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hat’s the challenge when someone’s lost their belief because they’ve had a heartbreak, let’s say?
누군가가 마음의 상처 때문에 믿음을 잃었을 때, 예를 들어, 그 사람이 겪는 어려움은 무엇일까요?
What happens when someone’s been catfished, when they’ve been betrayed, when they’ve been heartbroken, when they’ve been cheated on, when they’ve been lied to, manipulated, gaslit—
누군가가 속임을 당하고, 배신을 당하고, 마음이 부서지고, 바람을 맞고, 거짓말을 듣고, 조종당하고,
가스라이팅을 당했을 때 어떤 일이 일어날까요—
They’ve had a moment that has made them lose belief because they’ve been hurt and broken so many times in love.
그들은 사랑에서 너무 많이 상처받고 부서진 나머지, 믿음을 잃게 만든 순간을 겪었습니다.
Yeah, and now you’re right—on a belief level, they don’t believe they’re lovable.
네, 맞아요—믿음의 수준에서 그들은 자신이 사랑받을 수 있다고 믿지 않아요.
They don’t believe love exists for them.
그들은 사랑이 자기 삶에 존재한다고 믿지 않아요.
They don’t believe good people exist.
그들은 좋은 사람이 존재한다고 믿지 않아요.
Right—these are all beliefs.
그렇죠—이 모든 것이 믿음입니다.
And so what do you do when you’ve actually gone through, you could call it a traumatic, a toxic event or experience that someone’s been through?
그렇다면 누군가가 실제로 겪은, 외상적이거나 독성 있는 사건이나 경험을 겪었을 때 우리는 무엇을 해야 할까요?
Yeah, I think we’ve all had those.
네, 우리 모두 그런 경험이 있다고 생각해요.
I think once again, the stronger the emotion you feel from some event in your life,
the more altered you are inside of you, the more you remember the event.
다시 말하지만, 어떤 인생 사건에서 느낀 감정이 강할수록, 당신 내면이 더 많이 변화되고, 그 사건을 더 또렷이 기억하게 됩니다.
The brain actually freezes that frame, right?
뇌는 실제로 그 장면을 정지시킵니다, 그렇죠?
So the person thinks neurologically within the circuitry of that experience,
그래서 그 사람은 그 경험의 회로 안에서 신경학적으로 사고하고,
And they feel chemically within the boundaries of that emotion.
그 감정의 경계 안에서 화학적으로 느끼게 됩니다.
And how we think and how we feel becomes our state of being.
그리고 우리가 어떻게 생각하고 느끼고 있는지가 우리의 존재 상태가 됩니다.
So every time they remember the event,
그들은 그 사건을 떠올릴 때마다,
They’re producing that same chemistry, as I said, over and over again.
말했듯이, 계속해서 똑같은 화학 반응을 만들어내게 됩니다.
And you’re conditioning the body into a belief, right?
그리고 당신은 몸을 어떤 믿음에 길들이고 있는 것이죠, 맞죠?
And the moment we draw a conclusion about that experience, that’s the belief.
그리고 우리가 그 경험에 대해 결론을 내리는 순간, 그것이 바로 믿음입니다.
That becomes the belief that we accept, believe, and surrender to.
그것은 우리가 받아들이고, 믿고, 따르게 되는 믿음이 됩니다.
So then beliefs are subconscious states of being, right?
그러니까 믿음이란 무의식적인 존재 상태인 거예요, 그렇죠?
And it tends to be 95% of who we are by the time we get to the middle of our life.
그리고 우리는 인생 중반쯤에 이르면 95%가 그런 무의식적인 믿음이 됩니다.
So it’s those subconscious beliefs that really run our life and run our reality.
그래서 우리 삶과 현실을 실제로 이끄는 것은 그 무의식적인 믿음들입니다.
So it would make sense then to the person:
그러니까 그 사람 입장에서는 이렇게 말하는 게 이해가 되겠죠:
“Unless I can heal from the experience and overcome the emotion…”
“내가 그 경험에서 치유되고, 그 감정을 극복하지 않으면…”
Because the memory without the emotional charge is called wisdom.
감정적 반응이 없는 기억은 ‘지혜’라고 불립니다.
And you never have to do it again because you know.
그리고 당신은 알게 되었기 때문에, 다시는 반복할 필요가 없습니다.
Now that you know, if that’s the truth, then:
당신이 이제 알게 되었고, 그것이 진실이라면,
“Okay, I’ll do this for a period of time,
좋아, 나는 일정 기간 동안 이걸 할 거야,
But this state is not loving to me.
하지만 이 상태는 나에게 사랑이 아닙니다.
Living in this state is not loving to me.
이 상태 속에 사는 건 나 자신을 사랑하는 게 아닙니다.
What’s loving to me is that I actually overcome the emotion of the past.
