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리되지 않은 감정이 만들어 내는 것
Deal Alan, you write about so much, you produce content about so many different subject matters, but what is the overarching mission that you are on?
당신은 정말 다양한 주제에 대해 글을 쓰고 콘텐츠를 만드시는데요, 그 모든 것에 공통된 핵심적인 목적은 무엇인가요?
I’m trying to look almost systematically at a variety of causes of unhappiness created by the world we live in.
저는 우리가 살아가는 세상이 만들어낸 다양한 불행의 원인들을 체계적으로 들여다보려 하고 있습니다.
You know, obviously the world we live in has solved many, many problems,
물론 우리가 사는 세상은 수많은 문제들을 해결해왔죠,
but it’s also generated in a host of areas particularly difficult challenges that have not really struck humanity before.
하지만 동시에, 인류가 이전에 겪어보지 못한 특별히 어려운 문제들도 여러 영역에서 만들어냈습니다.
And I like to think both personally and on behalf of others about what those problems are and how we might steer through them.
그리고 저는 그 문제들이 무엇인지, 또 우리가 그것들을 어떻게 헤쳐나갈 수 있을지를 개인적으로도, 또 타인을 대신해서도 생각해보는 걸 좋아합니다.
The average human has 70,000 thoughts a day
평균적으로 사람은 하루에 7만 가지 생각을 합니다
Not huge elaborate ones, but just stray little fragmentary thoughts — 70,000 of them pass through consciousness every day. 거창하고 복잡한 생각이 아니라, 흩어진 조각 같은 작은 생각들이죠 — 그런 생각들이 하루 동안 의식을 지나갑니다.
And the problem is that we don’t know how to process them or use them.
문제는 우리가 그 생각들을 어떻게 처리하고 활용해야 할지 모른다는 점입니다.
This is part of the reason why we end up with such, you know, busy and troubling minds.
그것이 우리가 바쁘고 혼란스러운 마음 상태에 이르게 되는 이유 중 하나입니다.
We haven’t stepped back in order to ask ourselves at the end of the day some of those questions that can calm us down.
우리는 하루의 끝에서 우리를 진정시켜 줄 수 있는 몇 가지 질문들을 스스로에게 던지기 위해 한 걸음 물러나 본 적이 없습니다.
Like, you know, who am I angry with? What am I excited by? What’s really happened today?
예를 들어, 내가 누구에게 화가 났는지, 무엇에 설레었는지, 오늘 무슨 일이 정말 있었는지를 말이죠.
We let experiences rush past us.
우리는 경험들을 그냥 흘려보냅니다.
And then, of course, experiences that haven’t been digested properly
have a nasty habit of coming to sting us in the tail.
그리고 물론, 제대로 소화되지 않은 경험들은 결국 우리를 되받아치는 끔찍한 습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And I think you can look at a lot of mental troubles as essentially the outgrowth of unprocessed emotion.
저는 많은 정신적인 문제들을 기본적으로 ‘처리되지 않은 감정’의 결과로 볼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Depression is often sadness that hasn’t understood itself.
우울증은 종종 스스로를 이해하지 못한 슬픔입니다.
Anxiety or irritability is worry that doesn’t know its own cause.
불안이나 짜증은 자신의 원인을 알지 못하는 걱정입니다.
And so often what we need, particularly in the modern world,
is occasions on which we can get to know our own minds.
그래서 우리가, 특히 현대 사회에서, 자주 필요로 하는 것은 바로 우리 자신의 마음을 알 수 있는 시간입니다.
It’s a strange thing — surely we know our own minds, surely we know.
이건 이상한 일입니다 — 우리는 분명히 우리 자신의 마음을 알고 있다고 생각하죠.
No, no. The way that we’re built is obviously not prioritizing a full awareness of ourselves.
아니요, 아닙니다. 우리는 본래 스스로에 대한 온전한 인식을 우선시하도록 만들어지지 않았습니다.
We’re outward-facing creatures. We’re action-focused creatures.
우리는 외부를 향하는 존재이고, 행동에 집중하는 존재입니다.
Which is all good and has many advantages,
그것은 모두 좋은 것이고, 많은 장점이 있습니다.
But because of the way we live now — more sedentary lives—
하지만 지금 우리가 살아가는 방식, 즉 훨씬 더 앉아서 생활하는 삶 때문에—
Lives that call upon us not merely to be active but also to be fulfilled—
그런 생활이 우리에게 단순히 활동적인 것을 넘어서, 삶의 만족감까지 요구하죠.
Those lives require periods of introspection that our routines often don’t allow for.
하지만 이런 삶은 자기 자신을 돌아볼 여유를 거의 주지 않습니다.
So I’m always trying, both for myself and advising others,
그래서 저는 항상, 제 자신을 위해서도, 또 다른 사람들에게도 이렇게 조언하고 있습니다.
Take that time in the evening and just sit down in a semi-darkened room and ask yourself,
저녁 시간에 조용히, 살짝 어두운 방에 앉아 자신에게 질문을 던져보세요.
