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립트

[ENG/KOR] “당신의 Why가 사라졌을 때” 성취가 삶의 목적이 될 수 없는 이유 | 사이먼 시넥

nomatterscript 2025. 7. 14. 23:23

https://youtu.be/qqa3w-bTZ3Y?si=OoDrLArpR5PotnYw

 

for the people who are perennial hard chargers

항상 전력을 다해 달리는 사람들에게

how do you advise them to just relinquish a little

어떻게 하면 조금 내려놓을 수 있을지 조언하시나요?

I think of everything in terms of cost

저는 모든 것을 비용의 관점에서 생각해요.

and I always say what's the cost of this always

항상 이게 얼마나 드는가를 따져보죠.

so what is the cost of being a high achiever

높은 성취자가 되는 데 드는 대가는 뭘까요?

what is the cost of working constantly

끊임없이 일하는 데,

what is the cost of putting all that pressure on yourself

자신에게 그토록 큰 압박을 주는 데 드는 대가는요?

just weigh the cost

그 대가를 솔직하게 따져보세요.

my relationships struggle

관계가 힘들어지고,

I beat myself up sometimes

스스로를 자책하고,

I can't sleep cause my brain doesn't shut off

뇌가 멈추지 않아 잠을 못 자기도 하죠.

just like be really honest about the costs of all of that

그냥 이 모든 것의 대가를 정말 솔직하게 들여다보세요.

I don't know how to relax okay

“나는 쉬는 법을 몰라요.”

that's the cost now

그게 바로 대가예요.

maybe you've earned some of it to go the other way

아마 당신은 이제 반대로 가도 될 권리를 얻었을 거예요.

so maybe you've earned the right to lie in bed till noon

그니까 그냥 이유 없이 정오까지 침대에 누워 있어도 된다는 거죠.

just cause and if you need to make it an equation

그리고 만약 그걸 수식처럼 계산해야 한다면,

I earned this

나는 이것을 얻었다“이건 내가 얻어낸 거야”라고 생각하세요.

you use the analogy of deposits and withdrawals

입금과 출금이라는 비유를 사용해보세요.

you've made so many deposits you can draw a little.

정말 많이 입금했으니까, 이제는 조금쯤 인출해도 돼요.

it's like think of it if you were a leader and one of your teammates

이렇게 생각해보세요. 당신이 리더고, 팀원 중 한 명이

works all weekend voluntarily to get a project done on time

프로젝트 마감에 맞추기 위해 자발적으로 주말 내내 일했어요.

right you're gonna say thank you

당신은 이렇게 말할 거예요. “고마워요.”

you're gonna be like great job we couldn't have done this without you

그리고 이렇게 말하겠죠. “정말 잘했어요. 당신 없이는 이걸 해낼 수 없었을 거예요.”

and then you're gonna say if you're a good leader take Monday off

그리고 당신이 좋은 리더라면 이렇게 말할 거예요.

why don't you take Monday or Tuesday off to get your weekend back you've earned it

“월요일은 쉬세요. 주말을 되찾기 위해 월요일이나 화요일 하루 쉬는 게 어때요?”

I'm not asking you to make to pay a cost that I'm not willing to compensate you for

나는 당신에게 보상할 생각 없는 대가를 치르라고 요구하지 않아요.

you gave me two days I'll give you two days may not be consecutively

당신이 이틀을 줬으니,나도 이틀을 돌려줄게요.

but I'll give you back your weekend thank you

주말은 돌려줄게요. 감사합니다

that gesture will make somebody feel seen and heard

그런 배려는 그 사람이 존중받고 있다는 느낌을 주고,

and they will give you many weekends knowing

앞으로도 기꺼이 주말을 내어 줄 수도 있죠.

that you're willing to keep the equation balanced

그 균형을 유지하려는 의지가 있다는 거죠.

if you never give them their time back

시간을 돌려주지 않고

and now they're just working 7 days a week

주 7일 일만 시킨다면,

they will either burn out or they will quit

결국 지쳐버리거나 그만둘 거예요.

