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립트

[ENG/KOR] 삶이 흔들린다면 확인해 볼, 열정과 목적을 찾는 과정 | 제이셰티

nomatterscript 2025. 3. 9. 21:31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삶의 두 가지 거짓말

You’ve all been told two lies growing up.

The first: ‘You’ll never amount to anything.’

Maybe you heard it from a parent, a teacher, or someone you hoped would believe in you.

And the second lie: ‘You can be anything you want.’

Maybe you heard it from a speaker or someone in your life.
But the truth is, you can’t be anything you want. But you can be everything you are.

 

우리는 성장하면서 두 가지 거짓말을 들어왔습니다.
첫 번째는 ‘넌 아무것도 이루지 못할 거야.’
아마 부모님이나 선생님, 혹은 여러분을 믿어주길 바랐던 사람에게 들었을 수도 있죠.
두 번째 거짓말은 ‘넌 원하는 무엇이든 될 수 있어.’ 아마 강연자나 주변 사람에게 들었을 겁니다.
하지만 진실은 원하는 무엇이든 될 순 없지만, 진정한 ‘나’로 살아갈 수는 있습니다.

 


열정과 목적을 찾는 과정

Many of us get paralyzed by the pursuit of passion and purpose.
But by the end of this video, you’ll know how to find yours.
One of the main reasons you struggle to find your passion
and purpose is because you believe you have to have found it by a certain age.
I meet so many people who say,
‘Jay, I’m 20 years old. Should I know my purpose?’
‘Jay, I’m 30 years old. How is it that I don’t know my passion?’
‘I’m 40, and I’m still figuring it out.’
The truth is, it’s something that we’re constantly collecting and connecting.
We’re collecting new experiences and connecting them with old ones.
And that’s what starts to build our passion and purpose.

 

많은 사람들이 열정과 목적을 찾으려다 오히려 마비된 듯한 느낌을 받습니다.
하지만 이 영상을 끝까지 보면, 여러분만의 방법을 찾을 수 있을 것입니다.
우리가 열정과 목적을 찾기 어려워하는 가장 큰 이유 중 하나는,
그것을 특정 나이에 반드시 찾아야 한다고 믿기 때문입니다.
저는 이런 질문을 자주 받습니다.
‘제이, 저는 20살인데, 제 목적을 알아야 하지 않을까요?’
‘제이, 저는 30살인데, 아직도 제가 뭘 좋아하는지 모르겠어요.’
‘저는 40살인데 아직도 찾고 있는 중이에요.’

중요한건, 열정과 목적은 우리가 끊임없이 ‘수집’하고 ‘연결’하는 과정 속에서 만들어진다는 것입니다.

우리는 매일 새로운 경험을 쌓고, 그것을 과거의 경험과 연결하면서 열정과 목적을 만들어 나가는 거죠.

 

 

 

Many of us feel pressure to find our purpose in our 20s,

but many successful people find their stride later.

In his biography, Andre Agassi dropped a bombshell on the world.

The former world’s number one tennis player, eight-time Grand Slam champion,

and Gold Medal winner didn’t like tennis.

Agassi was pushed into playing by his father, and though he was incredible at the game, he hated playing it.

The fact that he was tremendously successful and made loads of money didn’t matter.

It wasn’t his purpose.

But Agassi transitioned his on-court success into his true passion.

Instead of serving aces, he’s now serving others.

The Andre Agassi Foundation runs a K-12 college prep school for at-risk youth.

 

많은 사람들이 20대에 자신의 목적을 찾아야 한다는 압박감을 느낍니다.

하지만 많은 성공한 사람들도 더 늦은 시기에 비로소 자신의 길을 찾았습니다.

자서전에서 안드레 애거시는 충격적인 사실을 밝혔습니다.

세계 랭킹 1위, 8번의 그랜드슬램 우승, 올림픽 금메달리스트였던 그는 사실 테니스를 좋아하지 않았습니다.

애거시는 아버지의 강요로 테니스를 시작했고,

비록 실력은 뛰어났지만 경기를 하는 것이 싫었습니다.

엄청난 성공과 부를 거머쥐었음에도 불구하고, 그것이 그의 목적은 아니었습니다.

그러나 그는 코트에서의 성공을 진정한 열정으로 전환했습니다. 에이스를 서브하는 대신, 이제는 다른 사람들을 돕고 있습니다.

‘안드레 애거시 재단’은 위험에 처한 청소년들을 위한 K-12(유치원부터 고등학교까지) 학교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We often think that there’s one clear path to purpose.

We often think that someone must have figured it out

‘Can I not just use that same formula in my life?’

And the truth is, there’s no one clear way.

But there are four paths that you can consider.

 

우리는 흔히 목적을 찾는 데 하나의 분명한 길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누군가는 방법을 이미 알아냈을 텐데, 나도 똑같이 하면 되지 않을까?’

사실, 명확한 길은 하나도 없습니다.

하지만 여러분이 고려해볼 수 있는 네 가지 길이 있습니다.

 

 

 

 


목적을 찾는 네 가지 방법

The first is pain.

So many people who now live purposeful lives found their purpose through pain.

What do I mean by this?

They experienced a pain early on in life, and they so badly wanted no one

to ever experience that pain again that they started helping others get through it.

 

첫 번째는 고통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삶에서 의미 있는 목표를 찾게 되는 계기가 바로 고통에서 비롯됩니다.

무슨 의미일까요?

어린 시절 깊은 상처를 경험한 사람들이

‘다른 누구도 이런 고통을 겪지 않도록 해야겠다’는 마음으로 타인을 돕기 시작하는 것입니다.

 

 

 

Maybe you’ve gone through a particular life event, and you’d never wish it on your worst enemy.