What’s coming up for me? What’s really happened inside me?
지금 내 안에서 올라오고 있는 건 뭘까? 오늘 내면에서는 어떤 일이 있었을까?
Because it can take a little while to realize what you’re really upset by, what you’re really excited by, etc.
왜냐하면 내가 정말 화난 것, 정말 설렜던 것이 무엇인지 알아차리는 데는 시간이 조금 걸릴 수 있기 때문입니다.
We’re not obvious to ourselves.
우리는 우리 자신에게도 명확하지 않습니다.
And as I say,
그리고 제가 항상 말하듯이,
So many of the things that we call mental disorders
or mental illnesses are really stored emotion that hasn’t found a way out.
우리가 정신질환이라 부르는 것들 중 많은 것이 사실은 밖으로 나오지 못한 감정들이 쌓인 것입니다.
Emotions that haven’t been acknowledged have a nasty habit of stirring our conscience, demanding to be heard.
인정받지 못한 감정은 양심을 뒤흔들고, 들어달라고 요구하는 나쁜 습관을 가집니다.
They might want to tell our spines, they might want to tell our stomachs.
그 감정은 우리의 척추에게 말하고 싶어할 수도 있고, 위장에게 말하고 싶어할 수도 있습니다.
And again,
그리고 다시 말하지만,
A useful exercise so as not to be struck by so many of these psychosomatic disorders is to ask the body what it’s trying to tell you,
수많은 심신 질환으로부터 벗어나기 위한 좋은 방법은, 몸이 여러분에게 무엇을 말하려 하는지를 물어보는 것입니다.
So that it doesn’t need to tell you in the more dramatic forms that end up as illnesses.
그래야 그것이 병이라는 극적인 형태로 말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입니다.
So again,
그래서 다시 말하자면,
If you lie down, you simply say to yourself,
누워서, 여러분 자신에게 이렇게 말해보세요.
If my back could speak, what does it want to tell me?
내 허리가 말할 수 있다면, 나에게 뭐라고 하고 싶을까?
If my shoulders could have their say, what are they trying to say?
내 어깨가 말을 할 수 있다면, 그건 무슨 말을 하려는 걸까?
If my stomach could have a voice, what might it be trying to utter?
내 위장이 목소리를 가질 수 있다면, 무슨 말을 하려는 걸까?
Can you apply that same rationale to things like anxiety?
이런 사고방식을 불안 같은 문제에도 적용할 수 있을까요?
Absolutely.
물론입니다.
Take something like insomnia — you wake up at 3 in the morning.
이를테면 불면증 같은 경우, 새벽 3시에 깨게 되죠.
The way I like to think of it is: insomnia is a kind of revenge for all those thoughts
제가 생각하는 불면증은, 낮 동안 억눌렀던 생각들이 복수하는 형태라고 볼 수 있습니다.
That you were so careful not to have in the day.
낮 동안 너무 조심스럽게 회피했던 그 생각들 말이죠.
Schemed not to have those thoughts in the day.
일부러 그런 생각이 떠오르지 않게 머릿속에서 밀어냈던 거죠.
Because of our emotional conscience, they want to be heard.
감정적 양심 때문에, 그 생각들은 들려지고 싶어 합니다.
And if you’re not hearing them at 3:00 p.m., you’re going to be hearing them at 3:00 a.m.
오후 3시에 듣지 않으면, 새벽 3시에 듣게 될 겁니다.
So one of the best ways to sleep is
그래서 잠을 잘 자기 위한 가장 좋은 방법 중 하나는
To make sure you’re having a little bit more of an in-depth conversation with yourself before you enter sleep.
잠들기 전에 여러분 자신과 조금 더 깊은 대화를 나누는 것입니다.
Because that will allow you that kind of deeper rest,
so as I say, we have this emotional conscience that requires that
그것은 당신에게 더 깊은 휴식을 제공할 것입니다. 그래서 제가 말하듯이, 우리는 감정적인 양심을 가지고 있고, 그것은 요구합니다—
The key things about us have a chance to be heard.
우리 내면의 핵심적인 감정들이 들어질 기회를 가져야 한다는 것을요.
And look, let’s not forget— I mean, this is the whole theory of trauma.
그리고 잊지 말아야 할 것이 있습니다— 바로 이것이 트라우마 이론 전체입니다.
What psychotherapists have very usefully over the last 20–30 years informed us about
지난 20~30년 동안 심리치료사들이 우리에게 유용하게 알려준 것은,
Is that events in our past, especially in our early childhood, that we have not had a chance to properly understand
과거, 특히 어린 시절에 겪었지만 제대로 이해할 기회가 없었던 사건들이
And how much can a 3, 4, 5, 6 year old understand?
3살, 4살, 5살, 6살 아이가 얼마나 이해할 수 있었겠습니까?
It doesn’t mean they haven’t registered.
이해하지 못했다고 해서 그 감정이 존재하지 않았던 것은 아닙니다.