so if we know that another person will burn out or quit

다른 사람도 그런 속도로 쉼 없이 달리면 지칠 거라는 걸 우리가 안다면

if they maintain that pace without Grace

다른 사람도 그런 속도로 쉼 없이 달리면 지칠 거라는 걸 우리가 안다면

then how come and it goes right back to yourself managing yourself

그럼 어째서 그건 곧 자기 자신에게도 해당돼요. 스스로를 관리하고,

lead yourself

스스로를 이끄세요.

you gotta give yourself that time off because that's the deal you make

자신에게도 휴식 시간을 줘야 해요. 그게 자신과 맺는 약속이니까요.

if you're the friend to yourself and if you lead yourself

자신에게 좋은 친구이자 리더라면,

that's what you do for somebody else that's what you well

그렇게 해야 해요.

I'm not other people and I have

“난 다른 사람들이랑 달라요. 난—”

No, you are you might have a little more grit than somebody else

아니, 당신은 다른 사람보다 끈기는 더 있을지 몰라도

but you don't have endless amounts of it

끝없는 양을 가지고 있지 않습니다

when it comes to the purpose and meaning point

목적과 의미의 문제로 넘어가서요,

how do you advise people to manage the transition if a ‘why’

이전에 나를 이끌고 채워주던 ‘이유’가 사라질 때,

that previously motivated them and fulfilled them starts to fall away?

이전에 그들에게 동기를 부여하고 성취한 것이 사라지기 시작합니까?

You mentioned yourself, there's this sort of sense of shame

당신도 말했듯, 그때는 수치심,

guilt of concern

죄책감, 불안,

wistfulness I would imagine this used to be my thing

아련함 같은 감정이 따라오죠.

“This used to be my thing, and now you’re telling me that the thing that gave me loads of positive reinforcement isn’t my thing anymore?”

“이게 예전엔 내 전부였는데, 이제는 더 이상 나를 채워주는 게 아니라고요?”

“And I have to go and find a new thing?

“그럼 새로운 걸 찾아야 해요?

That sounds pretty terrifying.”

그건 정말 두려운 일이에요.”

so how do people who have lost fulfillment in their why cope with that transition

그렇다면, ‘왜’의 의미를 잃은 사람들은 그 전환을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까요?

very simple answer

아주 간단한 대답이에요

that was never their why to begin with

애초에 그건 진짜 ‘왜’가 아니었어요.

people confuse goals with purpose

사람들은 목표와 목적을 혼동합니다

it happens all the time

그것은 항상 일어나요

you see it in company vision statements to be the best

회사 비전 진술에서 최고가 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that's not a vision that's a goal

그것은 목표인 비전이 아닙니다

by the way based on what metric that you chose

그건 그렇고 선택한 메트릭을 기준으로

right so sometimes we have goals that drive us

그래서 때때로 우리는 우리를 이끄는 목표를 가지고 있습니다

and they're exciting but then what

그리고 그들은 흥미진진하지만 그 다음은 무엇입니까?

and you see this very often with high achievers

그리고 당신은 높은 성취도를 가진 사람들과 함께 이것을 매우 자주 봅니다.

so let's take extreme examples right

그래서 극단적인 예를 들어봅시다

Olympic athletes it's just an extreme example

올림픽 선수들처럼요.

they are very goal oriented

이들은 정말 목표 중심적이에요.

and they've confused their goal with their purpose

그리고 이들은 자신의 목표를 목적이라고 착각하죠.

my purpose is to win the Olympics

“내 목적은 올림픽에서 우승하는 거예요.”

I love how they say that I'm gonna win

그 말이 참 흥미로워요. “난 올림픽을 이길 거야.”

nobody wins the Olympics that actually is not a it's not a you can't

사실 올림픽을 ‘이긴다’는 건 존재하지 않아요.

there's no medal for winning the Olympics right

올림픽 우승에 대한 메달은 없습니다.

but that's how they all talk

하지만 다들 그렇게 말하죠.