” 나를 사랑하는 것은, 내가 과거의 감정을 실제로 극복하는 것입니다.
And when I overcome the emotion of the past,
그리고 내가 과거의 감정을 극복하면,
Now the body is no longer believing in that any longer.
이제 몸은 더 이상 그것을 믿지 않게 됩니다.
So that theoretically is easier said than done.
그래서 이론적으로는 말하기는 쉽지만 실행은 어렵습니다.
The survival emotions tend to become very addictive.
생존 감정은 매우 중독성이 강해지곤 합니다.
So the rush of just remembering the event is an arousal for the body.
그 사건을 단순히 떠올리는 것만으로도 몸에게는 자극이 됩니다.
And people become very addicted to their beliefs.
그리고 사람들은 자신들의 믿음에 아주 중독되게 됩니다.
And so—but if you tell a person,
그러니까—만약 누군가에게 이렇게 말한다면요,
your subconscious mind is going to keep replaying the same experience in your life unless you heal.
그러니까, 당신이 치유되지 않으면, 당신의 잠재의식은 같은 경험을 계속해서 삶에서 반복하게 될 거예요.
Okay, that could make sense to certain people.
그래요, 어떤 사람들에게는 그 말이 이해될 수 있죠.
If you can’t overcome that emotion, then you’ll never be able to open your heart.
당신이 그 감정을 극복하지 못한다면, 마음을 열 수 없을 거예요.
So do you want love in your life or not?
그래서 당신 삶에 사랑을 원하나요, 아니면 원하지 않나요?
Okay, so—okay, forgiveness then.
좋아요, 그러면—그래요, 용서에 대해 말해봅시다.
And we’ve discovered this: forgiveness is when you overcome the emotion of your past,
그리고 우리가 알아낸 건 이거예요: 용서란 과거의 감정을 극복하는 것입니다,
And you no longer have your attention on that person or that experience any longer.
그리고 더 이상 그 사람이나 그 경험에 마음을 두지 않게 되는 거예요.
And so you feel so good that you no longer want to feel bad.
그리고 당신은 너무 기분이 좋아져서 더는 나쁜 기분을 느끼고 싶지 않게 됩니다.
And so you free yourself from that belief.
그래서 당신은 그 믿음으로부터 자신을 해방시키는 거예요.
And you free that person as well—or the experience.
그리고 그 사람도—혹은 그 경험도—해방시키게 됩니다.
And literally, that’s energy that’s liberated as information
그리고 말 그대로, 그것은 정보로서 해방된 에너지예요.
That the body could actually use to create with.
그 에너지는 몸이 실제로 창조에 사용할 수 있는 것입니다.
So I think there’s information and knowledge that just has to be given to people for them to understand.
그래서 저는 사람들이 이해할 수 있도록 전달되어야 할 정보와 지식이 있다고 생각해요.
Justified or not, valid or not,
그게 정당하든 아니든, 타당하든 아니든,
The only person that this really is affecting is me.
이 일이 진짜로 영향을 주고 있는 사람은 바로 ‘나’예요.
They went on with their life.
그들은 자기 인생을 살아가고 있어요.
They’re—you know—they started a new career.
그들은 새로운 일을 시작했고,
They’re living in a new place.
새로운 곳에서 살고 있고,
They’re writing a book.
책도 쓰고 있고,
They’re on their way.
그들은 자기 길을 가고 있어요.
And you’re holding yourself hostage to the past.
그런데 당신은 자신을 과거에 인질처럼 묶어 두고 있는 거예요.
So then you’ve got to trust that love is available—or love is real.
그러니까 당신은 사랑이 존재한다는 것, 사랑이 진짜라는 걸 믿어야 해요.
And in order for you to create someone in your life that is loving,
그리고 당신 삶에 사랑이 있는 사람을 만들기 위해서는,
You would have to be worthy of love.
당신이 사랑받을 자격이 있어야 해요.
And that means you would have to feel love too.
그리고 그건 당신도 사랑을 느껴야 한다는 뜻이죠.
So I think people make their way out of this all the time.
그래서 저는 사람들이 항상 이런 상황을 이겨낸다고 생각해요.
And we deal with severe PTSD—you know, with veterans.
그리고 우리는 중증 PTSD, 예를 들어 참전용사들을 다루기도 해요.
And those are—there’s some pretty brutal memories there,
그리고 그 안에는 꽤 잔혹한 기억들이 있어요,
And there’s a lot of trauma that’s stored in the body as well.
그리고 몸 안에 저장된 트라우마도 많습니다.
And they deal with a lot of difficulties.
그들은 많은 어려움들과 싸우고 있어요.
And when you tell them it’s the heart that resets the baseline for the trauma in the brain,
그리고 그들에게 “뇌의 트라우마 기준선을 다시 설정하는 건 ‘심장’이다”라고 말하면,
All you have to do is have the courage to open that thing again.