They’ve registered all the more deeply.
오히려 더 깊숙이 내면에 새겨졌고,
And they haven’t had a chance to be processed.
그 감정은 어디에도 발산되지 못한 채 우리 안에 머물러 있습니다.
I was thinking— a friend of mine recently lost a parent.
최근에 친구 한 명이 부모님을 여의었습니다.
He’s in his 50s, well-educated, got resources, got friends, spouse, etc.
그는 50대이고, 교육도 잘 받았고, 자원도 있고, 친구도 있고, 배우자도 있습니다.
He was telling me he was laid low by depression, just couldn’t get out of bed, completely stunned by his loss.
그는 우울증으로 인해 몸져누웠고, 침대에서 일어날 수도 없었으며, 그 상실감에 완전히 압도당했다고 했습니다.
And I was thinking— in a way he’s lucky, because he’s got all those resources of adulthood.
그리고 저는 생각했습니다— 어떤 면에서는 그가 운이 좋은 것이라고요. 성인이기에 그나마 그 감정을 소화할 수 있는 도구가 있었으니까요.
Imagine a 5-year-old child who suffers a bereavement.
그런데 다섯 살짜리 아이가 누군가를 잃는다고 상상해보세요.
They’ve got no friends that they can have those sorts of dialogues with.
그들은 그런 대화를 나눌 수 있는 친구가 없습니다.
They’ve got no books they can read about this.
이런 상황을 다룬 책도 읽을 수 없습니다.
They’ve got no capacity to process.
처리할 능력도 없습니다.
They’ve got no understanding of time, etc.
시간에 대한 개념조차 없습니다.
Emotions that can’t be had lodge themselves in us and gum up our systems.
표현되지 못한 감정들은 우리 안에 머무르고, 우리의 내면을 엉망으로 만듭니다.
And I think so much of the work that we need to do on ourselves
그리고 우리가 스스로 해야 할 작업의 많은 부분은
Is to process pain that has not been properly understood—
제대로 이해되지 못한 고통을 처리하는 것입니다—
Not because anyone’s evil, but because we’ve lacked the resources to do so.
누군가가 악해서가 아니라, 우리가 그런 것을 처리할 자원이 부족했기 때문입니다.
능력주의 사회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You got me thinking about this concept of happiness as you’re speaking—
당신의 말을 들으며, 저는 행복이라는 개념에 대해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And whether it’s a natural thing for our species to be aiming at,
행복을 추구하는 것이 우리 종에게 자연스러운 일인지,
Or whether it’s a new, more modern thing that we’ve decided to focus upon.
아니면 그것이 현대에 와서 우리가 집중하게 된 새로운 개념인지에 대해요.
And are we causing ourselves immense distress
그리고 우리가 스스로에게 엄청난 고통을 야기하고 있는 건 아닌지요,
In this pursuit of this thing that maybe our ancestors didn’t ever think about?
우리의 조상들이 전혀 생각조차 하지 않았던 것을 추구하면서 말이죠?
This whole, you know, we think about self-actualization,
요즘 우리는 자아실현 같은 것을 생각합니다.
And they were probably thinking about survival and reproduction more.
하지만 조상들은 생존과 번식에 더 집중했을 것입니다.
Look, these all belong to the sort of paradoxes of modern times.
이 모든 것은 현대 사회의 역설들 중 하나입니다.
Modern times have obviously brought us enormous advantages—
현대는 분명히 우리에게 엄청난 혜택을 가져다주었습니다—
But they’ve also brought us particular complexities
하지만 동시에 특정한 복잡성도 가져왔습니다.
That I think we’d be wise to realize.
우리가 인식할 수 있다면 참 지혜로울 일입니다.
And one of them is the disappearance of religion.
그 중 하나가 바로 종교의 소멸입니다.
I mean, we are still among the first generations
우리는 여전히 최초의 세대 중 하나입니다—
In many parts of the world—
세상의 많은 지역에서—
To be trying to live good lives without the support of religion.
종교의 도움 없이 ‘좋은 삶’을 살고자 하는 시도를 하는 최초의 세대 말입니다.
Think of how religion structured time and human experience in time.
종교가 시간과 인간의 경험을 어떻게 구조화했는지 생각해보세요.
As a religious person, you immediately feel
종교적인 사람은 즉시 이렇게 느낍니다—
The present moment is not as important
지금 이 순간은 그렇게 중요하지 않다는 것,
As 100, 200, 2,000, million year history that has come before and will continue after.
앞서 지나간 100년, 200년, 2,000년, 수백만 년의 역사에 비하면 말이죠.
The present moment is a speck in time.
지금 이 순간은 그저 시간 속의 작은 점에 불과합니다.
And there’s a whole narrative of which you’re part—
그리고 당신은 그 거대한 이야기의 일부라는 사실을 느끼게 됩니다—
That immediately diminishes you in scale.
그것은 당신을 즉시 작게 만들어 줍니다.