I'm gonna win the Olympics right

“올림픽에서 이기고 싶다”고요.

and all of their lives are completely architected around this goal

그리고 그들의 인생 전부가 그 목표를 중심으로 설계돼 있어요.

all of their relationships are you useful all of their sacrifices

모든 인간관계조차 ‘너는 내게 유용한가?’라는 기준으로 보죠.

I missed Thanksgiving I missed birthdays I missed all of these things because I'm disciplined

“추수감사절도 못 갔고, 생일도 빠졌고, 이 모든 걸 놓쳤어요. 왜냐면 전 훈련돼 있으니까요.”

and let's say they achieve it give them the success

그리고 그들이 성공했다고 쳐봅시다.

they win a gold medal in the Olympics

올림픽에서 금메달을 땄어요.

and now they're too old to compete

그리고 이제는 나이가 들어 더는 경쟁할 수 없고,

their bodies are broken whatever it is now what

몸도 망가졌어요. 그다음은요?

now what and what you find

이제 뭐하죠? 예를 들어보죠.

Andre Agassi becomes the most storied tennis player in all time

안드레 아가시는 최고의 테니스 선수였어요.

what happens right after he retires

그런데 은퇴 직후 무슨 일이 있었을까요?

depression

우울증

Michael Phelps becomes the most meddled Olympian in history

마이클 펠프스는 올림픽 역사상 최다 메달 수상자였어요.

what happens right after he retires

은퇴 후 무슨 일이 있었죠?

depression you know

우울증이죠.

my friend her entire goal of her entire life from Fargo North Dakota was to be on Broadway

제 친구는 노스다코타 파고에서 자라며 브로드웨이 무대에 서고

and become a New York City Rocket

뉴욕시 로켓이 되는 게 평생의 목표였어요.

she achieved both those things

그녀는 둘 다 이뤘어요.

she became a New York City Rocket

로켓이 되었고,

and she became a performer on Broadway

브로드웨이 무대에도 섰죠.

what happened right afterwards when she retired

그런데 은퇴하고 나서 무슨 일이 생겼을까요?

depression

우울증이에요.

we've we've confused gol with purpose

우리는 목표를 ‘목적’으로 착각하고 있어요.

a goal is one of the ways even if it's extreme one of the ways

목표는 단지 방법 중 하나일 뿐이에요.

in which we are looking to advance our purpose

아무리 극단적이더라도,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수단일 뿐이죠.

but a purpose is immutable

하지만 ‘목적’은 변하지 않아요.

a purpose does not change

목적은 불변입니다.

your purpose is fully formed by the time you're in your mid to late teens

당신의 목적은 이미 10대 중후반쯤이면 완성돼요. 그 시기쯤이면 당신이 누구인지가 형성되죠.

and the rest of your life

그리고 인생의 나머지는

is looking for opportunities to bring that that cause life

그 목적을 실현할 기회를 찾는 여정이에요.

Very common and particularly in high achievers

특히 높은 성취자들에게 이런 일이 아주 흔해요.

and they confuse their jobs with their purpose with their identity right

이들은 자신의 직업을 ‘목적’,그리고 ‘정체성’과 혼동해요

so you see they these high who literally are afraid of not working

그래서 우리는 일하지 않는 걸 두려워하는 고성과자들을 보게 돼요

Because “Who am I if I’m not doing this thing?”

“이걸 안 하면 나는 누구지?”라는 생각 때문이에요.

and they've forgotten that the thing you're doing is just one of the ways

하지만 이들은 지금 하는 일이 단지 목적을 실현하는 여러 방법 중 하나일 뿐이라는 걸

you can bring your purpose to life

잊고 있어요.

So, my ‘why’, my purpose, is not to write books.

