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youtu.be/30-mMkKEjKk?si=vtYzie_La95jtDZL
really interesting new area of research called neuro Aesthetics or neuro Arts
‘뉴로미학(Neuro Aesthetics)’ 또는 ’신경예술(Neuro Arts)’이라는 정말 흥미로운 새로운 연구 분야가 있어요.
which is about having some kind of creative activity in your regular schedule
이는 일상 속에 어떤 형태든 창의적인 활동을 포함시키는 것에 관한 거예요.
so um there’s there’s lots of research that shows that if you’re not doing something creative once a week
그래서 일주일에 한 번이라도 창의적인 활동을 하지 않으면, 그에 관한 연구가 많이 있어요.
and that could be dance music painting drawing going to the theater reading a novel so really quite broad
그리고 그 창의적인 활동은 춤, 음악, 그림 그리기, 연극 보기, 소설 읽기 등 정말 다양할 수 있어요.
time and nature actually is included in it then because nature is the palette that we all love
자연 속에서 시간을 보내는 것도 포함돼요. 왜냐하면 자연은 우리 모두가 사랑하는 팔레트이니까요.
you know you could have different taste in art or music to me but all humans love nature because we’ve always been in that that beauty
우리가 예술이나 음악 취향은 다를 수 있어도, 모든 인간은 자연을 사랑해요. 우리는 늘 그 아름다움 속에 있었으니까요.
so the impact of that on your mental health and your physical health and your longevity is huge as well
그래서 이런 활동이 정신 건강, 신체 건강, 그리고 수명에도 큰 영향을 미쳐요.
but even just like every morning I actually thought of this this morning because I I wanted to mention this
그런데 매일 아침, 오늘 아침에도 생각났는데, 꼭 얘기하고 싶었던 게 있어요.
but I had zested a lemon last night when I was cooking
어젯밤 요리하면서 레몬 껍질을 조금 깎았거든요.
and so this morning when I went to get the milk out of the fridge I I smelt it because it was in the fridge
오늘 아침에 냉장고에서 우유 꺼내려다가 그 레몬 냄새를 맡았어요. 냉장고 안에 있었거든요.
and I just thought that is so beautiful
그리고 그 순간 ’너무 아름답다’고 느꼈어요.
and so they say things like you know if you’ve put like a bunch of flowers on your bedside table and it smells nice
그래서 사람들이 말하길, 침대 옆에 꽃을 두고 좋은 향을 맡으면,
and that’s the first thing you smell in the morning and then you like look at the beautiful flowers
아침에 처음 맡는 향이 그 꽃 냄새고, 또 그 꽃을 바라본다면,
if you’ve got objects of Beauty in your house if you listen to Birdsong in the morning
집 안에 아름다운 물건이 있거나, 아침에 새소리를 듣는다면,
that that’s all neuro Aesthetics
그 모든 게 바로 뉴로미학이에요.
it’s living a life that is aesthetically pleasing to your brain
뇌가 아름답다고 느끼는 방식으로 삶을 살아가는 거예요.
and that’s good for your health
그리고 그건 건강에도 좋아요.
why um should we go back to Evolutions please that’s my favorite thing to do
왜일까요? 음, 진화 이야기로 돌아가 볼까요? 제가 제일 좋아하는 주제예요.
I think it’s to do with safety
제 생각에 그건 ’안전’과 관련 있어요.
so if you were able to spare your mental resources to appreciate Beauty
만약 아름다움을 느낄 여유가 있다면,
that must mean that you’re safe
그건 당신이 지금 ’안전하다’는 뜻이겠죠.
that must mean that you’re not just trying to survive
그건 당신이 단순히 ’생존’만 하고 있는 게 아니라는 뜻이에요.
so it’s actually I mean we do appreciate Beauty so seeing smelling you know hearing tasting nice things it’s going to make us feel better
그러니까 우리는 본능적으로 아름다움을 느껴요. 예쁜 걸 보고, 좋은 냄새를 맡고, 듣고, 맛보는 건 우리 기분을 좋게 만들죠.
but also we’re only going to be doing that if we have the luxury of being able to do that
그런데 그런 걸 느끼려면, 그걸 느낄 여유가 있어야만 가능한 일이기도 해요.
then it can be such small things
그래서 아주 사소한 것들일 수도 있어요.
but also what it signals to your brain is I’m safe because I have time to read a novel
그리고 뇌에 보내는 신호는, “나는 안전해. 왜냐하면 소설을 읽을 시간이 있으니까”라는 거예요.
or I have time to crank the music up and dance around my living room
또는 음악을 크게 틀고 거실에서 춤출 시간이 있다는 거죠.
through the frame of this idea that Pathways that fire together wire together
’함께 활성화되는 경로는 함께 연결된다’는 개념 안에서 보면요,
I was also thinking about every time I’ve seen a tree I’ve been safe
저는 이런 생각도 했어요. “나무를 볼 때마다 나는 항상 안전했어.”
so is there an association at trees of safety?
그렇다면 나무와 안전 사이에 연결이 생긴 걸까요?
you know what I mean every time I’ve been out in nature yeah I’ve been physiologically psychologically safe
무슨 말인지 아시죠? 자연 속에 있을 때마다, 저는 신체적으로나 정신적으로 안전했어요.
so is it now the case that because there’s that neurological Association the pathways have widened fired together
그러면 이제는 그런 신경학적 연관성 덕분에, 경로들이 함께 작동하고 더 강해진 걸까요?
if I you know you talk about the brain body response if I put myself in that situation again it will signal to my body that I’m safe
그러니까 말씀하신 뇌-신체 반응처럼, 제가 다시 그 상황에 들어가면 내 몸이 “나는 안전해”라고 느끼게 되는 걸까요?
yeah it will that’s neuroplasticity
네, 그렇게 됩니다. 그게 바로 신경가소성이에요.
