나 방향이 필요할 때 이 책이 큰 힘이 돼요.

because he gives you tools

말이 아니라 실천 가능한 ‘도구’예요.

You know a lot of times you’ll see a therapist

우리는 흔히 치료사를 만나면

And there are wonderful therapists out there

좋은 전문가들도 많죠

and some wonderful psychiatrist

훌륭한 정신과 의사들도 있습니다.

but they'll tell you this about that

하지만 그들은 그것에 대해 이렇게 말해줄 거예요.

about your mother and about this and your father

당신의 어머니와 이것, 그리고 당신의 아버지에 대해

and I believe in what Doctor Phil Stutz does in Barry Michaels they give you a hammer

하지만 저는 필 스터츠 박사와 배리 마이클스의 방식에 동의해요

a hammer and a saw in other words they give you a tool to fix the thing

그들은 망치를 줍니다. 망치와 톱을요. 문제를 ‘고칠 수 있는’ 도구를 주는 거예요.

so you could always refer to that and go back to that

그래서 언제든 돌아가서 다시 쓸 수 있어요.

so when am I saying it right Phil

제가 제대로 말한 건가요, 필?

yeah. you see here's the thing

잘 설명해주셨어요.

people mostly people want to do things that scare them

사람들은 두려운 걸 피해도, 속으론 그걸 해내고 싶어해요.

they tend to really know what the things are right

그리고 그들은 무엇이 두려운지 스스로 잘 알고 있어요.

the problem is you can't get somebody to do something new unless they have a reasonable expectation

문제는 ‘이건 할 수 있겠다’는 최소한의 기대감이 있어야 움직일 수 있어요.

that it's gonna work not a guarantee but a reasonable expectation

확신까진 아니어도, 가능성은 보여야 해요.

and the singular thing you can give them

그리고 그 사람에게 줄 수 있는 가장 강력한 건 '도구'입니다.

by far more important than anything else

다른 모든 것보다 훨씬 더 중요해요.

is a tool even if the tool doesn't work

그 도구가 꼭 완벽히 작동하지 않아도

the fact that it exists at all means there's hope for you

그게 ‘존재한다’는 사실만으로도 희망이 돼요.

and if you know the tool exists and you don't use it

그런데 도구가 있다는 걸 알면서도 안 쓴다면…

you how should we say this euphemistically

뭐라 말해야 할까요, 좀 완곡하게 말하자면…

yeah shame on you

그래요. ‘부끄러운 줄 아세요.’

yeah shame

그래요.

that's good one okay

좋은 말이네요, 알겠어요.

shame on you and it becomes a philosophy of life

당신에게 부끄러움이 되고, 그것은 삶의 태도가 됩니다.

it's like most of the big opportunities in life come after something bad happens

인생의 큰 기회들은 대부분 안 좋은 일이 있은 후에 옵니다.

that's just the way it works

그게 인생의 방식이에요.

that wow

와, 정말

that is great that is great yeah

정말 좋네요, 정말 좋아요, 그래요.

cause a lot of times people get fired right?

예를 들면, 사람들이 해고되잖아요?

and then from getting fired

그리고 그 해고를 통해서,

they actually find out what they want to do

진짜 자기가 뭘 하고 싶은지 알게 돼요.

Sometimes your spouse will leave you

어쩔 땐 배우자가 떠나서

and you’re brokenhearted and devastated for a year

1년 넘게 마음이 무너지죠

but you end up meeting someone that you have a better relationship with

하지만 결국 더 나은 관계를 맺을 사람을 만나게 돼요.

yes so

네, 그래서

nothing really good I mean

진짜 좋은 건 제 말은요

everything really good comes out of suffering and pain

행복은 고통이라는 문을 지나야 와요.

yeah The way to look at it is suffering and pain are preludes to something good that’s going to happen.

고통은 ‘좋은 일의 서막’이라고 생각해야 해요.

But first you gotta work your way through the something bad.

하지만 먼저 그 나쁜 일을 ‘뚫고 나가야’ 하죠.

The total of something bad, and then turning it into something good

나쁜 일을 지나고, 좋은 걸로 전환하는 걸

that’s called the turnaround.

‘턴어라운드(turnaround)’라고 부릅니다.

I symbolize it’s by a ‘U’.

저는 그걸 ‘U자 곡선’으로 표현해요.

Up here, you’re kind of like in God’s mind so to speak and you feel great

곡선 위쪽에선 마치 신처럼 느껴지죠.

it's like you almost feel like you're God

완벽하고, 자신 있고요.

