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립트

[ENG/KOR] “진짜 최악은 자존감 없이 사는 삶” 불안을 다스리는 방법, 진정한 지능에 대한 명쾌한 통찰 | 나발 라비카트

nomatterscript 2025. 5. 14. 11:49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자존감의 형성과 원리

the worst outcome in the world is not having self esteem

"세상에서 가장 안타까운 일은 자존감 없이 살아가는 것이다”

 

why

왜일까요?

 

it's a tough one

정말 쉽지 않은 주제죠.

 

I look at the people and I don't wanna offend anybody but I look at the people who don't like themselves and that's the toughest slot

누군가를 불편하게 하고 싶진 않지만, 자신을 좋아하지 못하는 분들을 보면 가장 힘든 삶을 살아가는 것 같아요.

 

because they're always wrestling with themselves

계속해서 자기 자신과 싸우고 있기 때문이에요.

 

and it's hard enough to face the outside world

세상을 살아가는 것만으로도 이미 충분히 벅차잖아요.

 

and no one's gonna like you more than you like yourself

자신을 좋아하는 것보다 더 많이 당신을 좋아해줄 사람은 없습니다.

 

so if you're struggling with yourself

만약 당신이 스스로와 싸우고 있다면

 

the outside world becomes an insurmountable challenge

외부 세계는 극복하기 어려운 도전이 됩니다.

 

and it's hard to say why people have low self esteem

사람들이 왜 자존감이 낮은지는 단정짓기 어려워요.

 

it might be genetic it might just be circumstantial

유전적인 영향일 수도 있고, 환경적인 이유일 수도 있어요.

 

a lot of times I think

저는 많은 경우,

 

it's because they just weren't unconditionally loved as a child

어린 시절 무조건적인 사랑을 받지 못해서 그렇다고 생각해요.

 

and that sort of seeps in at a deep core level

그런 경험은 마음속 깊이 스며들어 남게 되죠.

 

but self esteem issues can be the most limiting

자존감 문제는 삶에서 가장 큰 제약이 될 수 있어요.

 

one interesting thought is that

재미있는 관점 하나는요,

 

you know to some extent self esteem is a reputation you have with yourself

자존감은 어찌 보면 ‘내가 나 자신을 어떻게 평가하느냐’예요.

 

you're watching yourself at all times

우리는 늘 우리 자신을 지켜보고 있어요.

 

you know what you're doing

내가 뭘 하는지도 알고 있고, 

 

and you have your own moral code

나만의 기준과 양심도 있죠.

 

everyone has a different moral code

사람마다 기준은 조금씩 달라요.

 

but if you don't live up to your own moral code

내가 정한 기준을 내가 지키지 못하면, 

 

the same code that you hold others to it will damage your self esteem

나에 대한 신뢰가 무너지고 자존감도 같이 무너지는 거예요.

 

so perhaps one way to build up your self esteem

그래서 자존감을 높이는 방법 중 하나는,

 

is to live up to your own code very rigorously 

내가 세운 기준을 철저하게 지키는 거예요.

 

have one and then live up to it.

기준을 정하고, 거기에 맞춰 살아가는 거죠.

 

another way to raise your self esteem

자신의 자존감을 높이는 또 다른 방법은

 

might be to do things for others

타인을 위한 행동을 실천하는 거예요.

 

if I look back on my life and you know what are the moments that I'm actually proud of there's very far and few between

제 삶을 돌아보면 진심으로 뿌듯했던 순간은 그렇게 많지 않아요.

 

And it’s not the things you would expect.

그건 흔히들 생각하는 성공이나 성취가 아니에요.

 

it's not the material success

돈이나 지위 같은 물질적인 것도 아니고요.

 

it's not having Learned this thing or that

무언가의 배움이나 그런 게 아니라

 

it's when I made a sacrifice for somebody or something that I loved

제가 사랑하는 누군가나 무언가를 위해 희생했을 때예요.

 

and that's when I'm actually ironically most proud

아이러니하게도, 그게 제가 가장 자랑스럽게 느끼는 순간이에요.

 

now that's through an explicit mental exercise

물론 그것은 의식적인 마음의 훈련을 통해 알게 된 거예요.

 

but I'll bet you at some level I'm recording that implicitly

그렇지만 무의식적으로도 저는 그런 경험을 기억하고 있을 거예요.

 

so that tells me that even if I am not being loved

그래서 이런 사실은 제가 사랑받지 못하더라도

 

and the way to create love is to give love to

사랑을 만드는 방법은 사랑을 주는 것이라는 걸 알려줘요.

 

to express love through sacrifice and through duty

희생과 책임감을 통해 사랑을 표현하는 거예요.

 

and so I think doing things like that can build up your self esteem really fast

그래서 이런 행동들이 자존감을 아주 빠르게 높일 수 있다고 생각해요.

 

 

 

 

well if being ethical were profitable everybody would do it right

만약 윤리적으로 사는 게 이익이 된다면, 모두가 그렇게 살겠죠.

 

so uh you at some level it does involve a sacrifice

그래서 어느 정도 수준에서는 희생이 수반됩니다.

 

but that sacrifice can also be thought of as you're thinking for the long term rather than the short term

하지만 그 희생은 단기적으로는 손해처럼 보여도, 장기적으로 보면 오히려 이득일 수도 있는 거죠.

 

for example the virtues are the set of virtue is a set of beliefs

예를 들어, 덕목이라는 것은 일련의 믿음들이에요.

 

that if everybody in society followed them as individuals it would lead to win win outcomes for everybody

모든 사람이 각자의 위치에서 그 믿음을 따른다면 결국 모두에게 이득이 되는 결과를 가져오게 되죠.

 

so if I am honest and you are honest then we can do business more easily

제가 정직하고, 여러분도 정직하다면 신뢰를 바탕으로 일하기가 훨씬 수월해져요.

 

we can interact more easily cause we can trust each other

우리는 서로를 신뢰할 수 있기 때문에 더 쉽게 상호작용할 수 있어요.

 

so even though there might be a few liars in the system

물론 시스템 안에 거짓말쟁이 몇 명은 있을 수 있어요.

 

as long as there aren't too many liars and too many cheaters a high trust society

사기를 치는 사람이 소수라면, 그런 사회는 모두가 더 잘 살 수 있는 환경이 돼요.

 

where everybody's honest is better off and I think a lot of the virtues work this way right

그런 사회는 모두가 더 잘 살 수 있는 환경이 돼요. 많은 미덕들이 이런 방식으로 작동한다고 생각해요.

 

if I don't go around sleeping with your wife and you don't sleep with mine and

제가 당신 아내와 관계하지 않고, 당신도 제 아내와 그러지 않는다면

 

if I don't take all the food that's at the table first

식탁의 음식을 저 혼자 다 먼저 챙기지 않는다면요.

 

and so on then we all get along better and

그렇게 하면 우리는 더 잘 지낼 수 있고,

 

we can play win win games

상호 이익이 되는 관계를 만들 수 있어요.

 

in game theory the most famous game is Prisoner's Dilemma

게임 이론에서 가장 유명한 게임은 ‘죄수의 딜레마’예요.

 

but that's all about everybody cheating

결국엔 서로 속이게 되는 구조죠.

 

in the Nash equilibrium the stable equilibrium

내시 균형에서는, 모두가 속이는 것이 안정적인 상태예요.

 

there is everybody cheats and your fort the only way you can be you can play a win win game is if you have long term iterated moves

장기적으로 신뢰를 쌓는 상황에서만 서로 협력할 수 있는 거죠.

 

but that's not actually the most common game played in society

실제 세상에서는 다른 방식의 상호작용이 더 흔해요.

 

the most common game played is one called a stags hunt

실제 삶에서는 ‘사슴 사냥 게임’이라는 개념이 더 자주 나타나죠.

 

where if we cooperate we can bring down a big stag and both have big dinners

거기선 우리가 협력하면 큰 사슴을 잡아서 모두 푸짐한 저녁을 먹을 수 있어요.

 

but if we don't cooperate then we have to go hunt like rabbits and we each have small dinners

하지만 협력하지 않으면 토끼나 사냥해야 해서 소소한 저녁밖에 못 먹어요.

 

so most of and that game has two stable equilibriums

둘 다 현실적으로 지속 가능한 시나리오예요.

 

and one could be where we're both hunting the rabbit

하나는 우리 모두가 토끼를 사냥하는 상태고요.

 

and one could be where we're hunting the stag

다른 하나는 함께 사슴을 사냥하는 상태예요.