그저 다시 마음을 여는 용기만 있으면 돼요.
And they may come up against themselves for a few days,
그리고 그들은 며칠간 자기 자신과 마주하게 될 수도 있어요,
But once it happens, and they understand the process,
하지만 그 일이 일어나고, 그들이 그 과정을 이해하게 되면,
Their past is wisdom.
그들의 과거는 지혜가 됩니다.
They don’t have to ever go back there again.
그들은 다시는 그곳으로 돌아갈 필요가 없습니다.
They understand it all, but there’s no charge associated with it any longer.
그들은 모든 걸 이해하지만, 더 이상 감정적 반응은 없습니다.
And that’s when we belong to the future.
그리고 그때 우리는 미래에 속하게 되는 겁니다.
That’s when the synchronicities and the coincidences and the miracles and the opportunities
그때 동시성, 우연, 기적, 기회들이
Begin to show up in our life
우리 삶에 나타나기 시작하죠,
To prove to us that we are the creators of our life.
우리가 우리 삶의 창조자라는 걸 우리에게 증명해줍니다.
What’s the anatomy of belief?
믿음의 구조는 뭘까요?
Because I feel like we know that beliefs are repeated patterns,
왜냐하면 믿음이란 반복되는 패턴이라는 건 우리가 알고 있잖아요,
They’re repeated, conditioned ideas.
그건 반복되고 조건화된 생각들이에요.
They’re so hardwired.
그것들은 뇌에 너무 단단히 고정되어 있죠.
And if we were to start picking up—
그리고 만약 우리가 그것들을 하나씩 꺼내본다면—
Is it that we’re picking apart our beliefs?
우리가 믿음을 분해하는 건가요?
Or we’re purifying them?
아니면 정화하는 건가요?
Or we’re renewing them?
혹은 새롭게 만드는 걸까요?
Like, what’s the process?
그러니까, 그 과정은 뭔가요?
So I believe that all beliefs are created from past experiences.
저는 모든 믿음은 과거의 경험에서 생긴다고 믿어요.
And a belief is just a thought you keep thinking over and over again.
그리고 믿음이란, 반복해서 계속 생각하는 하나의 생각일 뿐이에요.
Until you hardwire it in your brain.
그 생각이 뇌에 단단히 고정될 때까지 말이죠.
And a hardwired set of circuits is an automatic unconscious program.
그리고 그렇게 고정된 회로는 자동적이고 무의식적인 프로그램이 됩니다.
So we have a lot of beliefs about things that we’re not even conscious of.
그래서 우리는 우리가 인식조차 못하는 많은 믿음을 가지고 있어요.
And they’ve not been tested.
그 믿음들은 검증되지 않았습니다.
We don’t know if they’re true.
우리는 그것들이 진실인지도 몰라요.
In fact, we’ve actually made them up.
사실, 우리는 그것들을 만들어낸 겁니다.
And this happens quite a bit in the work that we do.
그리고 우리가 하는 작업 속에서도 이런 일이 자주 일어나요.
People see the testimonials,
사람들은 사례들을 봅니다,
They see the science, they see the data,
그들은 과학을 보고, 데이터를 봐요,
And they say, “Oh my God, I actually believe that this stuff works.”
그리고 이렇게 말하죠, “세상에, 이게 진짜 효과가 있구나.”
And they’re facing a chronic health condition or serious health condition,
그리고 그들은 만성적인 질환이나 심각한 건강 문제를 겪고 있어요,
And they come to the realization that they just became conscious
그리고 그들은 이제야 깨닫게 되는 거예요—
That they didn’t believe it would work for them.
그들 자신에게는 이게 효과가 있을 거라고 믿지 않았다는 것을요.
“It would work. It looks like it worked. But I never thought it could work for me.”
“이건 효과가 있지. 효과 있는 것처럼 보여. 하지만 나한텐 안 될 거라 생각했어.”
Now this is a big moment,
이건 굉장히 중요한 순간이에요,
Because this is the moment where you’re stepping out of the bleachers onto the playing field.
왜냐하면 관중석에서 경기장으로 내려오는 순간이기 때문이에요.
This is now where you’ve got to show up for yourself.
이제는 자신을 위해 직접 나서야 하는 순간입니다.
The person, when they sit down and decide to make a different choice—
사람이 앉아서 다른 선택을 하기로 결심하는 그 순간,
And this is the hardest part about change—
이게 바로 변화에서 가장 어려운 부분이에요—
The moment you decide to make a different choice,
당신이 다른 선택을 하기로 결정하는 바로 그 순간,
You’re going to feel uncomfortable.
당신은 불편함을 느낄 거예요.
You’re going to leave the familiar known.
당신은 익숙했던 것을 떠나게 됩니다.