Nowadays, all of us want to be rather large.
오늘날 우리 모두는 커다란 존재가 되길 원합니다.
We want to be big, big people.
우리는 ‘중요한 사람’이 되고 싶어 합니다.
We want to make a big impression.
세상에 강한 인상을 남기고 싶어 하죠.
But arguably, this is a fast route to mental illness.
하지만 어쩌면 이건 정신질환으로 가는 빠른 길일 수 있습니다.
Because the graceful acceptance
왜냐하면 자신이 우주 속에서 아주 미세한 존재라는 사실을 우아하게 받아들이는 것—
Of your minuscule position in the cosmos—
그것이야말로
Is the gateway to calm and harmony.
진정과 조화로 가는 문이기 때문입니다.
When people say, “I went into this hotel, the person made me feel small”—
사람들이 “호텔에 갔는데, 그 사람이 나를 보잘것없게 만들었어요”라고 할 때,
That’s the bad way of being made to feel small.
그건 부정적인 방식의 작아짐입니다.
But there’s a good way of being made to feel small.
하지만 긍정적인 작아짐도 있습니다.
Pick up an ancient text,
예를 들어 고대 문헌을 집어 들어보세요.
Read words that were written by someone in a foreign tongue 3,000 years ago.
3,000년 전 외국어로 쓰인 문장을 읽어보세요.
That’ll make you feel small.
그건 당신을 작게 느끼게 할 겁니다.
Go into the desert.
사막에 가보세요.
Notice the age of the rocks,
돌의 나이를 느껴보세요,
Time inscribed in sand.
모래에 새겨진 시간의 흔적을 말이죠.
That’ll put you in your place.
그것은 당신을 당신 자리에 다시 놓아줄 것입니다.
Spend time with an animal
동물과 시간을 보내보세요—
That has no concern for your state,
당신의 사회적 지위도,
Your sense of importance,
자존심도,
Your foiled narrative of your own success.
망가진 성공 스토리도 전혀 신경 쓰지 않는 존재와요.
All these things that drive modern humans mad—
이 모든 현대인들을 미치게 만드는 것들—
These are not present in an older kind of religious sphere.
이런 것들은 과거의 종교적 세계에는 존재하지 않았습니다.
And as I say, what religions do is they tell us:
그리고 제가 말했듯, 종교가 해주는 일은 다음과 같습니다:
“You’re part of a bigger story.”
“당신은 더 큰 이야기의 일부입니다.”
they also tell us many faiths tell us that
그리고 많은 신앙은 또 이렇게 말합니다
And you in particular are imperfect.
삶은 그리고 당신은 불완전합니다.
You know, think of Catholicism and its notion of original sin.
가톨릭의 원죄 개념을 떠올려보세요.
Now, lots of bad stuff associated with original sin—
물론 원죄와 관련된 좋지 않은 요소들이 많지만,
I’m not, you know, a huge fan of many aspects—
저는 그 모든 면을 좋아하는 건 아니지만요,
But let’s look at the good side, right?
하지만 그 안의 긍정적인 면을 살펴봅시다.
What Catholicism tells is that everybody’s broken, everybody is flawed.
가톨릭은 모든 사람이 깨어지고 결함이 있다고 말합니다.
It’s quite a helpful starting point, right?
이건 꽤 유용한 출발점이기도 하죠.
Because if you think, “Well, all right, I’m a bit broken, but so is somebody else, so is somebody else…”
왜냐하면 “그래, 나도 좀 망가졌지만 다른 사람도 그렇고, 모두 그렇다”고 생각하면
We’re all doing our best.
우리 모두 최선을 다하고 있는 셈입니다.
That’s the gateway to vulnerability, to friendship.
이것이 바로 취약성과 우정으로 들어가는 문입니다.
If you like, lower expectations—
기대치를 낮추는 것이라고도 할 수 있고요.
Lower expectations, but also to connection with others.
기대치를 낮추면서도 타인과의 연결로 나아갑니다.
You know, so often people who become successful find it really hard to make friends.
성공한 사람들일수록 친구를 사귀기 어려워합니다.
Why? Because they associate success with invulnerability.
왜냐하면 그들은 성공을 ‘상처받지 않음’과 연결짓기 때문입니다.
And the more successful they get,
그리고 성공하면 할수록,
The harder it is for them to admit to the real truth about being human—
인간이라는 존재의 진실을 인정하는 것이 더 어려워집니다.
Which is that we’re all helpless children— some of the time at least—
그 진실이란, 우리는 모두 때때로 무력한 아이들이라는 것이죠.
Frightened, helpless children.
두렵고, 무력한 아이들입니다.
And it becomes harder to keep up the contact with that,
그 사실과의 연결을 유지하는 것조차 어려워지고,
Let alone admit that to somebody else.
그것을 다른 사람에게 말하는 건 더더욱 어렵습니다.
So again, religions handily reduce our expectations and our sense of ourselves.
그래서 다시 말하지만, 종교는 우리의 기대치와 자아 인식을 편리하게 낮춰줍니다.