it’s repeating that and giving yourself the message that every time I’m around trees I’m safe I feel safe
반복하면서 자기 자신에게 이렇게 메시지를 주는 거죠. “나무 가까이에 있을 때마다, 나는 안전하고 편안해.”
it won’t be the same for everyone I would imagine
물론 모든 사람에게 똑같지는 않겠지만요.
that again when we lived in the cave that we naturally did things like looked at the stars in the sky at night danced around the fire did cave paintings
우리가 동굴에 살던 시절엔, 자연스럽게 별을 보고, 불 주위에서 춤을 추고, 동굴 벽화도 그렸어요.
so that’s very wired into our our psyche as well
그런 것들이 우리 정신에 깊이 새겨져 있는 거예요.
you know they would Adorn themselves a lot more than we do
그들은 우리보다 훨씬 더 치장도 많이 했죠.
so that appreciation of Aesthetics has always been there and not just from nature from some of our rituals and ceremonies as well
그러니 미에 대한 감각은 늘 존재해왔고, 자연뿐 아니라 의식과 전통에서도 나왔던 거예요.
and really the conclusion that I’ve come to with this whole spiritual crisis and and then the potential Revolution
저는 이런 영적 위기와 잠재적인 혁명에 대해 결론을 내렸어요.
is that all the things that we need to go through that Revolution have always been in the world as long as we’ve existed
그 결론은, 우리가 그 혁명을 통과하기 위해 필요한 것들은 인류가 존재해온 내내 이 세상에 항상 있었다는 거예요.
and that to me is beautiful
그리고 저는 그 사실이 너무 아름답다고 생각해요.
because it’s not like we have to do some crazy new different things that we’ve never thought of before
우리가 이전에 생각해보지 못한, 새로운 미친 일을 해야 하는 게 아니니까요.
we can the way that I put it is we know about generational trauma and intergenerational drama and epigenetics
이렇게 말하고 싶어요. 우리는 세대 간 트라우마, 유전적 드라마, 후성유전에 대해 잘 알고 있잖아요.
and how all these bad things can like come down the line
그리고 이런 부정적인 것들이 어떻게 대물림될 수 있는지도요.
but there’s also a lot of beauty and wisdom that’s there that we can have access to
하지만 동시에, 우리가 누릴 수 있는 아름다움과 지혜도 그만큼 존재해요.
it’s it’s we don’t have to like reinvent the wheel at all
그러니까, 우리가 무언가를 처음부터 새로 발명할 필요는 없어요.
we can just go back to doing the things that we did when we were at peace
그저 우리가 평화로웠던 시절에 했던 일들을 다시 하면 되는 거예요.
you mentioned the word earlier neuroplasticity what is it why did it matter
아까 ’신경가소성(neuroplasticity)’이라는 단어를 언급하셨죠. 그게 무엇이고 왜 중요한가요?
and I think from looking at your work previously you had a bit of an epiphany on this subject matter in your career
제가 보기에, 이전 작업들을 보면 이 주제에 대해 어떤 ‘깨달음’ 같은 게 있었던 것 같아요.
or you realize that you know are you probably like most most people don’t even think it’s a thing
대부분의 사람들이 그렇듯, 당신도 처음엔 이게 존재한다고조차 생각하지 않았던 거죠.
they think that once you grow up you’re set in your ways
사람들은 성인이 되면 모든 게 굳어진다고 생각해요.
but it sounds like there was an epiphany at some point in your career where you realize the importance and the possibilities that neuroplasticity presented
그런데 경력 중 어떤 시점에 신경가소성이 주는 중요성과 가능성을 깨달으셨던 것 같아요.
well we have to start by saying that when I was at medical school and doing my PhD in Neuroscience we did not know about neuroplasticity
먼저 말씀드리자면, 제가 의대에 다니고 신경과학 박사 과정을 할 때만 해도 신경가소성에 대해 전혀 몰랐어요.
so we absolutely thought that when you physically stopped growing that everything in your brain was set for the rest of your life
그래서 육체적 성장이 멈추면 뇌도 평생 고정된다고 완전히 믿고 있었죠.
that you couldn’t change your intelligence you couldn’t learn to manage your emotions differently
지능을 바꾸거나 감정을 다르게 다루는 법을 배울 수 없다고 생각했어요.
that it would be much harder to learn new things
새로운 걸 배우는 건 매우 어려운 일이라고 여겼죠.
what we know now is that the brain is actively growing and changing till we’re about 25
하지만 지금은 뇌가 약 25세까지 계속 활발히 성장하고 변한다는 걸 알고 있어요.
and I missed it
(농담조로) 아, 그럼 저는 그 시기를 놓쳤네요.
no you didn’t you didn’t miss it I know I looked 24 but you didn’t miss it
아니에요, 안 놓쳤어요. (웃음) 제가 24살처럼 보이긴 하지만, 당신은 아직 괜찮아요.
so from 25 to 65 and I would say even Beyond now
25세부터 65세, 아니 그 이후에도요,
if you don’t do anything to change your brain it will tend to Plateau
뇌를 자극하는 활동을 하지 않으면, 뇌 기능은 정체 상태에 머물 수 있어요.
so you know if you’re in a job where you do the same thing every day and you’re pretty good at it
매일 똑같은 일을 하는 직업에 종사하고, 거기에 익숙해졌다면,
you could stay like that for the rest of your life
그렇게 평생 지낼 수도 있어요.
and that is fine for some people
물론 그게 괜찮은 사람도 있어요.
if you do things to that are intense enough to force your brain to change
하지만 뇌가 변하도록 강하게 자극하는 일을 하면,
then you can basically you know learn lots of new things
정말 많은 새로운 것을 배울 수 있어요.
but also get what we call Global benefits in your brain
그리고 뇌 전체에 긍정적인 변화도 얻을 수 있어요.
so let’s say you decided to learn a new language maybe you’d learned Portuguese or French
예를 들어 새로운 언어—포르투갈어나 프랑스어 같은 걸 배우기로 했다고 해보죠.