And the body, which has been conditioned into the past, into the known—
그리고 과거와 익숙한 것에 길들여진 몸은—
Which has been conditioned by the mind—the servant’s the master—
마음에 의해 조건화된 상태에서—하인이 주인이 된 상태에서—
And it’s going to try to talk you out of that future
당신을 그 미래로부터 물러나게 하려 할 거예요,
That is unfamiliar, unknown, or unpredictable.
그 미래는 낯설고, 알 수 없고, 예측 불가능하기 때문이죠.
And so that’s the moment where the beliefs start coming up.
그리고 바로 그 순간에 믿음들이 떠오르기 시작합니다.
“You’re not good enough.”
“넌 충분하지 않아.”
“This is too hard.”
“이건 너무 어려워.”
“You’ll never change.”
“넌 절대 변하지 못할 거야.”
“You can’t create anything.”
“넌 아무것도 만들어낼 수 없어.”
“It’s this person’s fault.”
“이건 저 사람 탓이야.”
“There’s something wrong with me.”
“난 뭔가 잘못됐어.”
“I want to quit.”
“그만두고 싶어.”
And then people say,
그러고 나면 사람들은 이렇게 말하죠,
“Oh, well, I have ADD, I can’t focus my mind.”
“나는 ADHD가 있어서 집중이 안 돼요.”
And it turns out they say,
그러고는 또 말하죠,
“I’m not a good meditator.”
“나는 명상 잘 못해요.”
Or, “I don’t—uh—I can’t control my mind,”
또는 “나는 내 마음을 조절할 수 없어요,”
“And—uh—meditation is not for me.”
“그리고 명상은 나랑 안 맞아요.”
“But really, I’m doing it wrong,” they’ll say.
“사실은 내가 잘못하고 있는 거 같아요.” 이렇게 말하죠.
But in fact, they’re actually doing it right.
하지만 사실은, 그들은 제대로 하고 있는 거예요.
Because sitting with yourself and becoming conscious of all of those unconscious thoughts—
왜냐하면 자기 자신과 함께 앉아 무의식적인 생각들을 자각하는 것은—
Means now you’re no longer the program.
이제 더 이상 당신이 그 프로그램이 아니라는 뜻이죠.
You’re only the program when you’re unconscious to that belief.
당신이 그 믿음을 자각하지 못할 때만, 당신은 프로그램일 뿐입니다.
The moment you become conscious of that unconscious belief,
당신이 그 무의식적인 믿음을 자각하는 순간,
The greater the probability that you won’t go unconscious to it again.
그 믿음에 다시 무의식적으로 휘둘리지 않을 가능성이 더 커지게 됩니다.
And that’s how you become more conscious:
그리고 그렇게 해서 당신은 더 의식적으로 변해갑니다—
Is catching yourself going unconscious.
자신이 무의식 상태에 빠지려는 걸 알아차리는 것이죠.
And it becomes a skill.
그리고 그것은 하나의 기술이 됩니다.
The more you practice it,
그걸 연습할수록,
The better you get at going,
당신은 점점 더 잘하게 됩니다,
I’m just not going to believe that any longer.
더 이상 그걸 믿지 않을 거예요.
And nerve cells that no longer fire together no longer wire together.
함께 발화하지 않는 신경세포들은 더 이상 연결되지 않아요.
So as you attend to that thought and notice it and observe it without actually believing it,
그래서 그 생각을 주의 깊게 보고, 알아차리고, 믿지 않은 채로 관찰하게 되면,
It weakens the connections neurologically in the brain.
뇌 속의 신경 연결이 약해지게 됩니다.
And there’s a neurological death or a separation that’s taking place.
그리고 신경학적인 단절, 혹은 해체가 일어나는 거죠.
Okay, so the person then who blames and complains and makes excuses
and feels sorry for themselves and behaves a certain way—
자, 그렇다면 누군가가 남을 탓하고, 불평하고, 변명하고, 스스로를 불쌍히 여기며, 특정 방식으로 행동한다면—
Well, those are habits, right?
그건 습관이에요, 그렇죠?
And those are unconscious, programmed behaviors.
그리고 그것은 무의식적으로 프로그램된 행동들이죠.
The only way you’re going to change is become conscious
당신이 변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That you complain all day long or you blame somebody for your life.
당신이 하루 종일 불평하고 있거나, 자신의 인생을 남 탓하고 있다는 것을 자각하는 거예요.
A happy person would never want to behave that way,
행복한 사람이라면 그렇게 행동하고 싶지 않을 거예요,
And would never want to be in a relationship with a person who complains all the time.
그리고 항상 불평하는 사람과 관계를 맺고 싶어하지 않을 거예요.
Why would you, right?
왜 그래야 하겠어요, 그쵸?
So then that person says,
그래서 그 사람은 이렇게 말하죠,
“Okay, how many times do I have to forget until I stop forgetting and start remembering?”