We are merely flawed humans.
우리는 단지 결함 있는 인간일 뿐입니다.
There is a perfect world— it doesn’t exist in Beverly Hills,
완벽한 세상이 있긴 하지만, 그건 베벌리 힐스에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It doesn’t exist in, you know, the fancy parts of Singapore or Sydney.
싱가포르나 시드니의 고급 지역에도 존재하지 않습니다.
It exists up there, in another world.
그것은 저 위, 다른 세계에 존재합니다.
In other words, the human realm is inherently imperfect.
다시 말해, 인간의 세상은 본질적으로 불완전합니다.
Quite a good starting point.
이는 꽤 괜찮은 출발점입니다.
I mean, even if you went on a date—
예를 들어, 데이트를 한다고 상상해보세요.
Imagine two characters you might go on a date with.
데이트할 수 있는 두 사람을 떠올려 보세요.
First one tells you, “Yeah, I’m kind of perfect and I’m aiming to achieve total perfection.”
첫 번째 사람은 “네, 저는 꽤 완벽한 편이고, 완전한 완벽을 추구하고 있어요.”라고 말합니다.
You think, “Wow, good for them… but slightly scary.”
당신은 “와, 대단하긴 한데… 좀 무섭다.”라고 생각합니다.
Next to somebody else who says, “I’m kind of flawed,
다른 한 명은 “저는 좀 부족해요.
But I’m sort of managing my flaws, and I’m interested in how to get to know my flaws and work with them.”
하지만 그 결점을 다루려고 노력 중이고, 그것을 알아가고 함께 살아가는 데 관심이 있어요.”라고 말합니다.
Instantly one thinks, “Ah, life might be easier around such a person.”
그러면 즉시 “아, 저런 사람과 함께라면 인생이 조금 더 쉬울 것 같아.”라는 생각이 듭니다.
There’s something about the pursuit of perfection which makes day-to-day life extremely hard.
완벽을 추구하는 데에는 일상을 매우 힘들게 만드는 뭔가가 있습니다.
And religions slightly, by the by, tick that box—
그리고 종교는, 은근히 그 부분을 체크해줍니다—
They were able to reduce us in our own eyes,
우리가 우리 자신을 작게 느끼도록 만들면서도,
While raising us in the eyes of, you know, a Divine being.
동시에 신의 눈에는 우리를 높여줍니다.
And that has helped us to have an easier relationship with ourselves.
그리고 그것은 우리가 자기 자신과 더 편한 관계를 맺도록 도왔습니다.
And the notion also was: you cannot perfect this life.
그리고 이런 생각도 있었습니다: 이 삶은 완벽해질 수 없다는 것입니다.
We moderns — we modern people —
우리는 현대인들입니다 — 이 시대를 사는 사람들 말이죠 —
We think the present moment is supremely important.
우리는 현재 이 순간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Now is important.
지금 이 순간이 중요합니다.
Everything that’s going on right now is supremely important.
지금 벌어지고 있는 모든 일이 가장 중요하다고 여깁니다.
Doesn’t matter — remember 100 years ago, 1,000 years ago —
과거 100년 전, 1,000년 전은 중요하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Now is the only criteria of time.
지금 이 순간만이 시간의 기준입니다.
You are perfect, right?
당신은 완벽해야 한다는 거죠?
So if there’s something wrong with you,
그래서 만약 당신에게 문제가 있다면,
You’re failing against an ideal of perfection.
당신은 완벽이라는 이상에 실패하고 있는 것입니다.
Again, very, very hard.
이건 정말 매우 힘든 일입니다.
And that you are made—
그리고 당신은 만들어졌습니다—
I mean, the biggest challenge of all—
말하자면, 가장 큰 도전은—
You’re made to be happy.
당신은 행복하도록 만들어졌다는 생각입니다.
As you suggested, that the true goal of every human is happiness—
당신이 말한 대로, 인간의 진짜 목적은 ‘행복’이라는 생각이죠.
Not fulfillment, not the realization of a grand scheme, not living for others—
성취도 아니고, 거대한 계획의 실현도 아니며, 타인을 위한 삶도 아닙니다—
Your own happiness.
당신 자신의 행복입니다.
And again, it’s a beautiful idea—
물론, 이것은 아름다운 생각입니다—
But goodness me, does it cause problems.
하지만 정말, 그것은 많은 문제를 일으키기도 합니다.
Goodness me.
정말이지요.
You know, think of Émile Durkheim,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20세기 초의 에밀 뒤르켐을 떠올려보세요—
French sociologist writes this book—
프랑스의 한 사회학자가 책을 씁니다—
So contrasting the differences between ancient societies and modern societies.
고대 사회와 현대 사회의 차이점을 대조하면서 말이죠.
And he identifies one troubling difference between ancient societies—
그리고 그는 고대 사회, 그러니까
Premodern, agricultural, village-based societies where religion plays a role—
종교가 역할을 하던 전근대 농업 중심의 마을 공동체 사회와
And modern, urban, technologically driven, success-oriented, individualistic societies.