you have actually a reason to learn one or two languages
당신은 실제로 한두 개의 언어를 배울 이유가 있어요.
if you do that your brain will not only get the benefits of being able to speak French or Portuguese
그렇게 하면, 단지 프랑스어나 포르투갈어를 말할 수 있게 되는 것뿐만 아니라,
but you will actually improve your executive functions
뇌의 실행 기능(executive functions)도 실제로 향상돼요.
now these are the highest functions of the brain
실행 기능은 뇌의 가장 고차원적인 기능들이에요.
things like um being able to regulate your emotions better
예를 들어, 감정을 더 잘 조절하거나,
solve complex problems
복잡한 문제를 해결하거나,
think flexibly think creatively
유연하게 사고하고 창의적으로 생각하거나,
override any conscious or unconscious biases that you may have
의식적이든 무의식적이든 편견을 넘어설 수 있게 돼요.
these are great benefits to get from actually just doing something like learning a language or a musical instrument
이런 이점들이 단지 언어나 악기 같은 걸 배우는 것만으로도 얻을 수 있어요.
and it can be smaller things like travel
꼭 거창하지 않아도 돼요. 여행이라든가,
interacting with people who’ve had a different life to you
나와는 전혀 다른 삶을 살아온 사람들과 교류하기,
cooking something new
새로운 요리를 해보기,
taking a different route to work
출근길을 평소와 다르게 가보기,
reading a newspaper or a magazine that’s very different to what you normally read
평소 읽는 것과 전혀 다른 신문이나 잡지를 읽는 것처럼요.
doing a podcast well you do this every day
팟캐스트 진행하기요. 당신은 매일 하잖아요.
yeah exactly yeah so it’s not inducing neuroplasticity in your brain although you’re learning
맞아요. 배우고는 있지만, 그게 신경가소성을 유도하는 수준은 아니에요.
different people yeah you’re meeting different people you’re learning new things
다양한 사람들을 만나고, 새로운 걸 배우고 있긴 하죠.
but it’s probably not what we would call attention intense enough to actually be shifting Pathways in your brain
하지만 그건 뇌 속의 경로를 실제로 바꿀 만큼 ’집중도 높은 자극’은 아니에요.
wow having all these conversations isn’t like expanding my
와, 이런 대화들이 제 뇌를 확장시키는 게 아닌가요?
it is in terms of your like the facts that you’re learning
배운 정보 측면에서는 맞아요.
yeah but your actual process of you know finding a person doing a bit of research into them
네, 그런데 사람을 찾고, 조사하고,
meeting them having a conversation with them being good at asking them certain questions
만나서 대화하고, 질문 잘 던지는 이런 과정은
that’s a very natural pathway for you
당신에게는 이미 익숙하고 자연스러운 경로예요.
so you know you’re getting better and better at it but that’s not a new big change in your brain
더 능숙해지고는 있지만, 뇌의 큰 변화는 아니라는 거죠.
so what okay right
그럼, 알겠어요. 그렇다면…
so I think when people hear about neuroplasticity when I first heard about that it was even a thing
많은 사람들이 신경가소성이라는 개념을 처음 들었을 때, 저도 그랬는데,
it was a revelation that we could do things to change our brains
“우리가 뇌를 바꿀 수 있다”는 사실 자체가 큰 깨달음이었어요.
what is what is it that people typically want from neuroplasticity
사람들이 신경가소성에서 보통 기대하는 건 뭐죠?
they want to be someone else in other ways
사람들은 자신이 다른 사람이 되길 바라요.
they want new habits they want new ways of thinking
새로운 습관, 새로운 사고방식을 원하죠.
they want to stop being a negative thinker or an overthinker in certain situations
어떤 상황에서든 부정적으로 생각하거나 과하게 고민하는 걸 멈추고 싶어 해요.
if I wanted to to stop being an overthinker or a negative thinker
만약 제가 과도하게 생각하는 사람이거나 부정적인 사람인 걸 바꾸고 싶다면…
or if I wanted to um you know there’s certain habits we all have and that I have in my life that I’m like I just feel like it’s me now
혹시 제가, 그러니까 우리 모두 그렇지만, 제 삶에도 그냥 ’이게 나야’라고 느껴지는 습관들이 있어요.
yeah like procrastination
예를 들면 미루는 습관이요.
procrastination shows up sometimes I’m just saying things
가끔은 미루게 되죠. 그냥 예시로 말하는 거예요.
no I don’t I don’t procrastinate too much because I don’t really have a choice these days
전 요즘은 선택지가 없어서 많이 미루진 않아요.
I procrastinate on some things I think we all do
어떤 일은 미루죠. 우리 모두 그렇잖아요.
things that I find yeah yeah we all do
저도 그런 일들이 있어요. 모두 그렇죠.
um no I’m really glad you’ve taken this into the intangible
음, 이렇게 눈에 보이지 않는 영역으로 대화를 이어가 주셔서 정말 좋아요.
because obviously I use the analogy of language as a great one to help people understand
저는 언어 학습을 비유로 자주 사용하는데, 그게 이해를 돕는 좋은 예거든요.
that you you learn something new it builds up that pathway in your brain it shifts your brain around it has other benefits
새로운 걸 배우면 뇌 속에 경로가 생기고, 뇌가 변하게 되며, 여러 이점이 생기죠.
but what people are really looking for is changing habits and behaviors that are not serving them in life
하지만 사람들이 정말 원하는 건, 삶에 도움이 되지 않는 습관이나 행동을 바꾸는 거예요.
yeah so whether it’s lack of motivation yeah like a motivation overthinker negative thinker lose you lose your temper
맞아요. 동기 부족, 과도한 생각, 부정적 사고, 감정 폭발 같은 것들이요.
uh you know sort of feel very stuck people pleasing you know like so many things mood reactions
막막함, 사람들의 기대에 맞추려는 태도, 기분 반응 등 정말 다양한 문제들이요.