“그래, 내가 몇 번이나 잊어야 결국엔 잊지 않고 기억하게 될까?”
That is my moment of change.
그것이 바로 나의 변화의 순간이에요.
So today I’m going to behave in a different way and make a different choice.
그러니까 오늘 나는 다르게 행동하고, 다른 선택을 할 거야.
I’m going to just stay conscious to not do these things.
나는 이런 행동을 하지 않도록 의식적으로 깨어 있을 거야.
Okay, then the person says,
좋아요, 그러고 나서 그 사람은 또 이렇게 말하죠,
“Well, I feel unworthy. I feel stressed. I feel unhappy. I feel sad. I feel victimized. I feel grief. Whatever.”
“나는 가치 없어 보여. 스트레스 받아. 불행하고, 슬프고, 피해자처럼 느끼고, 슬픔이 있어. 뭐든 간에.”
“Is this the emotion that I want to have in my future?”
이게 내가 미래에 느끼고 싶은 감정인가?”
Well, no.
아니요.
These are emotions that are connected to experiences of the past.
이런 감정들은 과거의 경험들과 연결된 감정이에요.
If I truly want love in my life,
내가 진정으로 삶에서 사랑을 원한다면,
I can’t feel resent.
나는 분노를 느낄 수 없어요.
Okay, am I willing to trade resentment for this elevated emotion?
좋아요, 나는 분노를 더 고양된 감정으로 바꿀 준비가 되어 있나?
Okay, let me just remember all the times in my day—
좋아요, 그럼 하루 동안 내가 느꼈던 순간들을 기억해보자—
If I start noticing I’m feeling this emotion,
내가 이런 감정을 느끼기 시작하면,
I’m just going to become conscious and not go unconscious to it.
그 감정에 빠지지 않도록 자각하고, 무의식 상태에 빠지지 않도록 할 거야.
And just temper it and work with it.
그 감정을 다스리고, 함께 다뤄나갈 거야.
Okay, so that is that overcoming process.
좋아요, 그게 바로 ‘극복하는 과정’입니다.
That is the becoming process.
그게 바로 ‘성장이 일어나는 과정’이에요.
Now it would make sense then—
이제 그건 이렇게 이해할 수 있죠—
You would have to ask yourself,
당신은 스스로에게 이렇게 물어봐야 해요,
“What do I want to believe?”
“나는 무엇을 믿고 싶은가?”
“What is a thought that I do want to fire and wire in my brain?”
“내 뇌 속에서 발화되고 연결되기를 바라는 생각은 무엇인가?”
So with intention and with attention,
그러니까 ‘의도’와 ‘주의’를 가지고,
If you had the person remember what they wanted to believe,
그 사람이 자신이 믿고 싶은 것을 계속해서 떠올리도록 하면,
And keep remembering what they want to believe,
그리고 그 믿고 싶은 것을 계속 떠올리게 하면,
They begin to install the hardware.
그들은 그 신념을 뇌에 ‘하드웨어’처럼 설치하기 시작해요.
If you keep attending to it,
그것에 계속 집중하면,
The hardware becomes like a software program.
그 하드웨어는 마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처럼 됩니다.
And now that’s the new belief: “I can heal,” “I can find the relationship.”
그러면 그게 새로운 믿음이 되는 거예요: “나는 치유될 수 있어,” “나는 관계를 찾을 수 있어.”
And belief is like pregnancy—either you are or you’re not.
그리고 믿음은 임신과 같아요—되었거나, 아니거나 둘 중 하나예요.
I mean, there’s no in-between.
그러니까 중간은 없어요.
So it’s—you want to install the circuitry to such a degree
그래서, 당신은 그 회로를 아주 깊이 설치하고 싶어지는 거죠,
That that’s the new voice in your head.
그게 당신 머릿속의 새로운 목소리가 되는 거예요.
That’s saying, “Come on, Jay, get up. Come on, Jay, let’s go.
이렇게 말하는 목소리죠: “일어나, Jay. 가자, Jay.”
Come on, you can do this. Come on, make the time for it.
할 수 있어, 시간 내서 해봐.”
Come on, this is your vision. Come on!”
“이게 네 비전이잖아, 해보자!”
Coach in your own head.
당신 머릿속에 있는 ‘코치’죠.
It’s a voice.
그건 하나의 ‘목소리’입니다.
The voice is no longer the disbelief.
그 목소리는 더 이상 의심이 아니에요.
The voice is basically your future self talking to you.
그 목소리는 본질적으로 미래의 당신이 지금의 당신에게 말하고 있는 거예요.
It’s your future.
그게 바로 당신의 ‘미래’예요.
All right, so—okay.
좋아요, 그럼—
So if I start behaving in the old way,
내가 예전 방식으로 행동하기 시작하면,
I know I’m going to disbelieve.