현대의 도시 중심, 기술 중심, 성공 지향적이고 개인주의적인 사회 사이에서
문제적인 차이점을 하나 발견합니다.
And that’s the suicide rate.
바로 자살률입니다.
He realizes in his book On Suicide, published in 1900,
그는 1900년에 출간된 『자살론』이라는 책에서 깨닫습니다.
That modern societies— for all their advantages—
모든 장점을 지닌 현대 사회가
Lead their members, or at least a share of their members,
그 구성원들 중 일부, 특히
Often the most ambitious of their members, to take their own lives.
가장 야망 있는 이들을 자살로 몰아간다는 사실을요.
Why? What’s going on?
왜일까요? 무슨 일이 벌어지고 있는 걸까요?
And this becomes— well, it’s the birth of modern sociology, really.
이 질문은 결국— 현대 사회학의 출발점이 됩니다.
It becomes a major inquiry into what modern times does to the soul.
이것은 현대 사회가 인간의 영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주요한 탐구가 됩니다.
And I’m deeply fascinated by that.
저는 이 주제에 깊이 매료되었습니다.
I can’t let that one go.
이 질문을 놓을 수가 없습니다.
Because what’s this paradox?
왜 이런 역설이 존재할까요?
What’s this paradox of suffering amidst plenty?
풍요 속의 고통이라는 이 역설은 무엇일까요?
Of regress amidst progress?
진보 속의 퇴보란 또 무엇일까요?
This fascinates me.
이 모든 것이 저를 사로잡습니다.
I spoke to the CEO of CALM (Campaign Against Living Miserably), Simon Gunning,
저는 CALM(Campaign Against Living Miserably)의 CEO인 사이먼 거닝과 이야기했는데요,
And he shared some stats with me about—
그는 저에게 몇 가지 통계를 공유해 주었습니다—
Exactly what you’re talking about— about suicide—
정확히 자살에 대해 말씀하신 그 주제입니다—
He said someone dies by suicide in the UK every 90 minutes.
그는 말했습니다. 영국에서는 90분마다 한 명이 자살로 생을 마감합니다.
76% are male.
그 중 76%는 남성입니다.
There’s 25 attempts for every death.
자살 1건당 약 25번의 시도가 존재합니다.
The single biggest cause of death for men under 45 is suicide.
45세 이하 남성의 가장 큰 사망 원인은 자살입니다.
The single biggest cause of death for 15 to 49 year olds is suicide.
15세에서 49세 사이 전체 인구의 가장 큰 사망 원인도 자살입니다.
That 19 to 35 year old category are twice as likely to report being in crisis than any other group.
19세에서 35세 사이 연령층은 어떤 다른 연령대보다 위기감을 느낀다고 말할 확률이 2배 높습니다.
And 16 to 24s is the fastest growing group in history to exhibit suicidality.
그리고 16세에서 24세 연령층은 역사상 가장 빠르게 자살 경향성을 보이고 있는 집단입니다.
And more recently there’s a big conversation emerging now around young women and suicidality—
그리고 최근에는 젊은 여성들 사이에서도 자살 관련 문제가 크게 부각되고 있습니다—
Which is a fairly recent, unfortunately exploding trend.
이것은 비교적 최근에 발생한, 안타깝게도 급증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People don’t just commit suicide when things are bad.
사람들은 단지 상황이 나쁠 때만 자살을 시도하는 것이 아닙니다.
People commit suicide when things are bad and they think—
사람들은 상황이 나쁘고, 동시에 이렇게 생각할 때 자살합니다—
It’s their fault.
이건 내 잘못이야.
They cannot disassociate the trouble they feel from an intense sense of responsibility—
그들은 자신이 느끼는 고통을, 강렬한 책임감에서 분리해내지 못합니다—
Which then also entails shame.
그리고 그 책임감은 곧 수치심으로 이어집니다.
Now, what’s going on there?
그렇다면, 여기서 무슨 일이 벌어지고 있는 걸까요?
When I say that we live in an individualistic world—
제가 “우리는 개인주의적인 세상에 살고 있다”고 말할 때,
What that really means is:
그 말의 진짜 의미는,
We live in a world where people feel they control their own narratives.
사람들이 자신의 삶의 이야기를 스스로 통제한다고 느끼는 세상입니다.
That what happens to them is very tightly a reflection of who they are and what they’ve done.
자신에게 일어나는 일은 자신이 누구이고, 무엇을 했느냐의 직접적인 반영이라고 믿는 세상입니다.
And this was not always the case.
하지만 이것은 언제나 그랬던 것은 아닙니다.
For long periods of history,
역사의 대부분의 시기 동안,
People were not necessarily tightly held to the observable outcomes of their lives.
사람들은 자신의 삶에서 드러나는 결과에 그렇게 깊이 연관되진 않았습니다.
This happened with money, for example.