 

so the high trust society is a more most more virtuous society 

믿고 함께 행동할 수 있는 사회가 더 건강한 사회예요.

 

where I can trust you to come hunt the stag with me and show up on time

제가 당신을 믿고, 함께 사슴 사냥을 하러 제시간에 와서

 

and do the work and divide it up properly so you want to live in a system where everybody has their own set of virtues

일하고 공평하게 나눌 수 있는 사회죠. 그래서 각자가 자기만의 미덕을 가지고 지키는 시스템 안에서 살아야 해요.

 

and follows them and then we all win

그러면 모두가 이길 수 있어요. 

 

but I would argue

하지만 제 생각엔, 

 

you don't need to do that for sacrifice

꼭 누굴 위해 희생하기 위해서 그렇게 살아야 하는 건 아니에요.

 

you don't need to do that for other people you can do it just purely for yourself

꼭 남을 위해서 할 필요는 없어요. 그냥 순전히 나 자신을 위해서 해도 좋아요.

 

you will have higher self esteem

그럼 자존감이 더 높아질 거예요.

 

you will attract other high virtue people in your life

그리고 비슷한 가치를 지닌 사람들도 당신 인생에 자연스럽게 끌려올 거예요.

 

would I go on a stag hunt with me

제가 저 같은 사람과 사슴 사냥을 할 수 있을까요?

 

correct yeah

네, 그렇죠.

 

that's right and if you're the kind of person if you're the kind of person who long term signals ethics and virtues

그리고 당신이 장기적으로 윤리와 미덕을 보여주는 사람이라면요,

 

then you will attract other people who are ethical and virtuous

비슷하게 윤리적이고 미덕 있는 사람들을 끌어당기게 돼요.

 

반면에, 만약 당신이 상어처럼 계산적이고 이기적이게 산다면

whereas if you are a shark

 

you will eventually find yourself swimming entirely amongst sharks

결국 주변엔 상어들만 가득하게 될 거예요.

 

and that's an unpleasant existence

그건 결코 유쾌한 삶이 아니에요.

 

but again this goes back to the equivalent of the marshmallow

다시 말하면, ‘마시멜로 테스트’와 비슷한 이야기죠.

 

test and by the way the marshmallow test does not replicate

그런데 참고로 마시멜로 테스트는 항상 일관되게 나오지는 않더라고요.

 

I saw the science it got a replication crisis hard right recently

최근 경제 위기에서도 그런 모습을 뚜렷이 봤어요.

 

but it is about trading off the short term for the long term

하지만 이건 단기적인 만족을 장기적인 이득과 맞바꾸는 문제예요.

 

and so I think for a lot of these so called virtues there are long term selfish reasons to be virtuous

그래서 많은 미덕에는 장기적으로 보면 ‘이기적인 이유’가 있다고 생각해요.

 

did you deal with self doubt in the past

과거에 자기 의심, 즉 자존감 문제를 겪으신 적이 있으신가요?

 

is that something that was a hurdle for you to overcome

스스로를 의심하면서 어려웠던 시기가 있었는지 궁금해요.

 

yes and no I think

어느 정도는 그랬고, 어느 정도는 아니었어요.

 

I dealt with self doubt in the sense that oh

저는 “지금 내가 뭘 하고 있는 거지? 알아내야겠다”라는

 

I don't know what I'm doing and I need to figure it out

의미에서 스스로를 의심하긴 했어요.

 

but I didn't doubt myself in the way of somebody else knows better than me for me or that you know

하지만 “다른 누군가가 나보다 나를 더 잘 안다”는 식으로는 의심하지 않았어요.

 

I'm an idiot or I'm not worthwhile or anything that 

혹은 “나는 멍청하다, 가치가 없다” 같은 생각도 들지 않았어요. 

 

I guess I had the benefit of I grew up with a lot of love

제 경우엔 운이 좋게도 사랑을 많이 받으며 자랐거든요.

 

like the people around me love me unconditionally

저를 조건 없이 사랑해주는 사람들이 있었어요.

 

and so that just gave me a lot of confidence

그런 사랑이 제 자존감의 바탕이 되었어요.

 

not the kind of confidence that would say I have the answer

물론 “나는 모든 해답을 알고 있어” 같은 자신감은 아니고요,

 

but the kind of confidence that I will figure it out

“나는 알아낼 수 있어”라는 종류의 자신감이었어요.

 

and I know what I want or only I am a good arbitrator of what I want

내가 뭘 원하는지는 나 자신이 가장 잘 판단할 수 있다는 믿음이 있었죠.

 

that level of self belief I suppose allows you to determine what is it that matters to me

그 정도의 자기 확신이 있어야  “나에게 중요한 게 뭔가”를 판단할 수 있는 것 같아요.

 

my self esteem should I chase this thing or not

자존감을 바탕으로 “이걸 쫓아야 할까 말까”를 결정할 수 있죠.

 

I can make a fair judgment on that as opposed to being so sued

흔들리는 감정이 아니라 균형 잡힌 판단을 내릴 수 있게 돼요.

 

but it's such a good point about

그리고 정말 중요한 건,

 

even if you think you're not consciously logging

우리가 의식적으로 기록하지 않는다고 생각해도

 

the stuff that you're doing there is some that's in the back of your mind

그런 것들이 마음속 어딘가에는 남아 있다는 거예요.

 

was it the daemon is that what the ancient Greeks or something used to talk about

고대 그리스 사람들도 말하던 ‘데몬’이라는 개념이었나요?

 

also in computer science like there's a concept of a daemon

맞아요, 컴퓨터 과학에서도 ‘데몬’이라는 개념이 있어요.

 

which is a a program that's always running in the background

항상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이죠.

 

you can't see it

당신은 그것을 볼 수 없습니다

 

it's probably comes from the ancient Greek daemon 

맞아요. ‘데몬’이라는 개념은 고대 그리스 철학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높아요.

 

what you know that you don't even know

우리가 무의식적으로 알고 있는 지식은,

 

you know is far greater than what you know

의식적으로 인식하는 것보다 훨씬 방대하죠.

 

you can't even articulate most of the things you know

여러분이 아는 것들 대부분은 말로 설명할 수조차 없어요.

 

there are feelings you have that have no words for them

말로 표현할 수 없는 감정도 있죠.

 

there are thoughts you have that are felt within the body or subconsciously

몸으로 느끼거나 무의식에서 떠오르는 생각들 중에는,

 

that you never articulate to yourself

의식적으로 말로 표현한 적도 없는 것들이 있어요.

 

you don't really you can't articulate the rules of grammar

여러분은 문법 규칙을 정확히 말로 설명하진 못해요.

 

yet you exercise them effortlessly when you speak

그럼에도 불구하고 말할 때는 아무렇지 않게 그것들을 활용하죠.

 

so I would argue that your implicit knowledge

그래서 저는 이렇게 주장하고 싶어요.

 

and your knowledge that is unknown to yourself

말로 표현하거나 전달할 수 있는 지식보다, 

 

is far greater than the knowledge you can articulate

무의식적으로 알고 있거나 

 

and that you can communicate

스스로도 인식하지 못하는 지식이 훨씬 더 크다고요.

 

and so at some level you're always watching yourself

우리는 늘 내면 깊숙한 곳에서 자신을 관찰하고 있어요.

 

that's what your consciousness is right

그게 바로 의식(consciousness)이잖아요.

 

it's the thing that's watching everything including your mind including your body

의식은 마음도, 몸도 포함해서 모든 것을 지켜보는 그 ‘존재’예요.

 

so if you want to have high self esteem 

그래서 당신이 높은 자존감을 갖고 싶다면 

 

then earn your own self respect

스스로에 대한 존중을 쌓아야 해요.

 

I had this idea the internal golden rule so the golden rule says

제가 이런 생각을 한 적 있어요, ‘내면의 황금률’이라는 개념이에요.

 

treat others the way that you should be treated

전통적인 황금률은 “남을 대하듯 나를 대하라”는 말이죠.

 

you want to be treated the internal golden rule says

하지만 ‘내면의 황금률’은 이렇게 말해요.

 

treat yourself like others should have treated you

“다른 사람들이 당신을 대했어야 했던 방식으로 스스로를 대하라.”

 

and it was a repost to maybe people that didn’t grow up with unconditional love in that way 

그리고 이건 이건 무조건적인 사랑을 받지 못하고 자란 사람들을 위한 응답이기도 하죠.

 

on the love thing one of the interesting things about love is you can try to remember the feeling of being loved

사랑에 관해 흥미로운 점 중 하나는요, 누군가에게 사랑받았던 순간을 떠올릴 수 있다는 거예요.