yeah yeah
네, 맞아요.
so the process for that which is underpinned by neuroplasticity like the physiology of what happens in the brain is raised awareness
이런 걸 바꾸기 위한 과정은 신경가소성을 기반으로 하는데, 첫 단계는 ’자각’이에요.
so let’s say that you’ve you know you’ve had a relationship break up again for the similar reasons
예를 들어, 비슷한 이유로 또 이별을 겪었다고 해보죠.
and you know whatever happened before so then you get to a point you’re like okay last time I just kind of didn’t really deal with that and just moved on to the next relationship
그 전에 뭔가 있었지만, 지난번엔 그냥 넘기고 다음 관계로 넘어갔다면요.
now I’m beginning to see there’s a pattern I think I need to do something different
그런데 이제야 그게 반복되는 패턴이라는 걸 깨닫고, 뭔가 달라져야겠다는 생각이 들죠.
Step One is spot the pattern and step one is 50 of the battle
1단계는 그 패턴을 인식하는 거고, 이건 전체 싸움의 50%예요.
so you know once you know okay this is a thing that I think or I believe or I do that comes out with a result that I don’t want that is half the battle
’아, 이건 내가 생각하거나 믿거나 행동하는 방식인데, 원하지 않는 결과를 낳았구나’라고 인식하는 것만으로도 절반은 한 거예요.
so once you’ve done that you don’t try to change anything straight away the next stage is called focused attention
그렇게 깨달았다면, 바로 바꾸려 하지 말고, 다음 단계는 ’집중된 주의(focused attention)’예요.
so you look around in your life at work in your personal life in like you know Sports if you play sports
당신의 삶, 직장, 개인 생활, 운동 등 다양한 영역을 살펴보는 거예요.
with different types of people and through your past where are the times I’ve done that
다양한 사람들과의 경험이나 과거를 돌아보며, ’내가 그 행동을 했던 시점’을 찾는 거죠.
what what what triggers me into doing that or what pushes me into doing that
‘그 행동을 하게 만드는 유인은 뭘까? 어떤 상황이 나를 그렇게 만들었을까?’
let me give you an example so we can work through this uh these steps with an example
예시를 하나 들어볼게요. 이 단계를 예를 통해 이해해봅시다.
got a friend in my life that repeatedly dates people who are married or in a relationship
제 친구 중에 유독 기혼자나 연애 중인 사람과 계속 관계를 맺는 사람이 있어요.
oh and it ends how you’d expect it to end in her heartbreak
예상하셨겠지만, 항상 그 친구가 상처받는 결말로 끝나요.
yeah but it’s this spiral she’s on
네, 근데 그건 반복되는 고리처럼 계속돼요.
yeah so step one would be becoming aware of this pattern you’re dating people that are in this for some reason
그래서 1단계는 ’이게 패턴이라는 걸 자각하는 것’이에요. 이유야 어쨌든, 그런 관계를 반복하고 있다는 걸요.
so in this case that is obvious if you’re if you’re getting into relationships with people who are already attached you know you’re aware of that
이 경우엔 꽤 명확하죠. 상대가 이미 관계가 있다는 걸 알고 시작했으니까요.
what I would want to dig into with her is what it is that she believes about herself that makes her think that that’s okay
그런데 제가 그 친구와 이야기하고 싶은 건, ’왜 그게 괜찮다고 믿게 되는지’예요.
and I’m imagining already that there must be a a level of self-worth that is has struggled
아마 자존감에 뭔가 문제가 있었을 가능성이 크겠죠.
you know and maybe there’s something in her childhood that’s caused that
어쩌면 어린 시절의 무언가가 원인일 수도 있고요.
but you’d only do that if you didn’t believe that you deserved someone of your own
그런 행동은, ’나는 나만을 위한 사람을 가질 자격이 없어’라고 믿을 때에야 가능한 거예요.
so that’s the kind of conversation I would have with someone like that
저는 그런 친구와 이런 대화를 나눌 거예요.
I would I would probably ask her like you know what what goes through your mind when you decide to do that again
다시 그런 관계를 시작할 때, 머릿속에 무슨 생각이 드는지를 묻고 싶어요.
and she would say something that she’s conscious of thinking
아마 친구는 자기가 인식하는 생각을 이야기하겠죠.
I would want to dig below that and ask what it is that she believes about herself that makes her think that
저는 그 아래를 파보고 싶어요. 그녀가 자기 자신에 대해 어떤 믿음을 갖고 있기에 그렇게 생각하는지를요.
this new behavior and at first it would be hard
새로운 행동을 시작하는 건 처음엔 어렵죠.
because you have a pathway there that may have been set since childhood that is used to doing a certain thing
왜냐하면 어린 시절부터 굳어진, 특정한 방식에 익숙한 뇌의 경로가 이미 형성돼 있기 때문이에요.
and the brain is a very energy-hungry organ so it’s it’s always trying to use the path of least resistance
뇌는 에너지를 많이 쓰는 기관이라 항상 가장 쉬운 경로를 사용하려 해요.
let’s say I’m an overthinker okay
예를 들어, 제가 과도하게 생각하는 사람이라고 해봐요.
and you’re asking me these questions and I’ve got this voice in the back of my head saying why is Stephen asking me that
그런데 당신이 질문할 때 제 머릿속 한편에서는 “Stephen이 왜 저 질문을 하지?“라는 목소리가 들려요.
what’s he trying to get to is he trying to trick me
“그가 뭘 끌어내려고 하지? 날 속이려는 건가?”
what I would what I would try to do is silence that voice in my head
그럴 때 저는 머릿속 그 목소리를 조용히 하려고 노력할 거예요.
and say okay in this podcast with Stephen I’m going to focus on him
그리고 이렇게 말하죠. “지금은 Stephen과의 팟캐스트에 집중하자.”