예를 들어, 돈 문제에서도 이런 일이 있었습니다.
In Old English, a poor person was known as an “unfortunate.”
고대 영어에서는 가난한 사람을 ‘운이 없는 사람(unfortunate)’이라 불렀습니다.
Let’s unpack that word: “unfortunate.”
이 단어를 자세히 풀어보면—
There’s the word Fortuna in there.
그 안에는 Fortuna라는 단어가 들어 있습니다.
What was Fortuna for the Romans?
로마인들에게 Fortuna란 무엇이었을까요?
Fortuna was the goddess— of luck, the goddess of Fortune.
Fortuna는 행운의 여신, 운명의 여신이었습니다.
And the Romans were there all the time sacrificing things to the goddess of Fortune,
로마인들은 늘 Fortuna 여신에게 제물을 바쳤습니다,
As a way of saying, “You know, please— it’s not me, it’s, you know, this outside agency.”
“부디 저를 도와주세요— 제 문제가 아니라, 외부의 힘 때문이에요.”라는 의미에서였죠.
Nowadays this sounds completely weird.
오늘날엔 이런 말이 완전히 이상하게 들립니다.
I mean, what do we call in the most individualistic country in the world— the United States?
세계에서 가장 개인주의적인 나라, 미국에서 우리는 어떻게 말할까요?
What are poor people called?
가난한 사람들을 뭐라고 부르죠?
It’s not a nice term— they’re called “losers,” right?
좋지 않은 단어지만, 그들은 “패배자”라고 불립니다.
You say, “That’s a loser.”
“쟤는 루저야.” 라고 말합니다.
So we’ve gone from “unfortunate” to “loser”—
그래서 우리는 “불운한 사람”에서 “패배자”로 이동한 것입니다—
That’s a trajectory of 400 years.
이건 400년에 걸친 사고방식의 변화입니다.
What’s happened in that time is a story about who’s responsible for people’s fate.
그 시간 동안 벌어진 일은, 사람들의 운명을 누가 책임지는가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And nowadays, you know, if I said to you, “Stephen, things have not been going so well for me…”
그리고 요즘엔, 만약 제가 “스티븐, 요즘 일이 잘 안 풀려요…”라고 말한다면—
“I’ve just been sacked, my books haven’t sold—”
“해고됐고, 제 책도 안 팔려요—”
“But it’s not me. I just had a bit of bad luck.”
“하지만 제 잘못은 아니에요. 그냥 운이 좀 없었어요.”
You, a very nice person, but a modern person side of you would be thinking:
당신은 아주 좋은 사람이지만, 현대인으로서 마음속 한편에선 아마 이렇게 생각할 겁니다:
“Hm… You must have done something wrong, right?”
“흠… 뭔가 잘못한 게 있겠지, 그렇지 않나?”
You’d be thinking, “You must have done something wrong,”
“틀림없이 뭔가 잘못했겠지”라고 생각하게 될 겁니다.
Because that’s how we think.
그게 우리가 사고하는 방식이기 때문입니다.
We don’t allow people the benefit of luck, right?
우리는 사람들에게 ‘운’이라는 여지를 허락하지 않습니다, 그렇죠?
Similarly, if you said to me,
마찬가지로, 만약 당신이 저에게 말한다면,
“Oh you know, my podcast’s been doing brilliantly.
“제 팟캐스트가 요즘 정말 잘 되고 있어요.
We’ve now got 8,000 million— million billion— subscrib— how many you got nowadays?”
지금은 뭐… 팔천만, 팔십억… 구독자가… 몇 명이나 됐더라?”
And you said to me,
그리고 당신이 저에게 말했죠,
“Oh, it’s just a bit of good luck.”
“그냥 운이 좋았어요.”
I’d think,
저는 이렇게 생각할 겁니다,
“Oh Steph’s really, you know, he’s very modest… but you know, it’s not true. He’s done something.”
“오, 스티브는 정말 겸손하네… 하지만 사실은 뭔가 대단한 걸 했겠지.”
We believe that people do things,
우리는 사람들이 무언가를 ‘행동으로 해서’
And that that action leads to results or failures.
그 행동이 결과나 실패로 이어진다고 믿습니다.
And that’s why people take their own lives—
그래서 사람들이 스스로 목숨을 끊는 겁니다—
Because in extremists, people think
왜냐하면 극단적인 상황에서는 사람들이 이렇게 생각하거든요.
“There is nothing other than me to explain what happens to me.”
“나에게 벌어진 일을 설명할 수 있는 것은 나 자신밖에 없어.”
Of course, the reality is much more complicated.
물론 현실은 훨씬 더 복잡합니다.
I’m not saying that’s the truth—
제가 그게 사실이라고 말하는 건 아닙니다—
But that is the perceived truth.
하지만 사람들이 그렇게 ‘믿고 있는’ 진실입니다.
Look, we live in a world that is meritocratic, right?
보세요, 우리는 능력주의 사회에 살고 있습니다, 그렇죠?