나는 다시 의심하게 될 거라는 걸 알아요.
So how do I want to behave?
그러면 나는 어떻게 행동하길 원하는가?
How am I going to behave on my next date?
다음 데이트에서는 어떻게 행동할 것인가?
How am I going to behave on my next Zoom meeting with my team?
다음 팀 줌 미팅에서는 어떻게 행동할 것인가?
How am I going to behave with my children, or in my family, with my partner, with my ex?
내 아이들과, 가족 안에서, 파트너와, 또는 전 연인과 어떻게 행동할 것인가?
How do I want to be?
나는 어떤 모습으로 있고 싶은가?
In the act of rehearsing mentally in your mind who you want to be,
당신이 되고 싶은 모습을 머릿속에서 ‘정신적으로 리허설’하는 그 행위는,
The act of just closing your eyes and mentally rehearsing that scene,
눈을 감고 그 장면을 마음속으로 상상하며 리허설하는 그 행위는,
Literally causes the brain to look like you already did it.
뇌가 마치 당신이 이미 그것을 한 것처럼 보이게 만듭니다.
It looks like it’s already happened.
이미 일어난 일처럼 보이는 거예요.
So now you’re priming the brain neurologically.
이제 당신은 뇌를 신경학적으로 준비시키는 중입니다.
Keep doing it over and over again,
그걸 계속해서 반복하세요,
The hardware becomes more automatic—like a software program.
그러면 그 하드웨어는 더 자동적으로 작동하게 됩니다—소프트웨어처럼요.
You naturally get your behaviors to match your intentions.
당신의 행동은 자연스럽게 당신의 의도와 일치하게 돼요.
And because you installed the circuitry,
그리고 당신이 그 회로를 설치했기 때문에,
Practice feeling the elevated emotion.
그 감정—고양된 감정을 느끼는 연습을 하세요.
If you feel that emotion and you say,
당신이 그 감정을 느끼고 이렇게 말한다면,
When I feel this emotion, I can believe in that future.
내가 이 감정을 느낄 때, 나는 그 미래를 믿을 수 있어요.
Then let me just keep remembering to feel this way in every part of my day.
그렇다면 하루의 모든 순간에 이렇게 느끼도록 계속 기억하자.
Just let me—I’m just not—this is not about positive thinking.
그냥, 나는… 이건 단순한 긍정적인 사고방식에 관한 게 아니에요.
This is about conditioning my body emotionally into the future.
이건 내 몸을 ‘감정적으로 미래에 길들이는 것’에 관한 거예요.
So I got to keep my energy up—yeah—the entire day.
그러니까 나는 하루 종일 에너지를 유지해야 해요—맞아요—온종일.
And I can’t default back to the old person.
그리고 예전의 나로 다시 돌아가선 안 돼요.
As long as I’m feeling this emotion, I’m going to behave that way.
내가 이 감정을 느끼고 있는 한, 나는 그런 방식으로 행동할 거예요.
As long as I’m feeling this emotion, I’m going to believe in that future.
이 감정을 느끼고 있는 한, 나는 그 미래를 믿게 될 거예요.
If I maintain this modified state of mind and body my entire day,
내가 하루 종일 이 바뀐 마음과 몸의 상태를 유지한다면,
As an experiment,
하루를 실험처럼 살아본다면,
Should there be some evidence in my life as a result of my change in state of being—
내 존재 상태가 바뀐 결과로, 내 삶에서 어떤 증거가 나타나야 하지 않을까요?
A synchronicity, a coincidence
동시성, 우연 같은 것들이요
And if there is, then I’m going to do it again.
그리고 그런 게 나타난다면, 나는 다시 이걸 해볼 거예요.
I’m going to actually do it again.
진짜로 다시 할 겁니다.
And I think that’s how we start stepping into that future.
그리고 저는 그게 우리가 미래로 들어서는 방식이라고 생각해요.
That’s the real question.
그게 진짜 질문이에요.
Like, how long are you going to keep that going?
그러니까, 그걸 얼마나 오래 계속할 거냐는 거죠?
Because surely, if you’re feeling that emotion,
왜냐하면 확실히 당신이 그 감정을 느끼고 있다면,
You’re going to behave as if you’re in your past.
당신은 과거 속에 있는 것처럼 행동하게 될 거예요.
And you’re going to believe in that past. 그리고 당신은 그 과거를 믿게 될 겁니다.
You’re actually going to believe that it’s valid to behave that way.
당신은 그렇게 행동하는 것이 정당하다고 실제로 믿게 되는 거예요.
Okay, so if people just set the intention in the beginning of their day—
좋아요, 사람들이 단지 하루를 시작하면서 어떤 의도를 설정하고,
And we’ve all done this—
우리 모두 해본 일이지만,
And gone unconscious within the first hour—
첫 한 시간 안에 무의식적으로 돌아가곤 하죠.