 

so go back to when someone was in love with you or someone did love you

누군가가 여러분을 사랑했던 순간으로 돌아가 보세요.

 

and like really remember that feeling like really sit with it

그때 그 감정을 진지하게 떠올려 보세요.

 

and try to recreate it within yourself

마음속 깊이 되살려보는 거예요.

 

and then go to the feeling of you loving someone and when you were in love

그리고 이번에는 여러분이 누군가를 사랑했던 감정으로 이동해보세요.

 

and I'm not even talking about romantic love

연인 간의 사랑이 아니어도 괜찮아요.

 

necessarily so be a little careful there I'm talking more about like love 

이 부분은 조금 조심해서 접근해야 해요.

 

for sometimes get complex sometimes get complex if you're talking about past romantic love right

과거의 연애를 떠올리면 복잡해질 수 있으니까요.

 

a sibling or a child or something like that or a parent

형제자매, 자녀, 혹은 부모처럼 깊은 유대가 있는 사람을 떠올리는 게 좋아요.

 

and think about when you felt love towards someone

그리고 누군가나 무언가를 정말 사랑했던 순간을 다시 떠올려보세요.

 

or something and now which is better

자, 이제 어느 쪽이 더 좋았나요?

 

and I would argue that the feeling of being in love is actually more exhilarating 

제 생각에는, 사랑을 받는 감정보다 사랑에 빠진 감정이 훨씬 더 짜릿해요.

 

than the feeling of being loved being loved is a little cloying it's a little too sweet

받기만 하는 사랑은 때론 조금 부담스러울 수도 있어요.

 

you kind of want to push the person away it's a little embarrassing

너무 사랑받는다고 느끼면 오히려 부담스럽고 멀어지고 싶을 때가 있어요.

 

and you know that if that person is too much into it

상대가 감정에 너무 몰입해 있으면

 

that you feel constrained

나는 오히려 억눌리는 기분이 들죠.

 

on the other hand

다른 한편으로

 

the feeling of being in love is very expansive it's very open

사랑에 빠진 감정은 아주 확장적이고 개방적인 감정이에요.

 

it actually makes you a better version of yourself

그 감정은 나를 더 나은 사람으로 만들고, 

 

it makes you wanna be a better person

더 나아지고 싶게 만들어요.

 

and so you can create love anytime you want

그러니까 사랑은 언제든 스스로 만들어낼 수 있어요.

 

it's just that craving to receive it that's the problem

문제는 ‘사랑을 받고 싶다’는 집착이에요.

 

 

진정한 지능을 키우는 법

 

you have one life don't settle for mediocrity

"당신의 인생은 단 한 번입니다. 평범함에 안주하지 마세요."

 

don't settle for mediocrity

평범함에 안주하지 마세요.

 

and I think the only like people debate intelligence

사람들은 종종 지능에 대해 논쟁을 벌이죠.

 

for example right we talk about IQ tests and all that

예를 들어 IQ 테스트도 이야기하지만

 

but I think the only true test of intelligence

진짜 지능의 척도는

 

is if you get what you want out of life

인생에서 내가 원하는 걸 얻어내는가에 있다고 봐요.

 

and there are two parts to that

여기엔 두 가지가 있어요.

 

one is getting what you want so you know how to get it

첫 번째는 '뭘 어떻게 해야 얻을 수 있는지를 아는가'

 

and the second is wanting the right things knowing what to want in the first place

두 번째는 ‘진짜로 가치 있는 걸 원하는가’

 

I could wanna be a you know 6 foot 8 basketball player and I'm not gonna get that

예를 들어, 제가 6피트 8인치 농구선수가 되고 싶다고 해도, 그건 불가능하잖아요.

 

so it's wanting the wrong thing

그건 잘못된 것을 원하고 있는 거죠.

 

so that's wanting something that you can't get

애초에 불가능하거나 의미 없는 걸 욕망하는 거네요.


that's wanting something that you can't get

그것은 얻을 수 없는 것입니다.

 

but also wanting something that you don't want

사실은 원하지 않는데, 괜히 따라하게 되는 경우도 있죠.

 

wanting something that's a booby prize

맞아요, 가치 없거나 문제를 일으키는 ‘보비 상’ 같은 걸 원하는 거예요.

 

there are plenty of booby prizes out there too right

세상엔 그런 무가치한 상들이 정말 많죠.

 

I haven't heard that I haven't heard that word in about 20 years

그 단어도 한 20년 만에 쓰는 것 같네요.

 

prizes that are just not worth having

얻어봤자 별로 가치 없거나,

 

or that create their own problems

문제만 생기는 그런 것들요.

 

well if you're not careful

조심하지 않으면,

 

you can end up in a place in life not only that you don't want to be

원하지도 않았고

 

but one that you didn't even mean to get to

애초에 갈 의도도 없었던 곳에 도달해버릴 수 있죠.

 

that's if you're kind of proceeding unconsciously

아무 생각 없이 남 따라 살다 보면 그렇게 돼요.

 

and usually I think people end up there because they are going on autopilot with sort of societal expectations or other people's expectations 

사람들이 거기까지 가게 되는 건, 사회나 타인의 기대를 따라 ‘오토파일럿’ 모드로 살기 때문인 경우가 많아요.

 

so or out of guilt or out of like mimetic desire you know

죄책감에 떠밀려, 혹은 남 따라 하느라 생기는 욕망이 문제예요.

 

Peter Teal has this whole thing from Rene Girard about how mimetic desires our desires are picked up from other people

피터 틸은 르네 지라르 이론을 인용해서,우리 욕망이 사실 타인에게서 비롯된다고 말했죠.

 

and some of those are automatically baked into society

그리고 그런 모방 욕망 중 일부는 사회 시스템 속에 깊이 내재돼 있어요.

 

like you know go to law school go to med school go to whatever go to business school

알다시피 로스쿨 가라, 의대 가라, MBA 가라 같은 것들이요.

 

or they might be from watching what your friends are doing and

또는 그들은 출신일 수 있습니다

 

you know the other monkeys are doing um

마치 다른 원숭이들처럼 따라하게 되는 거예요.

 

or it might just be you know what your parents expectations are I might be at a guilt you know

어쩌면 그건 부모님의 기대일 수도 있고, 죄책감일 수도 있어요.

 

guilt is just society's voice speaking in your head

죄책감은 사실 외부 기준이 내 안에 들어온 감정이에요.

 

socially programmed so you'll be a good little monkey

사회적으로 프로그래밍되어서, 당신을 ‘착한 작은 원숭이’로 만들고

 

and do things that are good for the tribe

부족(사회)에 유익한 일을 하게 만드는 거예요.

 

but I think the the the best outcomes come when you think it through for yourself and decide for yourself

하지만 제 생각에는 최고의 결과는 스스로 깊이 생각하고, 스스로 선택했을 때 나옵니다.

 

and I don't think people spend enough time deciding

그런데 사람들은 ‘선택’하는 데 충분한 시간을 쓰지 않아요.

 

for example we run on these

인생은 대부분 몇 년 단위의 루틴으로 굴러가죠.

 

four year cycles you know in Silicon Valley you go join a startup

실리콘밸리에서는 스타트업에 들어가서

 

you vest your stock over four years that's the standard

주식을 4년에 걸쳐 받는 게 표준이죠.

 

a college you know you go for four years high school you go for four years

대학교, 고등학교도 각각 4년 주기로 구성되어 있어요.

 

some things take longer

어떤 일들은 더 오래 걸리기도 하죠. 

 

you have children they hit puberty nine years later

아이를 낳으면 사춘기까지 9년이 걸려요.

 

that's like a nine year cycle until that relationship changes

그 관계가 변화하기까지 9년이 걸리는 주기인 셈이에요.

 

but we're used to these fairly long cycles multi year cycles in which we are committed to things

우리는 이런 수년 단위의 긴 주기에 익숙해져 있어요.

 

you go to law school you know four 5 year cycle you go be a lawyer 40 year cycle

로스쿨 4~5년 다니면 그 후에 변호사로 40년 일하는 주기를 갖죠.

 

these are very long cycles

이건 정말 긴 주기에요.

 

the amount of time we spent deciding what to do

우리가 무엇을 할지, 

 

and who to do it with very short

누구와 할지를 결정하는 데 쓰는 시간은 매우 짧지 않나요?

 

very very short right

매우 짧아요. 매우 매우.

 

we spend you know

우리는, 아시다시피,

 

three months deciding one month deciding on a job where we're gonna be for 10 years or five years

10년, 5년을 다닐 직장을 고르는데 단 한 달, 길어도 3개월 고민하고 결정하죠.