That word “meritocracy” is on everybody’s lips.
‘능력주의’라는 단어는 모두의 입에 오르내립니다.
If you take politicians—left and right—in the United States, all over the world,
미국이든 세계 어디든, 좌파든 우파든 정치인들 모두가
Everybody wants to create a world that is meritocratic.
능력주의적인 세상을 만들고자 합니다.
Some people think we’ve already got there.
일부 사람들은 이미 우리가 그 목표를 이뤘다고 생각합니다.
What does that word mean?
그럼 그 말이 진짜 무슨 뜻일까요?
I don’t know— “meritocratic”—
잘 모르겠지만, 능력주의라는 개념은—
The concept of meritocracy is a world in which people’s outcomes are dependent on their merit,
능력주의의 개념은 사람들의 결과가 그들의 ‘능력’에 따라 결정되는 세상을 뜻합니다,
Rather than on who their parents were,
그들의 부모가 누구였는지에 의해서가 아니라,
Some corrupt class in society, the influence of whatever.
부패한 사회 계층이나 어떤 외부적 영향력에 의해서도 아니라는 것이죠.
So, you know, a left-wing politician and a right-wing politician say,
그래서 좌파 정치인이든 우파 정치인이든 이렇게 말합니다.
“We want to make a meritocratic world—
“우리는 능력주의적인 세상을 만들고자 합니다—
Where your kids will go to where they deserve,
당신의 아이들이 자신의 능력에 걸맞은 곳에 갈 수 있고,
Where if you work hard you can get there,
열심히 일하면 올라갈 수 있고,
Where everyone has a chance to succeed.”
모두에게 성공할 기회가 열려 있는 세상 말이죠.”
You know that kind of rhetoric.
이런 류의 수사는 익숙하시죠.
It’s the rhetoric of modern times.
이것이 현대의 언어입니다.
Now it sounds great, and in many ways it’s an enormous advance—
이것은 멋지게 들리고, 실제로도 많은 면에서 엄청난 진보입니다.
But again, let’s just focus on the psychological toll of that.
하지만 다시 말해서, 그 이면의 심리적 대가에 집중해봅시다.
Because if you really believe in a world in which those who get to the top deserve to get to the top,
왜냐하면 누군가가 꼭대기에 올랐다면, 그럴 자격이 있어서 그렇다고 믿는다면,
By implication you are also positing the existence of a world in which
이는 곧 이런 세상의 존재도 암시하게 됩니다—
Those who are at the bottom deserve to be at the bottom.
바닥에 있는 사람들도 그 자리에 마땅히 있어야 한다는 거죠.
In other words, a meritocratic worldview turns success and failure
다시 말해, 능력주의적 세계관은 성공과 실패를
From chance to a necessary fate.
우연이 아닌 필연적인 운명으로 만들어버립니다.
And that’s why it makes the winners quite hard— potentially quite heartless—
그래서 승자들이 때때로 냉혹해지거나 무정해지는 것입니다—
Because they’re thinking, “Well, I got there on my own.
왜냐하면 그들은 이렇게 생각하니까요, “나는 내 힘으로 여기까지 왔어.
I don’t need to thank anybody.
누구에게도 고마워할 필요 없어.
Might not need to pay many taxes. Why pay taxes?”
세금도 굳이 많이 낼 필요 없지. 왜 내야 해?”
And similarly, those at the bottom are kind of crushed.
반대로, 아래에 있는 사람들은 철저히 짓눌리게 됩니다.
So we’ve created this very complicated ideology
그래서 우리는 아주 복잡한 이데올로기를 만들어낸 셈입니다
Where there’s a hidden toll.
그 안에는 숨겨진 대가가 존재하죠.
📚 알랭드보통 저서
-A Therapeutic Journey
http://www.yes24.com/Cooperate/Yes24Gateway.aspx?NaPm=ct%3Dm9tu8meg%7Cci%3D28f27f1771abff5fc8ca8727879c4804885fec13%7Ctr%3Dboksl1%7Csn%3D187110%7Chk%3D830f8c1924f66f8622603427aa0842b658bfc33f&ReturnURL=https%3A%2F%2Fwww.yes24.com%2FProduct%2FGoods%2F130260521&pid=95609
www.yes24.com
-불안
https://link.coupang.com/a/cp5WZy
불안 - 삶의 자세와 지혜 | 쿠팡
현재 별점 4.6점, 리뷰 134개를 가진 불안! 지금 쿠팡에서 더 저렴하고 다양한 삶의 자세와 지혜 제품들을 확인해보세요.
www.coupang.com
-행복하냐는 질문에 대답할 수 없다면
https://link.coupang.com/a/cp5Xb4
행복하냐는 질문에 대답할 수 없다면 - 자기계발 | 쿠팡
쿠팡에서 행복하냐는 질문에 대답할 수 없다면 구매하고 더 많은 혜택을 받으세요! 지금 할인중인 다른 자기계발 제품도 바로 쿠팡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www.coupa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