I’m going to take his questions for what they are and I’m going to speak from my area of expertise
“그의 질문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고, 내 전문 영역에서 말하자.”
I’m not going to worry about that other stuff that you know can go on in my head
“머릿속에 떠오르는 잡생각은 신경 쓰지 말자.”
and let’s say this time I managed to do that 50 of the time
그리고 이번에는 그걸 50% 정도 해냈다고 해봐요.
and then I go and do another podcast next week and I manage to do it 75 of the time
다음 주 또 다른 팟캐스트에서 75% 정도 집중했다고 해요.
you know and so on
그리고 그렇게 계속 이어지는 거죠.
eventually this new pathway that I’ve been building will become stronger than the one that I had before
그러다 보면, 제가 새로 만들어낸 경로가 기존의 오래된 경로보다 강해져요.
and then every time I turn up for a podcast I’ll just be completely present and attentive
그러면 이제 어떤 팟캐스트에 참여하든 완전히 집중할 수 있게 돼요.
and I’ll get to the end of it and that’s the new me now
끝났을 때, 이게 이제 ’새로운 나’가 되는 거죠.
so behaviors that we repeat
이렇게 반복되는 행동들은
so let’s start starting at the beginning of those three steps
이제 처음부터 정리해 봅시다, 세 가지 단계예요.
the first step is becoming aware of the pattern in our lives
1단계는 우리 삶 속 반복되는 패턴을 자각하는 것.
the second step is becoming really cognizant of the pain or the consequences of that pattern
2단계는 그 패턴이 가져오는 고통이나 결과를 인식하는 것.
and the third step is kind of like setting an intention for who we want to become and the goals we have
3단계는 ’우리가 어떤 사람이 되고 싶은지, 어떤 목표를 가지고 있는지’에 대한 의도를 세우는 거예요.
and then practicing it as much as possible
그리고 가능한 한 많이 실천해보는 거죠.
and that is the three steps to the
이게 바로 세 가지 핵심 단계예요.
fourth it’s not a step but the fourth factor is accountability
네 번째는 단계라기보다는 ’책임감’이에요.
because most people left to their own devices will give up on that process when it feels too hard a step three yeah
왜냐하면 대부분의 사람들은 스스로 하려다 보면, 3단계쯤에서 너무 어렵게 느껴져서 포기해버리거든요.
um so you know with years of practice and journaling I have become better at holding myself accountable
저도 수년간의 연습과 일기 쓰기를 통해 스스로에게 책임을 지는 법을 배웠어요.
but for most people there’s got to be some external
하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에게는 외부의 도움이 필요하죠.
so it could be a friend
친구일 수도 있고요.
one of the reasons I’m a big fan of doing these action boards
제가 ’액션 보드’를 좋아하는 이유 중 하나는,
is that there’s a very tangible thing in front of you that with images of what you said you wanted to achieve this year
당신이 올해 이루고자 했던 목표들을 이미지로 시각화해 눈앞에 두는 것이기 때문이에요.
which you can clearly and your friends and family can see at the end of the year whether you did or you didn’t
이건 당신뿐 아니라 가족이나 친구들도 연말쯤엔 ’이뤘는지 아닌지’를 분명히 확인할 수 있죠.
and you know of course you can have an actual like professional person that is there like your language teacher to hold you accountable too
물론, 당신이 언어 선생님 같은 전문가를 두고 그들에게 책임감을 갖게 할 수도 있어요.
I’ve been really you talked earlier about just a second ago about how when you’re trying to create a new pathway
아까도 말하셨지만, 새로운 뇌 경로를 만들려고 할 때에 대해 다시 말해보자면,
if there’s an existing one that is very well established from your childhood it’s increasingly harder
어릴 때부터 깊이 자리 잡은 경로가 이미 있다면, 그걸 바꾸는 건 점점 더 어렵죠.
so I’ve always been unorganized
저는 늘 정리정돈이 안 되는 사람이었어요.
I lived I grew up in a home that was looked like an atomic bomb had hit it
제가 자란 집은 마치 핵폭탄이라도 떨어진 것처럼 엉망이었어요.
yeah it was just a show inside it was an absolute mess
집 안은 정말 보기에도 난장판이었고요.
so that habit of just being messy is quite well established
그래서 어질러진 상태에 익숙한 습관이 아주 단단히 자리 잡았죠.
the pathway in my brain of being messy is well established yeah
제 뇌 속의 ’지저분하게 사는 경로’는 아주 강하게 형성돼 있어요.
but more broadly I’m thinking here about trauma
그런데 더 넓게는, 저는 지금 트라우마에 대해 생각하고 있어요.
and how trauma looks in the brain
트라우마가 뇌에서는 어떤 식으로 작동하는지요.
when we’ve had really traumatic early experiences in our life
우리가 어린 시절에 정말 충격적인 경험을 했다면,
or in the context of my friend we might have learned that we’re not deserving of someone
제 친구의 이야기로 보자면, ’나는 누군가를 가질 자격이 없어’라고 배웠을 수도 있어요.
or we we’re not worthy or we you know we’re not enough or we’re different
혹은 ’나는 가치가 없어, 나는 충분하지 않아, 나는 다르다’고요.
that might be a really well established pathway
이런 믿음들도 뇌에 아주 깊게 박힌 경로일 수 있어요.
does doesn’t that suggest that there are some Behavior patterns that are just practically immovable practically unchangeable
그렇다면 어떤 행동 패턴들은 사실상 바꾸기 불가능하다는 뜻이 될까요?
I don’t want to say yes to that
그렇게 말하고 싶진 않아요.
but what I am going to say is we’ve moved away from using this term hardwired
다만, 우리는 이제 ’hardwired(고정된)’라는 표현을 쓰지 않아요.
which kind of means like it’s there forever
그 말은 마치 ’영원히 변하지 않는다’는 뜻처럼 들리니까요.
and we talk about soft wiring now because of neuroplasticity
대신 신경가소성 덕분에 ’soft wiring(부드러운 연결)’이라는 표현을 써요.