 

and because a lot of discoveries path dependent

지금 선택한 길에 따라 달라지거든요.

 

where the next thing you find on the path is dependent on where you were on the previous path

지금 가는 길이 결국 다음 기회를 결정하는 거예요.

 

you sort of start going down this vector that is a very long distance

이 벡터를 따라 내려가기 시작합니다.

 

people decide frivolously which city to live in

사람들은 어떤 도시에 살지를 너무 가볍게 결정해요.

 

and that's going to decide who their friends are what their jobs are their opportunity their weather their food supply their air supply quality of life you know

근데 그 도시는 친구, 일자리, 기회, 날씨, 음식, 공기, 삶의 질까지 다 결정해버려요.

 

it's such an important decision

그것은 매우 중요한 결정입니다.

 

but people spend so little time thinking it through

이렇게 중요한 결정인데도 사람들은 별로 고민하지 않아요.

 

I would argue that if you're making a four year decision spend a year thinking it through like really thinking it through 

저는 이렇게 주장하고 싶어요. 4년짜리 결정을 한다면, 적어도 1년은 진지하게 고민하세요. 

 

25% of the time

25%는 투자해야죠.

 

exactly it there's the secretary theorem

정확히, 그것이 '비서 정리'입니다.

 

I don't know if you know that one

그것 알고 계신가요?

 

is that Peter Sainsbury after you've done this many people pick the best one of the nex thowever many

일정 수의 후보를 경험한 후에 다음 중 최고를 고르라는 원리예요.

 

that's right yeah

네 맞습니다.

 

yeah the secretary theorem is computer science professor is trying to figure out

비서 정리는, 컴퓨터 과학 교수가 ‘비서를 얼마나 인터뷰하고 

 

how much time he should spend interviewing secretaries and then how long to keep the secretary

누구를 고를 것인가’를 연구한 거예요.

 

so let's say he's gonna have a secretary for 10 years

예를 들어 비서를 10년 고용할 건데,

 

does he keep searching for you know

얼마나 사람을 봐야 최적의 결정을 내릴 수 있을까?

 

one year two years three years one month two months what is the optimal time

1년, 2년 3년 1개월 3년 1개월 두 달, 최적의 시간은 얼마인가요?

 

it turns out that the optimal time is somewhere around 1/3 about a third 

최적의 시간은 약 1/3 정도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of the way through you take the best person you've worked with and try to find someone that good or better and try to find someone that good or better

처음 1/3 동안 경험한 사람 중 최고를 기준 삼고, 

 

so that by the time you've got about a third of the way through you have seen enough that you now have a sense of what the bar is

그래서 1/3쯤 지나면, 그동안 충분히 봐왔기 때문에 기준이 생긴다는 거죠.

 

and then anybody who meets or exceeds that bar is good enough

그리고 그 기준을 만족하거나 넘는 사람이라면 충분히 좋은 선택이라는 거예요.

 

and this applies to dating this applies to jobs and careers this applies generally

이 이론은 연애, 직업, 커리어 등 여러 선택에 다 적용돼요.

 

but the interesting thing about the Secretary Theorem is that it's actually not time based

하지만 흥미로운 건, 이 이론은 ‘시간 기준’이 아니라는 점이에요.

 

it's not based on 1/3 of the time it's iteration based the number of candidates

시간이 아니라 ‘몇 명을 경험했는가’, 즉 반복 횟수에 기반한 거예요.

 

so you want to have lots and lots of iteration so that means you need to bail out quickly and you need to be decisive quickly

그래서 많은 시도를 해봐야 하고, 실패하면 빠르게 포기할 수 있어야 해요.

 

that's right you need to

맞아요, 그렇게 해야 해요.

 

you need to take opportunities quickly and bail out quickly

기회는 빠르게 잡고, 아니다 싶으면 빠르게 벗어나는거죠.

 

like if you go back and you look through failed relationships

돌아보면, 많은 실패한 연애에서 가장 큰 후회는 

 

probably the biggest regret will be staying in the relationship after you knew it was over

아마도 ‘이미 끝난 걸 알면서도 계속 있었던 것’이에요. 

 

yeah exactly

그래요, 정확히요.

 

you should have left sooner the moment you knew it wasn't gonna work out

안 될 걸 알았던 순간에 떠났어야 해요.

 

you should have moved on so in that sense

바로 다음 단계로 넘어갔어야죠. 그런 의미에서

 

I think Malcolm Gladwell popularize this idea of 10,000 hours mastery

말콤 글래드웰이 퍼트린 ‘1만 시간의 법칙’이 있잖아요.

 

I would say it's actually 10,000 iterations mastery

이것의 실제는 '1만 번의 반복’이라고 말하고 싶어요.

 

it's not actually 10,000 it's some unknown number

사실 정확히 1만 번은 아니고, 구체적인 숫자는 알 수 없어요.

 

but it's about the number of iterations that drives a learning curve

학습 곡선을 끌어올리는 건 반복의 횟수예요.

 

and iteration is not repetition repetition is a different thing

그리고 ‘반복(iteration)’은 단순 ‘되풀이(repetition)’가 아니에요.

 

repeating is doing the same thing over and over

되풀이는 똑같은 걸 계속 반복하는 거예요.

 

iteration is modifying it with a learning and then doing another version of it

반복은 배운 것을 바탕으로 수정하고 다음 버전을 시도하는 거예요.

 

so that's error correction

즉, 이건 오류 수정 과정이죠.

 

so if you get 10,000 error corrections in anything

어떤 일이든 오류 수정을 1만 번 거친다면,

 

you will be an expert at it

그 분야의 전문가가 될 수 있어요.

 

don't partner with cynics and pessimists

"냉소적이고 비관적인 사람과는 함께하지 마세요."

 

you mentioned there about the people who've got a nightmare going on at home and are trying to fix the world

자신도 정리 안 된 상태에서 외부 문제를 해결하려는 사람들이 있다고 하셨죠.

 

but a lot of the time that sarcasm and pessimism we find in ourselves

그런데 많은 경우, 냉소와 비관은 우리 안에서 시작돼요.

 

we see the world whether we want to whether it's because we've been imbibed what the news or or the negative people around us have said

우리는 뉴스나 주변 사람들의 부정적인 말에 영향을 받아 세상을 그런 시선으로 보게 되죠.

 

or it's a bit more kind of indigenous than that

혹은 그것보다 더 내적인 문제일 수도 있어요.

 

it's just sort of in us it's the way that we see the world

원래 우리 안에 그런 기질이 있는 거죠.

 

how can people avoid cynicism and pessimism within themselves

어떻게 하면 부정적인 사고방식에서 벗어날 수 있을까요?

 

yeah cynicism and pessimism is a tough one

맞아요, 냉소와 비관은 정말 다루기 어려운 문제예요.

 

it's we're naturally hardwired for it again

우리는 그것에 대해 자연스럽게 프로그램되어 있습니다. 다시 말하자면.

 

I go back to evolution

이건 진화의 결과죠.

 

I'm sorry to keep harping on evolution

죄송하지만, 계속 진화론에 집착하는 것 같아서 말씀드립니다

 

but within biology there's very few good explanatory theories

하지만 생물학에서는 설명할 수 있는 이론은 많지 않은데,

 

and you know theory of evolution by natural selection is probably the best one

진화론은 가장 잘 설명되는 것 중 하나예요.

 

so if you can't explain something about life or psychology or human nature through evolution

삶이나 심리, 인간 본성을 진화로 설명하지 못한다면

 

then you probably don't have a good theory for it

근본적인 통찰이 부족한 걸 수도 있어요.

 

and I would say that pessimism is another one that comes out of this

비관주의도 그런 진화의 산물 중 하나라고 생각해요.

 

which is in the natural environment you're hard wired to be pessimistic

생존을 위해선 늘 최악을 대비해야 했으니까요.

 

because let's say that I see something rustling in the woods and if I move towards it and it turns out to be food and prey

왜냐하면 숲속에서 뭔가 바스락거리면 먹잇감일 수 있어요.

 

then good I get to eat one meal

그렇다면 한 끼를 먹을 수 있죠.

 

but if it turns out to be a predator I get eaten and that's the end of that

하지만 포식자였다면, 저는 먹히게 되고 그걸로 끝이죠.

 

so we are hard wired to avoid ruin you know just dying

우리는 본능적으로 파멸과 죽음을 피하려고 하죠.

 

so we are naturally hard wired to be pessimist

그래서 우리는 본능적으로 비관적이게 되어 있습니다.