Whatever it takes for that person—
그 사람에게 어떤 방법이든 상관없이,
If it is before they sit down and eat lunch that they check in with themselves,
점심을 먹기 전에 자신을 점검하는 거라면,
And see if they’ve fallen from grace or if they’re still in that state or where they’re at—
그들이 깨어있던 상태에서 떨어졌는지,
여전히 유지하고 있는지, 자신이 어디에 있는지 점검하는 거라면,
If they do it on their break—
쉬는 시간에 그걸 한다면,
A person who’s possessed—in a good way—
어떤 사람은 완전히 몰입해요—좋은 의미로—
When they understand:
그들이 이렇게 이해할 때—
“When I change, my life changes.
“내가 변하면, 내 삶도 변한다.
And nothing changes in my life until I change.”
그리고 내가 바뀌기 전에는 내 인생도 절대 바뀌지 않는다.”
A person who’s really, really committed to that—
그걸 진심으로 받아들이고 헌신하는 사람은—
They will constantly be checking in with themselves.
끊임없이 자신을 점검하게 됩니다.
Because they’re paying more attention to their inner world,
그들은 자신의 내면에 더 많은 주의를 기울이고 있고,
They’re paying more attention to themselves and less attention to everybody else.
다른 사람보다는 자신에게 더 집중하고 있기 때문이에요.
They’re really regulating their state.
그들은 진심으로 자신의 상태를 조절하고 있어요.
So any reminder a person has—
그래서 어떤 형태든 상기시켜주는 장치가 있다면,
And I do this sometimes three times a day—
저는 이걸 하루에 세 번씩 하기도 해요—
I have to break away and remember:
나는 잠깐 멈추고 다시 기억해야 해요:
Like, “I’m losing it,”
“아, 나 지금 무너지고 있구나,”
“Like, my energy is dropping.”
“지금 내 에너지가 떨어지고 있어.”
And in the light of all eternity, this moment matters more than anything else.
그리고 영원의 관점에서 보면, 이 순간이 그 어떤 것보다 중요해요.
‘Cause it’s never going to be the right time.
왜냐하면 완벽한 타이밍은 절대 오지 않거든요.
It’s never going to be the right time.
정말로 딱 맞는 순간은 오지 않아요.
When you feel that emotion,
그 감정을 느낄 때,
“If I could convert right now—”
“내가 지금 이 순간 바꿀 수 있다면—”
And when it’s the hardest, that matters the most.
그리고 가장 어려울 때가 가장 중요한 순간이에요.
If I can just get back into my heart and change my state,
내가 다시 마음으로 돌아가서 내 상태를 바꿀 수 있다면,
Synchronize my heart to my brain—
내 심장을 뇌와 동기화할 수 있다면—
If I can do that in 15 minutes and come back out,
내가 15분 안에 그렇게 하고 다시 나올 수 있다면,
Will I see reality differently?
내가 현실을 다르게 보게 될까?
Okay, let me practice that.
좋아, 그걸 연습해보자.
I tend to be more patient.
그러면 나는 더 인내심이 생기고,
I tend to be more aware.
더 깨어 있게 되고,
I think the heart is a different consciousness.
나는 ‘마음’이 또 다른 의식이라고 생각해요.
I tend to be more considerate, more present.
나는 더 배려 깊어지고, 더 현재에 머무르게 되죠.
I think that’s the side effect of doing it.
그게 이 연습의 ‘부작용’이라고 생각해요—긍정적인 부작용이죠.
So change is about reminding yourself over and over again.
그러니까 변화란, 자신에게 계속해서 상기시키는 거예요.
Change is about the overcoming process.
변화란, ‘극복의 과정’이에요.
The overcoming process is actually the becoming process.
그리고 그 극복의 과정은 사실 ‘변화되어 가는’ 과정이죠.
And people, all the time, that heal in this work—
그리고 이 작업을 통해 치유되는 사람들은—
They’re doing their meditations.
그들은 명상을 하고 있어요.
They’re not doing their meditations to heal.
그들은 치유하기 위해 명상하는 게 아니에요.
They’re doing their meditations to change.
그들은 ‘변화하기 위해’ 명상하는 거예요.
And they discover that when they change, they heal.
그리고 그들은 변하면 치유된다는 걸 알게 돼요.
So now, if you accept that as a new belief—
그러니까 만약 당신이 이걸 새로운 믿음으로 받아들인다면—
That when I change, my life will change—
“내가 변하면, 내 인생도 변한다”는 것을—
Then you’ve got to keep reminding yourself of that belief.
그 믿음을 계속해서 자신에게 상기시켜야 해요.
You’ve got to keep reminding yourself: “If I change…”
계속해서 이렇게 말해야 해요: “내가 변하면…”
Because this goes against the program.