그러니까, 제 ‘왜’, 제 목적은 책을 쓰는 게 아니에요.

my why is not to achieve some goal

제 ‘왜’는 어떤 목표를 달성하거나,

some Ted talk over which I have no control

제가 통제할 수 없는 TED 강연을 하는 게 아니에요.

my why is to inspire people to do the things that inspire them

제 목적은 사람들에게 그들 스스로를 움직이게 하는 일을 하도록 영감을 주는 거예요.

that's why I get out of bed in the morning

그게 제가 아침에 일어나는 이유예요.

that is permanent for the rest of my life

그건 평생, 제가 죽는 날까지도 변하지 않을 목적이에요.

till the day I die

그건 평생, 제가 죽는 날까지도 변하지 않을 목적이에요.

now what are the opportunities that I can do that

이제, 그 목적을 실현할 기회가 뭐가 있을까요?

some of them big some of them small

어떤 건 크고, 어떤 건 작겠죠.

Some of them risky, some of them not.

어떤 건 위험하고, 어떤 건 안전할 거예요.

And I can have goals that motivate me in the middle of that

그리고 그 안에서 저를 자극하는 목표들을 가질 수 있죠.

but if I pick a goal that's just for the money

그런데 만약 돈을 위해서나,

or just for the accomplishment or whatever

단순한 성취를 위해서 목표를 택한다면

Odds are the stress is going to be far greater than the reward

스트레스가 보상보다 훨씬 클 확률이 높아요.

because it doesn't contribute to my purpose

왜냐하면 그건 제 ‘목적’에 기여하지 않기 때문이죠

and that's raises the second question

그리고 그것은 두 번째 질문을 제기합니다.

which is how do I know when to quit

“언제 그만두어야 할까?”

and some people have this false belief that grit is the thing that makes

어떤 사람들은 ‘끈기’만이 중요하다고 믿어요.

you and you never quit

절대 포기하면 안 된다고요.

that's stupid

그건 어리석은 생각이에요.

just as it as stupid it is just as stupid as to say you always quit whenever it gets difficult

힘들면 무조건 포기하라는 말만큼이나 어리석어요.

both are the wrong mentality

둘 다 잘못된 사고방식이에요.

my test is very simple

제 기준은 아주 간단해요.

does the sacrifice feel worth it

그 ‘희생’이 가치 있게 느껴지나요?

if the sacrifice feels worth it

희생이 가치가 있다고 느끼면

because there's some higher goal

더 높은 목표가 있기 때문에

you're trying to achieve some higher purpose

단순한 목표가 아니라

not even goal a higher purpose you're trying to achieve

더 높은 차원의 목적을 이루고자 하는 거라면

then you better show up the grit and you keep going

그렇다면 끈기를 발휘하고 계속 나아가야 해요.

but if it just doesn't feel worth it anymore

하지만 더 이상 그만한 가치가 느껴지지 않는다면,

it doesn't feel like I'm contributing to something

나 자신보다 더 큰 무언가에 기여하고 있다는

bigger than myself

느낌이 들지 않는다면,

then it's time to move on

그때가 바로 떠날 때예요.

📚 사이먼 시넥 저서

스타트 위드 와이

- https://link.coupang.com/a/cEP1Eu

 

스타트 위드 와이(15주년 특별 개정판):수백만의 인생을 바꾼 단 하나의 질문 - 성공스토리 | 쿠팡

쿠팡에서 스타트 위드 와이(15주년 특별 개정판):수백만의 인생을 바꾼 단 하나의 질문 구매하고 더 많은 혜택을 받으세요! 지금 할인중인 다른 성공스토리 제품도 바로 쿠팡에서 확인할 수 있습

www.coupang.com

 

나는 왜 이 일을 하는가

- https://link.coupang.com/a/cEP0WU

 

나는 왜 이 일을 하는가 2:당신만의 why를 찾아라 - 창작동화 | 쿠팡

쿠팡에서 나는 왜 이 일을 하는가 2:당신만의 why를 찾아라 구매하고 더 많은 혜택을 받으세요! 지금 할인중인 다른 창작동화 제품도 바로 쿠팡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www.coupang.com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