 

but modern society is very different

하지만 현대 사회는 완전히 달라요.

 

despite whatever problems you may have

물론 문제는 있지만요.

 

with modern society it is far safer than living in the jungle and just trying to survive

현대 사회에서는 훨씬 더 숲에서 살 때보다 훨씬 안전하니까요.

 

and the opportunities on the upside are nonlinear

그리고 현대 사회의 기회는 선형적이지 않아요.

 

in modern society because there's so many different people

현대 사회는 만날 수 있는 사람이 무한히 많아요.

 

you can interact with if you go on a date and it fails

데이트 한 번 실패해도, 새로운 사람을 만날 수 있는 기회는 무한하죠.

 

there are infinite more people to go on a date with

데이트 상대가 무한히 많습니다.

 

in a tribal system there might have been 20 people and you can't even get through all of them

부족 사회에서는 20명 정도밖에 없고, 그들 중에 끝이에요.

 

so modern society is far more forgiving of failure

그래서 현대 사회는 실패에 훨씬 관대해요.

 

and you just have to sort of neocortically realize and override that

그리고 당신은 그냥 의식적으로 ‘괜찮아, 다시 하면 돼’라고 재프로그래밍 해야 해요.

 

you have to realize that you're much more running a search function

지금 우리는 ‘작동하는 것’을 찾기 위해

 

to find the thing that'll work

검색함수를 돌리는 중이라는 걸 인식해야 해요.

 

and then that one thing will pay off in massive compounding

그리고 ‘그 하나’를 찾으면, 어마어마한 복리로 보상이 따라와요.

 

once you find your mate for the rest of your life you find your wife or your husband then you can compound in that relationship

일생의 반려자를 찾으면, 그 관계 안에서 깊이 성장하고 누적되는 보상이 생기죠.

 

it's okay if you had 50 failed dates in between

그 사이에 50번의 실패가 있었어도 괜찮아요.

 

the same way once you find the one business you're meant to plow into

마찬가지로, 진짜 몰입할 사업 하나만 찾으면 돼요.

 

and it'll compound returns

그리고 그건 복리로 돌아옵니다.

 

it's okay if you had 50 small failed ventures

작은 사업에서 50번 실패했거나,

 

or 50 small failed job interviews

면접에서 50번 떨어졌어도 괜찮아요.

 

it doesn't the number of failures doesn't matter

실패의 숫자는 중요하지 않아요.

 

and so there's no point in being a pessimist

매번 안 될 거란 생각은 도움이 되지 않아요.

 

it's you wanna be an optimist

전체적으로는 낙관하되, 

 

but I would say you wanna be you wanna be skeptical about specific things

디테일에선 냉철하게 판단하세요.

 

every specific opportunity is probably a fail

개별 기회는 대부분 실패할 가능성이 높아요.

 

but you wanna be optimistic in the general

하지만 전체적으로는 낙관적으로 접근해야 해요.

 

in the general you wanna be like something in here is gonna work

“이 안에서 하나쯤은 반드시 성공할 거야”라는 자세가 필요해요.

 

how do you navigate that tension

긴장감 속에서 어떻게 균형을 잡을 수 있을까요?

 

I mean exactly as I said I'm optimistic in the general

저는 전체적으로 낙관주의자예요.

 

that if something fails right now then this is a little woooo but it wasn’t meant to be

지금 뭔가 실패해도, “그건 그냥 내 길이 아니었을 뿐”이라고 생각해요.

 

it was a learning experience it was an iteration

그건 학습의 기회였고, 하나의 반복(iteration)이었죠.

 

as long as I Learned something from it then it's a win 

무언가를 배웠다면, 그건 이미 성공이에요.

 

if I didn't learn from it then it's a loss 

아무 것도 배우지 못했다면, 그건 진짜 실패죠.

 

as long as you’re learning and you keep iterating fast

계속해서 배우고 빠르게 반복하고

 

and cutting your losses quickly then when you find the right thing

손절도 빠르게 한다면 그럼 ‘진짜 맞는 것’을 찾았을 때

 

you have to be optimistic and compound into it

낙관적으로 복리처럼 쌓아가야 해요.

 

so you don't wanna jump into the first thing you don't wanna marry the first person you date

처음 만난 일, 첫 데이트한 사람에게 무턱대고 뛰어들 필요는 없어요.

 

necessarily unless you got very lucky

정말 운이 좋다면 모를까.

 

but you want to investigate and explore very very quickly until you find the match

하지만 나와 맞는 것을 찾을 때까지는 빠르고 철저하게 탐색해야 해요.

 

and then you have to be willing to go all in

그 후에는 전부를 걸 준비가 되어 있어야 해요. 

 

you have to be willing to move your chips at the center of the table

칩을 테이블 중앙에 올릴 수 있어야 하죠.

 

both those approaches are required

탐색과 몰입, 둘 다 갖춰야 해요.

 

both those approaches are required

두 가지 접근 방식이 모두 필요합니다.

 

so it's a barbell strategy it's sort of black or it's white

이건 일종의 ‘흑백 전략’인 것 같아요.

 

and most people are sort of stuck in this gray bit

하지만 대부분은 회색지대에 머무르죠. 

 

and I'm like half in

반쯤만 참여하고 있어요.

 

but I'm kind of don't really know if I am and I also think like labels like pessimists optimist cynic

보통 어떤 상태인지 모르기도 하죠 그리고 비관주의자, 낙관주의자, 냉소주의자, 

 

introvert extrovert

내향형, 외향형 같은 라벨은 

 

these are very self limiting

굉장히 스스로를 제한하게 만들어요.

 

humans are very dynamic

인간은 매우 역동적입니다.

 

there are times when you feel like being introverted there are times when you feel like being extroverted

어떤 날은 내향적이고, 어떤 날은 외향적일 수 있어요.

 

there are contexts in which you'll be pessimistic there are contexts in which you'll be optimistic

어떤 상황에선 비관적이고, 어떤 상황에선 낙관적일 수 있죠.

 

leave all this labels alone

그런 라벨은 그냥 버려두세요.

 

it's better just to look at the problem at hand look at reality the way it is

지금 당면한 문제와 현실을 있는 그대로 바라보는 게 더 나아요.

 

try to take yourself out of the equation in a sense like obviously you're involved

자신을 완전히 배제할 순 없지만, 가능한 한 문제에서 분리해서 봐야 해요.

 

but motivated reasoning is the worst kind of reasoning

‘이유 있는 편향적 사고’는 최악의 사고 방식이에요.

 

you're not going to find truth through highly motivated reasoning you have to be objective

자신에게 유리하게만 해석하면 판단을 흐리게 돼요.

 

and objective means trying to take yourself

객관적인 것은 자신을 받아들이려고 노력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out of it as much as possible

가능한 한 그것에서

 

or at least your personality out of it as much as possible and so

적어도 당신의 성격이라도 잠시 빼보세요.

 

to the extent you run with this thick identity and personality it's going to cloud your judgment

강한 정체성과 성격에 의존하면 판단력이 흐려져요.

 

it's going to try and lock you into the past

그것은 당신을 과거에 가두려고 노력할 것입니다

 

if you say I'm a depressed and unhappy person yeah

“나는 우울하고 불행한 사람이야”라고 말하면, 

 

I'm gonna be unhappy

정말 그렇게 살아가게 될 거예요.

 

that's a way of locking yourself into your past

그건 스스로를 과거에 묶어두는 방식이에요.

 

even saying I have trauma I have PTSD yeah

“나는 트라우마가 있어요, PTSD가 있어요”라고 말하는 것조차도요.

 

you you feel something there are memories there are flashes there are occasional bad feelings

네, 분명 감정이 느껴지고, 기억이 떠오르고, 순간적인 불쾌함도 있어요.

 

but don't define yourself by it

그러나 그것으로 자신을 정의하지 마세요.

 

because then you'll lock it into your identity

그건 정체성이 되고,

 

and just gonna loop on it

계속 그 감정 안에 머물게 됩니다.

 

it's better to stay flexible

유연하게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because reality is always changing

현실은 늘 바뀌니까요.

 

and you have to be able to adapt to it

적응할 수 있어야 하니까요.

 

adaptation is also intelligence adaptation is survival

적응하는 것도 지능이에요. 적응이 곧 생존입니다.

 

adaptation is kind of how you're here

지금 여러분이 존재하는 이유도, 

 

you're here because you're an adapter and your ancestors were adapters

여러분과 여러분의 조상들이 잘 적응해 왔기 때문이에요.