I know people who have been through incredible amounts of trauma
저는 엄청난 트라우마를 겪은 사람들을 알고 있어요.
there’s going to be an example coming up on my podcast soon
제 팟캐스트에도 곧 그런 사례가 나올 거예요.
who has done so much work on herself that she’s really in a beautiful place
그녀는 자신을 정말 많이 치유해서, 지금은 아주 아름다운 상태에 있어요.
as a psychologist and a Vedic astrologer helping other people learn to deal with that drama
심리학자이자 베다 점성가로서, 이제는 다른 사람들이 그 트라우마를 다루는 걸 도와주고 있어요.
so there’s a lot that can happen
그러니까 변화는 분명히 가능해요.
she was clearly a very resilient person and got herself educated
그녀는 분명히 회복 탄력성이 강했고, 자기 자신을 교육시켰죠.
some people deal with the consequences of trauma for the rest of their life
하지만 어떤 사람은 평생 트라우마의 여파를 안고 살아가요.
and you know it runs their life and it’s it’s sad
그 트라우마가 삶 전체를 지배하죠. 안타까운 일이에요.
you may not be able to deal with every single thing that you’ve experienced
당신이 겪은 모든 일을 다 극복할 수는 없을지도 몰라요.
or the full extent of what you’ve experienced
또는 그 경험의 모든 깊이까지 치유할 수는 없을 수도 있어요.
but I do believe that there’s a lot that everybody can do
하지만 저는 누구든 할 수 있는 일이 아주 많다고 믿어요.
earlier you talked about generational trauma um and epigenetics as you said
아까 말씀하신 대로, ’세대 간 트라우마’와 ’후성유전학’에 대해 이야기해보죠.
what are both of those things
그 둘은 구체적으로 무엇인가요?
the first time I heard about generational trauma I thought it was like woo-woo
처음 ’세대 간 트라우마’라는 말을 들었을 때, 저는 그게 그냥 이상한 이론이라고 생각했어요.
uh fluffy hopeful like wishful think like a nice way to blame your ancestors for the way that you are
그냥 희망 섞인 말, 자기 모습이 그런 걸 조상 탓으로 돌리는 느낌 같았죠.
so when I first heard about this concept that you you could be passed down Trauma from your parents or your grandparents
그러니까 부모나 조부모로부터 트라우마가 유전될 수 있다는 개념을 처음 들었을 때,
it just seemed like it can possibly be true
그게 정말 사실일 수 있을까 싶었어요.
yeah I know I mean it’s relatively new area of research
네, 저도 알아요. 비교적 새로운 연구 분야니까요.
so I’m actually going to separate this into a few things
이걸 몇 가지로 나눠서 설명할게요.
so generational trauma um and you can look this up is related to specific times of Acts that were um placed onto particular marginalized groups
’세대 간 트라우마’는 특정 소외 집단에게 가해진 사건들과 관련이 있어요. 검색해보시면 나올 거예요.
so like first Americans slavery
예를 들면, 미국 원주민이나 노예제 같은 경우죠.
there’s in in Asia there are some particular groups that were um treated in a certain way
아시아에도 특정 방식으로 대우받은 집단들이 있어요.
and that is so the impact of generational trauma is when something happened to one generation there’s a psychological spillover
세대 간 트라우마란, 한 세대에서 일어난 일이 다음 세대로 심리적으로 번져 나가는 거예요.
and it can be something to do with you always feel isolated or you always feel lonely or you always feel at the margin or you always feel left out
그 결과로, 항상 고립되었다든지, 외롭다든지, 소외되거나 배제된 느낌을 반복해서 가질 수 있어요.
that’s because a whole generation retreated in a certain way and that has an impact
그건 한 세대 전체가 그런 방식으로 대우받았기 때문에, 그것이 영향을 미치는 거예요.
intergenerational epigenetic trauma is about how some external event actually changes the expression of your genes
’세대 간 후성유전 트라우마’는 외부 사건이 유전자 발현 방식 자체를 바꾸는 것에 대한 개념이에요.
so we have a genotype and a phenotype
우리는 ’유전형(genotype)’과 ’표현형(phenotype)’을 갖고 있죠.
genotype is your DNA it doesn’t change
유전형은 DNA 자체예요. 바뀌지 않아요.
but the phenotype is which bits get switched on and Switched Off
하지만 표현형은 어떤 유전자가 ‘켜지고’ ’꺼지는지’를 말해요.
the most famous examples of this are the Holocaust and the Dutch famine
가장 유명한 예시는 ’홀로코스트’와 ’네덜란드 기근’이에요.
but there are other examples and we are sufficient Generations away from that now to have seen like three plus Generations changes in the stress responses
그 외에도 예시가 많고, 이제는 그로부터 몇 세대가 지나면서 스트레스 반응에서도 3세대 이상 변화를 볼 수 있어요.
and so and it’s not always bad so sometimes people are more resilient because their grandparents or great grandparents went through something terrible
그런데 그게 항상 부정적인 것만은 아니에요. 조부모, 증조부모가 극심한 일을 겪었기에 회복 탄력성이 더 강해진 경우도 있죠.
sometimes people are more anxious and it’s hard to know necessarily why things might go one way or another
어떤 경우엔 더 불안해지기도 하고요. 그게 왜 그렇게 다르게 작용하는지는 정확히 알기 어렵죠.