왜냐하면 이건 기존의 프로그램을 거스르기 때문이에요.
Like, “When my life changes, then I’ll change”—that’s the program.
“내 삶이 변하면, 내가 변할 거야”—이게 우리 안의 ‘기존 프로그램’이에요.
No, no, no.
아니에요, 절대 아니에요.
When you change, the experiment is: will your life change?
당신이 먼저 변해야 해요. 실험은 바로 이것이죠: 당신이 변하면, 삶도 변하는가?
Okay, so then now you attack the belief.
좋아요, 그럼 이제 당신은 그 믿음을 ‘공격’하는 거예요.
Yes—it’s not like, “Oh my God, this is something that’s bigger than me.”
그건 “세상에, 이건 나보다 큰 문제야”가 아니에요.
You attack the belief.
당신은 그 믿음을 정면으로 마주합니다.
Like, “This is no longer serving me.”
“이건 이제 나를 위한 게 아니야.”
“Being complaining is making me unhappy.”
“불평하는 것은 나를 불행하게 만들고 있어.”
Living by this emotion—justified or not—is not loving to me.
이 감정을 따라 살아가는 것—그게 정당하든 아니든—그건 나 자신을 사랑하는 일이 아니에요.
This is downregulating genes.
이건 유전자의 기능을 저하시킵니다.
My body’s believing it’s living in the same event 24 hours a day if I feel the same emotion.
내가 같은 감정을 계속 느끼면, 내 몸은 마치 24시간 내내 같은 사건 속에 살고 있다고 믿게 돼요.
Okay, well, let’s change that.
그래요, 그럼 이제 바꿔봅시다.
So when the person is taking on that belief,
그래서 누군가가 이런 믿음을 받아들일 때,
Like—“If I change, my life changes”—
예를 들어, “내가 변하면 내 인생도 변한다”는 믿음 말이죠—
And I think most people try to create a new personal reality as the same personality.
그리고 대부분의 사람들은 같은 성격으로 새로운 인생을 만들려고 해요.
It doesn’t work.
그건 효과가 없어요.
We got to become somebody else.
우리는 누군가 ‘새로운 사람’이 되어야 해요.
So if you took that on as the truth—
만약 당신이 그것을 진실로 받아들인다면—
“Okay, I got to remember that.
“그래, 이걸 기억해야 해.
If I change, my health could change.
내가 변하면, 내 건강도 달라질 수 있어.
If I change, my life could change.”
내가 변하면, 내 인생도 달라질 수 있어.”
Okay, now it’s a different game.
좋아요, 이제 게임이 달라졌어요.
Now it’s not like “I have to”—this is like “I want to change to see my life change.”
이제는 “해야만 한다”가 아니라, “내 삶이 바뀌는 걸 보기 위해 내가 변하고 싶은” 마음이에요.
Right—it’s more of a “want to.”
맞아요—이제는 ‘원하는 마음’이죠.
Sooner or later, this emerging consciousness will begin to form.
머지않아, 이 떠오르는 의식은 형성되기 시작할 거예요.
And just like infection spreads amongst the community and creates disease,
그리고 감염이 공동체 안에 퍼져 질병을 일으키듯이,
All of a sudden you see health and wealth and abundance and freedom
어느 순간 건강과 부, 풍요, 자유가
Become as infectious as disease.
질병처럼 전염되기 시작해요.
📚 조 디스펜자 저서
- 브레이킹 당신이라는 습관을 깨라
https://link.coupang.com/a/cxliGf
브레이킹 당신이라는 습관을 깨라:과거에서 벗어나 새로운 내가 되는 법 - 처세술/삶의 자세 | 쿠
현재 별점 4.9점, 리뷰 129개를 가진 브레이킹 당신이라는 습관을 깨라:과거에서 벗어나 새로운 내가 되는 법! 지금 쿠팡에서 더 저렴하고 다양한 처세술/삶의 자세 제품들을 확인해보세요.
www.coupang.com
- 당신이 플라시보다
https://link.coupang.com/a/cxljo
당신이 플라시보다:원하는 삶을 창조하는 마음 활용법 - 카운셀링/심리치료 | 쿠팡
쿠팡에서 당신이 플라시보다:원하는 삶을 창조하는 마음 활용법 구매하고 더 많은 혜택을 받으세요! 지금 할인중인 다른 카운셀링/심리치료 제품도 바로 쿠팡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www.coupang.com
- 꿈을 이룬 사람들의 뇌
https://link.coupang.com/a/cxljA8
꿈을 이룬 사람들의 뇌 - 인문/교양 일반 | 쿠팡
쿠팡에서 꿈을 이룬 사람들의 뇌 구매하고 더 많은 혜택을 받으세요! 지금 할인중인 다른 인문/교양 일반 제품도 바로 쿠팡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www.coupang.com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