 

so to adapt you will deal to see things clearly

그러니 적응하려면 사물을 명확히 볼 수 있어야 해요.

 

and if you're seeing them through your own identity

“나는 이런 사람이니까”라는 고정관념이

 

it's gonna cloud your judgment in other news

판단력을 흐리게 할 것입니다.

 

 

불안을 다스리는 방법

 

you mentioned anxiety before

이전에 불안에 대해 언급했었습니다.

 

imagine how effective you’d be if you weren’t anxious all the time

항상 불안하지 않는다면 얼마나 효과적일까요?

 

is is one of yours

이건 당신에게도 해당되는 이야기일 수 있어요.

 

and anxiety is the emotion de jour of the 21st century

21세기의 주요 감정은 불안입니다.

 

and lots of driven people very anxious very paranoid 

성공지향적인 사람일수록 불안과 강박에 시달리곤 해요.

 

that's what's caused them to be affected

과도한 예민함이 성과로 이어지는 경우도 있어요.

 

it pays so much attention

그들은 매우 주의 깊게 살피고,

 

detail oriented not letting things go

사소한 것도 절대 넘기지 않죠.

 

staying up at night thinking about it

밤새도록 그것에 대해 생각하며 잠 못 이루고요.

 

that's the paranoia coming in

불안이 강박으로 바뀌는 순간이죠.

 

what have you come to learn about anxiety and dealing with it

불안과 그 해결에 대해 배운 점이 있다면 어떤 것인가요?

 

so anxiety and stress are interesting they're very related

불안과 스트레스는 거의 같은 뿌리를 가지고 있어요.

 

stress is when like if you look at an iron beam when an iron beam is under stress is cause it's being bent in two different directions at the same time so

스트레스란, 철근이 두 방향에서 동시에 힘을 받는 것과 같아요.

 

when your mind is under stress is because it has two conflicting desires at once

스트레스를 받을 때는,두 개의 욕망이 충돌하고 있어서 그렇습니다.

 

so for example you know

예를 들어, 알고 있듯이

 

you you want to be liked

사람들에게 호감을 얻고 싶지만, 

 

but you want to do something selfish

동시에 이기적인 행동을 하고 싶을 수 있어요.

 

and you can't reconcile the two and so you are under stress

그 두 가지를 조화시킬 수 없으니 스트레스를 받는 거예요.

 

but you wanna make money so you're under stress right

출근은 싫지만, 돈은 벌고 싶고요.

 

so you have two conflicting desires

이렇게 두 가지 욕망이 충돌할 때

 

and I think one of the ways to get through stress

이 스트레스를 풀 수 있는 한 가지 방법은,

 

is to acknowledge that

그 충돌을 인정하는 거예요.

 

I actually have two conflicting desires

“아, 지금 나는 두 가지 상반된 욕망 사이에서 갈등 중이구나.”

 

and either I need to resolve it I need to pick one and then be okay losing the other

그렇다면, 하나를 선택하고 다른 하나를 포기할 준비를 해야 해요.

 

아니면 나중에 결정할 수도 있어요.

or I will decide later but at least

 

just being aware of why

왜 스트레스를 받고 있는지를 자각하는 것만으로도 

 

your stress can help alleviate a lot of stress

스트레스가 줄어들 수 있어요.

 

and then anxiety I think is sort of this pervasive unidentified stress

불안은, 퍼져 있으면서도 정체를 알 수 없는 스트레스라고 생각해요.

 

where you're just kind of stressed out all the time

항상 스트레스를 느끼지만 

 

and you're not even sure why

왜 그런지 잘 모르겠는 상태예요.

 

and you can't even identify the underlying problem

뭐가 문제인지조차 알 수 없을 때가 많아요.

 

and the reason for that is because you have so many

그 이유는, 해결되지 않은 문제들이 너무 많아서예요.

 

unresolved problems unresolved stress points that have piled up in your life

삶 속에 쌓인 해결되지 않은 정리되지 않은 감정 찌꺼기들이

 

that you can no longer identify what the problems are

너무 많아져서 이제는 뭐가 문제인지도 모르게 되는 거예요.

 

there's this mountain of garbage in your mind

마음속에는 마치 쓰레기 산처럼 엉켜 있는 감정들이 있고요.

 

and it's a little bit of it poking out the top

그 중 일부만이 수면 위로 드러나고, 

 

like an iceberg and that's anxiety

그게 바로 ‘불안’이에요.

 

but underneath there's a lot of unresolved things

하지만 그 아래엔 수많은 미해결 감정들이 숨어 있어요.

 

and so you just need to kind of go through very carefully every time you’re anxious

그래서 불안할 때마다 아주 차분하게 스스로를 들여다볼 필요가 있어요.

 

Like okay why am I anxious this time

“이번에는 내가 왜 불안한 거지?”라고 스스로에게 물어보세요.

 

I don't know why oh well let me sit here and just think about it

왜인지 모르겠다면, 그냥 그냥 앉아서 조용히 생각해보는 거예요.

 

let me write down what the possible causes could be

생각나는 원인을 종이에 적어보세요.

 

let me meditate on it let me journal

명상도 해보고, 일기도 써보고,

 

let me talk to a therapist

상담사와 이야기해보고,

 

let me talk to my friends

친구와 대화도 나눠보세요.

 

let me just kind of see like when does that stress go away

이 스트레스가 언제 사라지는지도 관찰해보세요.

 

if you can kind of identify

이 문제들을 인식하고, 

 

and unravel and resolve these issues

풀어내고, 해결할 수 있다면, 

 

then I think that helps get rid of anxiety

불안은 분명 줄어들 거예요.

 

a lot of the anxieties piled up

우리가 인생을 너무 빨리 살아가면서,

 

because we move through life too quickly

불안이 쌓이는 경우가 많아요.

 

not observing our own reactions to things

스스로의 감정 반응을 제대로 관찰하지 않기 때문이죠.

 

we don't resolve them so

그 감정들을 해소하지 않고 그냥 넘겨버려요.

 

this goes counter to what I was saying earlier

이건 제가 앞에서 ‘너무 많은 반성은 좋지 않다’고 했던 말과는 

 

about not reflecting too much on things

조금 반대되는 얘기일 수 있어요.

 

but you reflect on the problems to observe them and solve them

하지만 반성은 문제를 관찰하고, 해결하기 위해서 하는 거예요.

 

you don't reflect on them to feel better about yourself to indulge them well

기분 풀려고, 혹은 감정에 빠져들기 위해 하는 건 아니에요.

 

if you're doing it to just feel better about yourself

그저 자기기분을 달래기 위해 한다면, 

 

that could be strengthening your personality and your ego

오히려 자아(ego)와 성격을 더 강화시키는 결과가 될 수 있어요.

 

and could be creating a more fragile personality

그 결과로 더 쉽게 무너지는 성격이 형성될 수도 있어요.

 

one big anxiety resolver for me is just ruminating on death

제가 불안을 다스리는 가장 큰 방법 중 하나는 ‘죽음’에 대해 곱씹는 거예요.

 

I think that's a good one you're gonna die

그건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해요. 우리는 모두 죽을 거고, 

 

it's all going to zero

결국엔 모두 0이 됩니다.

 

that you cannot take anything with you

당신은 아무것도 가져갈 수 없습니다.

 

and I know this is trite and I know the

뻔한 말일 수도 있지만, 

 

the we don't spend enough time thinking about the big questions

우리는 이런 큰 질문에 대해 충분히 생각하지 않아요.

 

we kind of give up on them when we're very very young

우리는 아주 어릴 때부터 그런 질문을 포기하고 살아요.

 

a little child might ask the big questions like

어린아이는 묻죠

 

why are we here what's the meaning of life

“우리는 왜 여기에 있을까?”

 

what is this all about you know

“삶의 의미는 뭘까?” 같은 큰 질문을 던지죠.

 

is there Santa Claus is there God

산타클로스가 있을까, 신은 존재할까, 같은 질문이요.

 

 

but then as adults we're taught not to think about these things we've given up on them

그러나 어른이 되면 그런 질문은 생각하지 말라고 배우거나, 스스로 포기하게 돼요.

 

but I think the big questions are the big questions for good reasons and

하지만 그런 ‘큰 질문’은 그 자체로 중요한 이유가 있어요.

 

if you can keep the idea in front of you at all times that you're going to die and that everything goes literally to zero

‘나는 언젠가 죽는다’, ‘모든 것이 결국 0이 된다’는 사실을 항상 기억한다면,

 

what's to distress about for better or worse life is very short

과연 무엇을 그렇게 걱정해야 할까요? 좋든 나쁘든, 인생은 정말 짧아요.