I always say to people that you aren’t born with the genes that your parents had when they were born
저는 사람들에게 이렇게 말해요. “당신은 부모가 태어날 때 가졌던 유전자를 물려받은 게 아니에요.”
you’re born with the expression of the genes that your parents had around the time of conception
“당신은 부모가 당신을 잉태했을 당시 발현되고 있던 유전자 표현형을 이어받은 거예요.”
and then of course your mother’s stress levels through through the trimesters of pregnancy
그리고 임신 기간 중 어머니의 스트레스 수준 역시 영향을 주죠.
and this isn’t meant to blame anyone for what happened in the past or how stressed they feel when they’re pregnant
이 말은 과거에 무슨 일이 있었는지나, 임신 중 얼마나 스트레스를 받았는지를 탓하자는 게 아니에요.
it’s meant to raise awareness of the fact that if you have something in your family’s history or you did have a particular stress particularly stressful pregnancy
다만, 가족력이나 임신 중 스트레스를 겪은 경험이 있다면,
you can use neuroplasticity to improve the chances of your baby expressing genes that will be more helpful for them in life than if you didn’t know about all of this stuff
신경가소성을 통해 아이가 인생에 도움이 되는 유전자 표현을 할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는 걸 알리기 위함이에요.
so if you had a particularly stressful pregnancy let’s say you’re a woman who was really under stress when you were um eight months pregnant
만약 임신 중, 특히 임신 8개월에 정말 큰 스트레스를 받았던 여성이라고 해봅시다.
how does that impact the baby and what symptoms do you like to likely to see in that baby that it wouldn’t have had otherwise
그게 아기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고, 그렇지 않았더라면 나타나지 않았을 증상에는 어떤 게 있을까요?
okay so I’m going to give you a really like tangible answer before I take it back to the um something we were talking about before
좋아요. 이전에 나눈 이야기로 돌아가기 전에, 아주 구체적인 예를 하나 들어볼게요.
imagine the mother’s a heroin addict that is affecting the baby right
엄마가 헤로인 중독자라고 상상해보세요. 그건 아기에게 영향을 미치잖아요?
yeah yeah and that’s because they share the same blood supply
네, 왜냐하면 엄마와 아기는 같은 혈액 공급을 공유하니까요.
so if the mother is stressed and she’s got high levels of cortisol then that cortisol is going through the placenta into the baby’s blood supply
엄마가 스트레스를 받고 코르티솔 수치가 높으면, 그 호르몬이 태반을 통해 아기의 혈액 속으로 전달돼요.
and basically being stressed from In Utero could switch on genes for not being resilient to stress
태아 때부터 스트레스를 받으면, 스트레스에 약한 유전자가 ‘켜질’ 수 있어요.
or being more um liable to anxiety or mood disorder
또는 불안, 기분 장애에 더 취약하게 될 수도 있죠.
and it’s already starting off you know inflammation and this like tiny baby that hasn’t even been born yet
태어나기도 전의 작은 아기 몸에서 염증 반응이 시작될 수도 있어요.
I know that sounds terrible and I really don’t want this to come across like all mums have to be completely Zen and never get stressed
저도 이게 끔찍하게 들릴 수 있다는 걸 알아요. 엄마들은 무조건 Zen 상태여야 한다는 말이 아니에요.
because that’s just not reality
그건 현실적이지 않잖아요.
but you know everything that you can do of course to manage your stress during pregnancy is helpful
다만 임신 중 스트레스를 관리하기 위한 노력은, 당연히 도움이 돼요.
but then completely understanding that if your child then starts to show any like symptoms of anxiety or you know inability to manage their emotions
하지만 만약 아이가 불안 증상이나 감정 조절의 어려움을 보이기 시작한다면,
after an age where they should be kind of able to do that
그걸 스스로 어느 정도 할 수 있는 나이임에도 그렇다면,
you can introduce them to meditation
명상을 가르쳐 줄 수 있어요.
you can sit with them and talk to them about their emotions and how they’re feeling
아이와 함께 앉아서, 그들이 어떤 감정을 느끼고 있는지 이야기해보는 것도 좋아요.
there are lots of really like great books and videos that you can use to like educate children about that kind of thing
아이들에게 감정을 이해시키는 데 도움이 되는 책과 영상들도 많고요.
I always say knowledge is power and unfortunately difficult things can happen to people in life
저는 항상 “지식은 힘이다”라고 말해요. 인생에서 힘든 일은 누구에게나 생기죠.
but every time something like that’s happened to me I’ve gone down a rabbit hole of okay what can I find that can help me to overcome this and and be better
저도 힘든 일을 겪을 때마다, “이걸 어떻게 극복할 수 있을까?” 하며 스스로 파고들었어요.
just thinking about as you’re talking about grief and the Brain the relationship between you know what happens in the brain when we’re experiencing grief and stuff
지금 슬픔과 뇌의 관계를 이야기하시니까, ’우리가 슬픔을 경험할 때 뇌에서 어떤 일이 벌어지는가’에 대해 생각해봤어요.
think about grief and Heartbreakers strong emotions
슬픔과 실연은 정말 강력한 감정이잖아요.
so many of us including one of my best friends is reason is recently grieving a relationship he’s lost
저희 중 많은 사람들이 그렇고, 제 친구 중 한 명도 최근 관계를 잃고 슬퍼하고 있어요.
and I’ve got another friend that’s lost someone in their life he’s passed away
또 다른 친구는 누군가를 실제로 떠나보냈고요.
and it’s such an all-consuming force that seems to be resistant to advice
이런 감정은 조언조차 통하지 않을 만큼 압도적인 힘을 갖고 있어요.
I just wondered if through your work you’d learn anything about grief in the brain and heartbreaking the brain
당신의 연구를 통해, ’뇌 속에서 슬픔과 실연이 어떻게 작동하는지’에 대해 배운 것이 있는지 궁금해요.
yeah so I think there’s so many uh versions of grief that we’ve seen particularly in the last few years
네, 특히 지난 몇 년 동안 우리는 다양한 형태의 슬픔을 보았어요.
which has loss of sense of self loss of someone through a relationship breakdown and loss of someone through actual death
자아의 상실, 관계 단절로 인한 상실, 실제 죽음으로 인한 상실까지 다양했죠.
and it’s interesting to hear you say as a you know caring onlooker that it’s something that’s so overwhelming and resistant to advice
그리고 ’지켜보는 입장’에서 그것이 얼마나 압도적이고, 조언이 통하지 않는지 말씀해주신 게 인상 깊어요.