But then if you want to become an individual

하지만 ‘진짜 자기 자신’이 되려면

you have to go down the the U to the bottom that's a trough

아래로 바닥까지 떨어져야 해요.

and at that point you feel like you're an individual but you don't know shit and you're completely helpless

그곳에선 철저히 혼자고, 아무것도 모르겠고, 무기력하죠.

now the idea of therapy is is to come back up from that trough

그리고 ‘치료’란, 바로 그 바닥에서 다시 올라오는 거예요.

if you know what I mean by trough

우리 모두 그런 시기를 겪죠.

the low point it's much more powerful to come back from a low point

낮은 지점에서 바닥에서 부터 회복하는 게,

that it is to succeed with there has been no low point the person who succeeded

처음부터 순탄하게 성공한 것보다 훨씬 강합니다.

without a low point will eventually crack up and quit

낮은 지점 없이 성공한 사람은 결국 무너져요. 포기하죠.

because he doesn't have the fiber

‘내면의 근육’을 가지지 못했거든요.

anyway if you so anyway these

어쨌든, 이것들에 대해서라면…

these turnarounds

이 턴어라운드

just a little ‘U’ the only thing you can take with you into uncertainty

작은 ‘U’ 하나가 불확실성 앞에 설 때, 가져갈 수 있는 유일한거예요

nothing else it's like you go in naked

완전히 벌거벗겨진 채 들어가는 느낌이죠.

it's like a human life is a thing it's one big fat opportunity

마치 인간의 삶이 하나의 큰 기회인 것 같습니다.

and if you're 90 you look back and you say well I blew that opportunity and do shit

90살이 되어 돌아봤을 때 “망쳤구나”라고 말하게 된다면

it's one of the worst feelings you could possibly have but Barry puts in a

그 절망감은 말로 다 할 수 없을 거예요. 배리는 말하죠

you know, he thinks he says everyone has a song to sing.

배리 마이클스는 사람마다 자기만의 ‘노래’가 있다고 말해요.

I forget the wording of it

정확한 말은 기억 안 나지만,

but the worst thing is to be old and know

가장 끔찍한 건 나이 들어서 자기 노래를 부르지 못했다는 걸 아는 거죠.

you didn't sing your own song

끝내 자신의 인생을 살지 못했다는 거예요.

you want the mediocrity and safety

안전함 속에 감춰진 두려움 때문이죠.

and I say this with all due respect to people

이 말은 모든 분들께 존중을 담아 말씀드려요

I'm not saying everybody can do this in one day

이건 하루 만에 되는 일이 아니라는 걸 잘 알아요.

but it's a direction if you can't do it

인생의 방향만큼은 정해야 해요.

it's good to try to talk to your kid about it

당신이 못하더라도 아이에게 이 이야기를 해주는 건 정말 좋아요.

and it had because think about it like this

그리고 그것은 왜냐하면 이렇게 생각해보세요.

what's happening now let's say in the last two years we've been invaded

지금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나요? 우린 전쟁을 겪고 있어요.

it's just you can't see the other soldiers

형체는 안 보이지만, 확실한 적들이 있어요.

these tiny little things we're at war with who Phil

우린 누구랑 싸우고 있죠, 필?

we're at war with Part X we're at war with Part X

우린 'X 파트'에서 싸우고 있어요.

yeah right

맞아요.

and that's why the world is so fucking crazy

세상이 이토록 혼란스러운 이유예요.

and that's why what I say to you is the Pod X is so strong

그래서 제가 말하는 것은 바로 이것입니다. 우리 안의 'x파트' 그 부정적인 목소리는 매우 강력해요.

that we want to get the positive voice just as loud

그래서 우리는 ‘긍정의 목소리’를 그만큼 크거나, 더 크도록 만들어야 해요.

or louder or louder and that's why I do my podcast

더 크게요. 네. 그래서 저는 팟캐스트를 하는 거예요.

that's why I talk about things

그게 제가 사람들과 이야기하고,

that's why I entertain but I also try to teach and

웃기고, 감동을 주는 이유예요. 재미와 함께 ‘전달’을 해요.

and my job is to learn from you and to put it out there for people who you know who could better their life who really could better their life

내 일은 당신한테 배운것을 삶을 바꾸고 싶은 사람들에게 전하는거에요.

so I truly believe that

그래서 저는 진심으로 믿습니다.

the more you hit the domino's in the right direction

도미노를 올바른 방향으로 계속 쓰러뜨릴수록,

the more the flow comes

인생의 흐름도 자연스럽게 따라와요.

but to put it another way the more good choices you make, the better your life will be.

다르게 말하면, 좋은 선택을 많이 할수록 인생은 더 나아진다는 거죠.

it's really that simple

진짜 단순한 원리예요.

 

 

📚 필 스터츠 저서

-필 스터츠의 내면강화

https://link.coupang.com/a/comPG2

-세상은 고통이다 하지만 당신은 고통보다 강하다

https://link.coupang.com/a/comPYT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