 

how should people deal with its brevity

그 짧음을 우리는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까요?

 

enjoy it

즐기세요.

 

make the best of it you know

그것을 최대한 활용하세요

 

it's it's even briefer than that

그보다 더 짧은 건, 

 

each moment

‘순간’이에요. 

 

just disappears it’s gone

한순간 한순간이 사라지고 있거든요.

 

there's only a present moment and it's gone instantly

오직 현재라는 이 순간만 존재하고, 그건 곧 사라지죠.

 

so if you're not if you're not there for it

그 순간에 당신이 없었다면

 

if you're stressed out or you're anxious or you're thinking about something else you missed it

불안하거나, 다른 생각을 하고 있었다면 이미 그 순간을 놓친 거예요.

 

so you're any moment when you're not in that moment

그 순간 안에 당신이 없다면, 그 순간에 대해선

 

you are dead to that moment

이미 죽은 거나 마찬가지예요.

 

you might as well be dead

죽은 것과 마찬가지다.

 

because your mind is off doing something else or

당신은 이미 다른 생각에 빠져있고,

 

you know living in some imagined reality

가상의 현실에 살고 있을지도 몰라요.

 

that is just a very poor substitute for the actual reality

그것은 현실의 아주 빈약한 대체물에 불과해요.

 

so one of my recent realizations was what is wasted time

최근 깨달음 중 하나는 “낭비된 시간이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이에요.

 

what is a what is a waste of time

무엇이 시간 낭비인가요?

 

so I don't like to waste time

나는 시간을 낭비하는 것을 좋아하지 않아요.

 

but what is wasted time

하지만 낭비된 시간이란 무엇인가요?

 

and everything is wasted time in a sense

어떻게 보면, 모든 시간은 낭비예요.

 

because nothing matters in the ultimate 

왜냐하면 궁극적으로 아무것도 중요하지 않거든요.

 

but in each moment the thing matters

‘지금 이 순간’엔 의미가 생깁니다.

 

In each moment it’s the only thing that matters actually

그 순간에는 그 일이 유일하게 중요한 일이에요.

 

that what's happening in front of you is literally

눈앞에서 벌어지는 일이,

 

has all the meaning in the world

그 자체로 세상의 모든 의미를 담고 있어요.

 

and so what matters is just being present for the thing

그래서 지금 여기에 ‘완전히 있는 것’이 진짜입니다.

 

so if you're doing something that you want to do

여러분이 하고 싶은 일을,

 

and you're fully there for it

완전히 몰입해서 하고 있다면, 

 

then it's not wasted time

그건 낭비가 아니에요.

 

if you don't want to do it

하지만 원하지 않는 일을 하면서

 

and your mind is running away from it

마음이 그 자리를 떠나 있다면

 

and you're reacting against it

그 상황을 거부하고,

 

and you're wishing you were somewhere else

다른 곳에 있었으면 하고, 

 

and you're thinking about some other thing

다른 생각을 하거나,

 

or you're anticipating some future thing

미래를 걱정하거나,

 

or regretting some past thing

과거를 후회하거나,

 

or being fearful of something

어떤 두려움에 사로잡혀 있다면,

 

then that's wasted time that's time

그럼 그건 낭비된 시간이에요.

 

that's being wasted when you're not actually present for the reality in front of you

당신이 현재에 완전히 존재하지 않을 때 그것은 낭비입니다.

 

so my definition of wasted time

그래서 제 기준에서 낭비된 시간이란,

 

I do want some material things in life and I there are things that have more value than others within this life

물론 저도 인생에서 물질적인 것들을 원하긴 해요. 분명 어떤 경험이나 소유는 더 중요하게 느껴질 수 있죠.

 

but this life is very short and bounded

하지만 이 삶은 매우 짧고, 유한합니다.

 

so the true wasted time is the time that you are not present for 

그러니까 진짜 낭비된 시간은, 여러분이 ‘그 자리에 없는 시간’이에요.

 

when you are not there for it

그 순간에 당신이 없었다면요.

 

when you are not doing the thing you want to do to the best of a capability such that you're immersed in it

원하는 일을 전심을 다해 몰입해서 하지 않는다면,

 

if you're not immersed in this moment

지금 이 순간에 몰입하지 못하고 있다면,

 

then you're wasting your time

당신은 시간을 낭비하고 있는 겁니다.

 

people get worried about dying and no longer being here

사람들은 죽음, 즉 더 이상 이 세상에 존재하지 않는 것에 대해 걱정하죠.

 

but they don't realize that

하지만 사실은 인생 대부분을 

 

so much of their life is spent not being here in any case 

‘여기 있지 않은 상태’로 보내고 있다는 걸 모릅니다.

 

but and I think people crave being here for it and

그리고 사람들은 진짜로 지금 이 순간을 살고 싶어 하죠.

 

and when you're here for it

그리고 그 순간에 진짜로 존재하게 되면,

 

you're actually not thinking about yourself

사실 ‘나 자신’에 대해 생각하지 않게 됩니다.

 

you are more immersed in the thing that the moment the task at hand

그 일, 그 순간, 눈앞의 과업에 완전히 몰입하게 되죠.

 

We don’t want peace of mind We want peace for our mind

우리는 ‘마음의 평온’을 원하는 게 아니라, ‘마음을 위한 평온’을 원하죠.

 

the mind is what could eat you alive if you let it

마음은, 그냥 두면 여러분을 집어삼킬 수 있는 존재입니다.

 

and there's more to you than the mind

그리고 당신은 ‘마음’보다 훨씬 더 큰 존재예요.

 

how so

자세히 설명해주세요.

 

if I don't want to disassemble the body

여기서 말하고자 하는 건 물리적인 이야기가 아니에요.

 

so speak right

그래서 말하자면

 

at the end of the day like everything arises within your consciousness right

결국, 모든 것은 당신의 ‘의식’ 안에서 발생합니다.

 

you you got nowhere else to experience it sorry

다른 데서 경험할 수 있는 공간은 없어요. 

 

you've got nowhere else to experience it 

오직 ‘의식’ 안에서만 가능하죠.

 

and that consciousness is relatively static in a sense

그 의식은 비교적 고정되어 있어요.

 

that it's been exactly the same for the moment you were born to the moment you die

태어날 때부터 죽을 때까지 변하지 않거든요.

 

and everything that you experience from your body from your mind to the world to everything is within that consciousness

몸, 마음, 세상, 모든 경험은 그 의식 안에 있어요.

 

and that thing that base layer of being

그 ‘존재의 바닥’이 진짜 실체고, 

 

and this is what the Buddhists will tell you is the real thing

불교에서는 이것이 ‘실재’라고 말하죠.

 

everything that comes and goes in the middle including your mind including your body is unreal

그 사이에 오가는 것들 마음, 몸을 포함해서 일시적인 건 다 허상에 불과합니다.

 

and trying to find stability in those transient things

그런 덧없는 것들 안에서 안정성을 찾으려는 건,

 

is is your castle that you're building on sand

모래 위에 성을 쌓는 것과 같아요.

 

that's going to crumble

언젠가 무너질 겁니다.

 

life is going to play out the way it's going to play out

"인생은 그저 흘러가는 대로 흘러갈 거예요.

 

there will be some good and some bad

좋은 일도 있고, 나쁜 일도 있을 거예요.

 

most of it is actually just up to your interpretation

그 대부분은 사실, 당신의 해석에 달려 있어요.

 

you're born you have a set of sensory experiences and then you die

태어나서 감각을 경험하고, 그리고 죽습니다."

 

how you choose to interpret those experiences is up to you

그 경험을 어떻게 해석할지는 당신에게 달려 있어요.

 

and different people interpret them in different ways

사람마다 해석은 모두 다르죠.

 

yeah it's the old line

네, 옛부터 전해온 지혜입니다.

 

about two people walking down the street they're having the exact same experience

같은 거리를 걷고 있는 두 사람, 똑같은 경험을 하고 있는데,

 

one is happy one is sad right

한 사람은 행복하고, 다른 사람은 슬퍼요.

 

it's a narrative in their heads

그건 각자의 머릿속 이야기일 뿐이에요. 

 

it's how they choose to interpret 

그들이 선택한 해석이죠.

 

so I think when I said that it was a long time ago

예전에 제가 말했던 것은, 

 

I was talking more about having positive interpretations and negative interpretations

긍정적인 해석과 부정적인 해석에 관한 이야기였어요.

 

but these days I think it's better just not to have any interpretations

하지만 요즘은, 아무런 해석 없이 ‘그냥 존재하게 두는 것’이 더 낫다고 생각해요.