I strongly believe that to ever heal from grief you have to go to the bottom of the hole
저는 진심으로, 슬픔을 치유하려면 반드시 감정의 바닥까지 내려가야 한다고 믿어요.
and however you do that is not something that anyone else can comment on
그걸 어떤 방식으로 하든, 남이 쉽게 평가할 수 있는 게 아니에요.
I think if you are doing things like throwing yourself back into work or like partying too much to avoid it that’s not right
만약 슬픔을 회피하기 위해 일에 몰두하거나 과하게 놀아버리는 건, 올바른 방식이 아니라고 생각해요.
but if somebody has to go somewhere emotionally to deal with grief they’ve got to be supported and allowed to do that
하지만 어떤 사람이 감정을 마주하기 위해 어딘가로 감정 여행을 떠나야 한다면, 우리는 그걸 지지해주고 허락해줘야 해요.
and then maybe at times gently nudged in terms of like how are you doing
그리고 때때로 부드럽게, “요즘 어때요?“라며 다가갈 수는 있죠.
you know is it kind of are you feeling any sort of like healing or resolution or understanding or acceptance
“조금은 나아졌나요? 어떤 이해나 받아들임 같은 감정이 생겼나요?”
I do think particularly with grief that if we haven’t been through something ourselves
특히 ’슬픔’에 있어서는, 우리가 직접 겪어보지 않았다면
it’s it’s really hard to imagine how bad it is even though you might you know care very deeply
아무리 그 사람을 진심으로 걱정하더라도, 그 고통이 얼마나 깊은지 상상하기는 정말 어려운 것 같아요.
what makes you think that what makes you think that you have to go to the bottom of the hole
그런데 왜 그렇게 생각하시나요? 왜 감정의 밑바닥까지 가야 한다고 믿는 건가요?
because I think we are very avoidant emotionally
왜냐하면 우리는 감정을 회피하려는 경향이 아주 강하거든요.
I think that’s part of the you know greater issue that I was talking about which is being lost and disconnected
이건 제가 말했던 더 큰 문제의 일부예요. ‘자신과의 단절, 방향을 잃음’ 같은 것들이요.
and I remember when my first marriage broke up and I was changing career
저도 첫 결혼이 끝나고, 직업을 바꾸던 때가 있었어요.
thinking if I hadn’t been a psychiatrist and know the things that I know
만약 제가 정신과 의사가 아니었고, 이런 걸 몰랐다면,
I can see how you could end up on a psychiatric ward going through you know the breakup breakdown of a marriage
저는 충분히 그런 상황에서 정신병동에 입원할 수도 있었을 거라고 생각해요.
so all I’m trying to say I’m not trying to say you have to feel terrible
제가 말하고 싶은 건 ’무조건 힘들어야 한다’는 게 아니에요.
what I’m trying to say is you have to process all the emotions and you kind of have to surrender to it a bit
다만, 모든 감정을 ’처리’해야 하고, 어느 정도는 그 감정에 ’항복’해야 해요.
because if you try to gloss over that it will come back and bite you later
그 감정을 그냥 덮고 넘어가려 하면, 나중에 반드시 돌아와 당신을 괴롭힐 거예요.
and I’ve seen many stories of that happening
그런 경우를 저는 많이 봤어요.
where people you know did really great things like write a book about it
어떤 사람은 그 슬픔에 대해 책을 쓰기도 하고,
or you know shower all of their care and love and attention onto other people
혹은 다른 사람들에게 온 마음과 사랑을 쏟기도 해요.
and then eventually found that they hadn’t actually dealt with their own emotions
하지만 결국엔 자신이 자기 감정을 전혀 다루지 않았다는 걸 깨닫게 되죠.
so when I say go to the the bottom of it I don’t necessarily mean feel really terrible
그래서 제가 ’감정의 바닥까지 가야 한다’고 말할 때, 꼭 끔찍하게 고통받으라는 건 아니에요.
I mean process all of the emotions fully because then you can actually heal
그보다는 감정을 ‘온전히 처리해야’ 진짜 치유가 가능하다는 의미예요.
and at some stage move forward
그리고 언젠가는 다시 앞으로 나아갈 수 있게 되죠.
it doesn’t mean you forget you know the person or what happened
이건 그 사람이나 그 사건을 잊으라는 말이 아니에요.
but if you try to gloss over it I think this it’s it’s dangerous
하지만 그 감정을 덮고 지나가려 하면, 그건 위험해요.
because it’s such a deep it’s such a deep emotion
슬픔은 정말 깊은 감정이기 때문이에요.
it’s such a facing of your own mortality
그리고 그건 결국 ’자신의 유한함’을 마주하는 일이기도 하니까요.
📌타라스와트 저서 -부의 원천 https://link.coupang.com/a/czXOIp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스크립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ENG/KOR] “당신의 Why가 사라졌을 때” 성취가 삶의 목적이 될 수 없는 이유 | 사이먼 시넥 (0) | 2025.07.14 |
---|---|
[ENG/KOR] “목표가 없어도 움직일 수 있어야 하는 이유” 아무것도 없어도 매일 해내는 사람들의 비밀 | 데이비드 고긴스 (5) | 2025.06.14 |
"변화가 어려운 당신에게" 무의식이 만든 감정 루프에서 빠져나오는 법 | 조 디스펜자 (0) | 2025.06.04 |
[ENG/KOR] 이 생각 하나가 판도를 바꾼다. 부정적인 생각에 갇혀있다면 | 루이스 헤이 (2) | 2025.06.01 |
[ENG/KOR] “진짜 최악은 자존감 없이 사는 삶” 불안을 다스리는 방법, 진정한 지능에 대한 명쾌한 통찰 | 나발 라비카트 (0) | 2025.05.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