 

and to just allow things to be

그리고 그저 모든 것을 ‘있는 그대로 두는 것’.

 

you're still gonna have interpretations

물론 해석은 생겨날 거고,

 

you can't stop it and nor should you try

그걸 막을 수도 없고, 막으려 하지도 말아야 해요.

 

but even that having an interpretation is just a thing

하지만 그 해석조차도, 

 

you can leave alone

그냥 흘려보낼 수 있는 거예요.

 

 

I really wanna try and just dig in a little more to the best way to remind people that they should value their time

저는 사람들이 시간을 소중히 여기도록 도와주는 가장 좋은 방법을 좀 더 깊이 고민하고 싶어요.

 

just how brief it is that the time that you spend ruminating being distracted fears of the past regrets

우리가 과거를 되새기고, 산만해지고, 두려워하고, 후회하는 그 시간들이 얼마나 짧고 덧없는지요.

 

I don't want to tell anybody how to live their life

나는 누구에게도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 말하고 싶지 않지만,

 

I would just say that to the

저는 그냥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extent that you want to improve your quality of life

더 나은 삶을 원한다면,

 

the easiest and best way to do that is to observe your own mind and your own thoughts and

가장 쉽고 효과적인 방법은, 자신의 마음과 생각을 관찰하는 겁니다.

 

and be a little not not necessarily critical

비판적일 필요는 없지만,

 

but um be observant of yourself more objectively

보다 객관적으로 자신을 바라보는 것이죠.

 

and then you'll kind of realize your own loops and patterns it takes time

그러면 자신의 반복되는 사고 패턴을 인식하게 됩니다.

 

it's not it's not overnight

그것은 하룻밤 사이에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it's not instantaneous

물론 이건 시간이 걸려요.

 

so you mean letting go is not a one time event

그러니까 ‘놓아주는 것’도 한 번에 끝나는 게 아니라는 말씀이시죠?

 

yeah and

맞아요. 그리고

 

letting go is not necessarily even the right answer

그리고 ‘놓는 것’이 언제나 정답은 아닐 수도 있어요.

 

if you're trying to be an enlightened being and you know you want to live like a God and everything's gonna be perfect and be a Buddha sure you can let go

깨달음을 얻고 부처처럼 살고 싶다면, ‘비움’이 해답일 수 있죠.

 

but I think in practice it's actually quite hard to do

하지만 현실에선 꽤 어렵다고 생각해요.

 

I think I would say that it's you're gonna find a lot of fulfillment out of life

제 생각에, 삶에서 진짜 만족을 얻는 방법은 

 

by just doing what you want to do

‘진짜 내가 원하는 일을 하는 것’이에요.

 

and genuinely exploring what it is that you want rather than doing what other people expect you to do

다른 사람들이 원하는 걸 따르기보단, ‘내가 진짜 원하는 게 뭘까’를 깊이 탐구하는 겁니다.

 

or society expects you to do

다른 사람들이나 사회가 기대하는 것을 하거나, 

 

or what you might just think it should be done by default

그냥 ‘당연히 해야 할 일’이라고 여기는 걸 따르는 건 아닙니다.

 

I think most older successful people will tell you that

대부분의 성공한 노년층은 이렇게 말할 겁니다. 

 

their life was best when they lived it unapologetically on their own terms

자기 인생을 남 눈치 안 보고, 자기 기준대로 살았을 때가 가장 좋았다고요.

 

be selfish

자신을 위하세요.

 

holistic selfishness

전체적인 관점에서의 ‘건강한 이기심’입니다.

 

I had this insight or a question I guess

최근에 이런 인사이트 또는 질문이 떠올랐어요.

 

 

직감과 논리, 어느것을 따라야 할까

 

how much do you think that we should trust the voice in our heads

우리 머릿속에 들리는 목소리를 얼마나 신뢰해야 할까요?

 

because half of wisdom suggests to rely on your sort of bottom up intuition

지혜의 절반은 ‘직관적 감각’을 믿으라고 하고, 

 

and then half of it has to be sort of top down rational as possible

나머지 절반은 ‘논리적 사고’를 하라고 하잖아요.

 

how do you navigate the tension between head and gut in this way

그렇다면, 머리와 직감 사이의 갈등을 어떻게 다뤄야 할까요?

 

I think the gut is what decides

저는 ‘직감’이 진짜 결정을 내린다고 생각해요.

 

the head is kind of what rationalizes it afterwards

머리는 나중에 그것을 ‘합리화’하는 역할을 하죠.

 

the gut is the ultimate decision maker

결국 ‘직감’이 최종 판단자입니다.

 

if it doesn't and what is a gut

만약 그렇지 않다면… 자, 직감이란 뭘까요?

 

the gut is refined judgment

정제된 판단력이에요. 

 

it's taste aggregate

‘축적된 감각’이죠.

 

aggregated and it could be aggregated through evolution and it's in your genes and your DNA

이 감각은 진화를 통해 유전자와 DNA에 새겨졌을 수도 있고, 

 

or it could be aggregated through your experiences and what you've thought through

경험과 사고를 통해 축적된 것일 수도 있어요.

 

the mind is good at solving new problems

머리는 새로운 문제를 해결하는 데 능숙합니다.

 

and new problems in the external world that have definite defined edges you know

그리고 경계가 명확한 ‘새로운 문제’를 푸는 데 적합하죠.

 

beginnings and ends and objectives

즉 시작과 끝, 목표가 분명한 문제를 푸는 데는 능숙해요.

 

what the mind is actually really bad at is making hard decisions 

하지만 정말 어려운 결정을 내리는 데는 머리가 별로 쓸모 없어요.

 

so when you have a hard decision to make I find it's better to 

그래서 중요한 결정을 해야 할 때,

 

you ruminate on it you think through all the pros and cons

장단점을 생각한 후

 

but then you sleep on it you wait a couple of days

 ‘잠시 내려놓고’ 자는 게 좋아요. 며칠을 기다리다 보면,

 

You wait until the gut answer appears with conviction and it feels right

확신을 동반한 ‘직감의 대답’이 분명하게 떠오를 거예요.

 

And when you’re younger it takes longer because you just don’t have as much experience

젊을수록 이 직감이 늦게 찾아오는 건, 경험이 부족하기 때문이죠.

 

have as much experience and when you're older it can happen much faster

경험이 많고 나이가 들면 직감은 빠르게 찾아와요.

 

And old people just more set in their ways as a consequence right

그래서 나이 든 사람들은 자기만의 방식이 명확해져요.

 

they know what they want they know what they don't want

뭘 원하는지, 원하지 않는지가 분명해요.

 

it takes time to develop your gut instinct and judgment

직감과 판단력은 시간이 걸려야 길러져요.

 

but once you've developed them

하지만 한 번 갖춰지면,

 

don't trust anything else

다른 건 믿을 필요 없어요.

 

because you can't go against your gut it'll bite you in the end

직감을 거스르면, 결국 나중에 큰 대가를 치르게 됩니다.

 

usually in relationships that failed you can look back and say oh

대부분 실패한 인간관계를 돌아보면,

 

actually I knew it was gonna fail cause of this reason but I kind of went ahead anyway

“사실 이게 망할 걸 알고 있었어요. 그런데도 그냥 계속했어요…” 라고 말하게 돼요.

 

because I wanted it to be this way right I wanted this person to be a different way than they are

“왜냐면 그냥 그렇게 되길 바랐어요. 이 사람이 다른 사람이길 바랐고, 

 

I wanted to get a different thing out of it than I thought I was gonna

관계에서 더 많은 걸 얻고 싶었어요. 

 

then I knew I was going to get but I just wanted it

가능하지 않다는 걸 알면서도요. 단지 내가 원했기 때문에…”

 

so sometimes desire will override your judgment

때때로 욕망이 판단을 지배할 수 있습니다.

 

and then trap you thinking

그래서 때로는 욕망이 판단력을 덮어버리고,

 

Yeah Wishful thinking It traps you into a into a pathway that chews up time

맞아요. 희망적 사고는 당신을 ‘시간을 갉아먹는 길’로 빠뜨립니다.

 

 

관련 도서

https://link.coupang.com/a/ctH3t3

 

나발 라비칸트의 부와 행복의 원칙 - 처세술/삶의 자세 | 쿠팡

쿠팡에서 나발 라비칸트의 부와 행복의 원칙 구매하고 더 많은 혜택을 받으세요! 지금 할인중인 다른 처세술/삶의 자세 제품도 바로 쿠팡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www.coupang.com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