Maybe you experienced something at a young age,

and you hope no one ever has to go through that. Maybe you overcame a pain.

A lot of you may be survivors. Maybe you beat a disease, and now you want to give other people the strength,

the courage, the motivation to do the same.

That’s when you’re turning your pain into purpose.

 

여러분도 한 번쯤 이런 경험을 했을지도 모릅니다. 너무나 힘든 일을 겪어서,

다른사람에게도 일어나지 않기를 바라고 혹은 어린 나이에 겪은 일이 너무 힘들어서,

다른 사람은 그런 일을 겪지 않길 바란 적이 있나요? 어쩌면 여러분은 어떤 고통을 이겨낸 생존자일 수도 있습니다.

병을 극복한 적이 있나요?

그렇다면, 다른 사람들에게 힘과 용기를 주고 그들도 이겨낼 수 있도록 돕고 싶지 않나요?

바로 이것이 ‘고통을 목적으로 바꾸는 과정’입니다.”

 

 

 

This is the second path to purpose:

Potential. A lot of us have skills, mindsets, and abilities

that we’re not even sure about that we’re not even aware of.

You have got hidden potential inside of you.

 

두 번째로 목적을 찾는 방법은 ‘잠재력을 발견하는 것’입니다.

우리는 모두 스스로도 모르는 재능과 능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여러분 안에는 아직 발견되지 않은 엄청난 가능성이 숨어 있습니다.

 

 

 

Maybe you have a particular way your mind works around problem-solving.

Maybe you’ve got a really cool skill that you never knew until later on in life

when you actually experimented and explored. So many of us don’t sample until later on in life.

 

어쩌면 여러분은 문제를 해결하는 독특한 사고방식을 가지고 있을지도 모릅니다.

혹은 나중에서야 발견하게 된 멋진 기술이 있을 수도 있죠.

많은 사람들이 삶을 살면서 다양한 경험을 해보기 전까지 자신의 능력을 깨닫지 못합니다.

 

 

 

The process of sampling is saying,

‘I’m going to try a new skill every weekend for a whole year.’

You’re now going to test yourself for 52 skills.

I promise you, you’re going to see yourself have an innate ability in one or two of them.

 

그래서 저는 ‘샘플링’을 추천합니다.

’매주 새로운 기술을 하나씩 배워보겠다’고 다짐해 보세요.
이렇게하면 52가지 기술을 시험해보게 됩니다. 그

러면 여러분은 그중 한두 가지에 타고난 재능이 있음을 발견하게 될 것입니다.

 

 

 

A lot of us may test one skill per year for the next 10 years.

Others may test just one skill over the next 10 years. The point is, it’s all a game of odds.

The more chances you take at testing your experiences,

testing your skills, the more likely you are to quickly discover

what you naturally have a talent, potential, and skill for.

 

어떤 사람들은 10년 동안 매년 한 가지씩 새로운 기술을 배웁니다.

반면, 10년 동안 단 하나의 기술만 집중해서 익히는 사람도 있습니다.

요점은, 모든 것이 확률 게임입니다.

여러분이 다양한 경험을 시도하고, 새로운 기술을 배우려고 할수록,

자신의 타고난 재능과 능력을 더 빨리 발견할 수 있습니다.

 

 

 

I remember when I was 18, I was doing so many different things.

I was managing, leading, speaking, and organizing.

That’s when I discovered that I loved learning, teaching, and sharing.

It became a part of my life ever since I was 18.

And all I had to do was hone that skill, develop it, build it, and find new ways of challenging myself.

And it continues to be something I pursue today.

 

저는 18살 때 다양한 일에 도전했습니다.

기획, 리더십, 발표, 조직 운영 등 여러 가지를 경험했죠. 

그때 ‘나는 배우고, 가르치고, 공유하는 것을 좋아하는구나’라는 사실을 깨닫게 되었습니다.

그때부터 저는 그 능력을 발전시키고, 더욱 연마하며, 도전을 멈추지 않았습니다.

그리고 지금도 그 길을 걷고 있습니다.

 

 

 

It’s as simple as that.

Find out what your hidden potential is by allowing yourself to fail, allowing yourself to make mistakes,

and allowing yourself to try as many things as you possibly can over the next 12 months

or better yet, over the next 30 days.

 

방법은 생각보다 간단합니다. 여러분의 숨겨진 잠재력을 발견하는 방법은 실패를 허용하고, 실수를 받아들이며,

가능한 한 많은 것을 시도하는 것입니다.

앞으로 12개월 동안, 아니 그보다 더 빠르게 30일 동안 다양한 경험을 해보세요.

 

 

 

Number three is a problem you see in the world.

Maybe there’s something around you, something you notice.

It may not even be something you have personally experienced,

but it’s a challenge you feel drawn to solve, a cause you feel called to help with.

 

세 번째로 목적을 찾는 길은 세상에서 문제를 발견하는 것입니다.

주변을 둘러보면, 눈에 띄는 문제들이 있을 것입니다.

직접 경험해보진 않았더라도, 해결하고 싶거나, 도와야겠다고 느끼는 일들이 있을 수 있습니다.

 

 

 

I know many people who say,

‘I can’t stand seeing what’s happening to our environment I have to do something.’

Others say, ‘I can’t bear how animals are being treated I need to help.’

 

어떤 사람들은 말합니다. ‘환경이 파괴되는 걸 보고만 있을 수 없어요.

저는 뭔가 해야 해요.’ 또 어떤 사람들은 말합니다.

‘동물들이 고통받는 현실을 도저히 참을 수 없어요. 뭔가 해야 해요.’

 

 

 

There are so many causes that we feel connected to.

And often, this is what we think of as purpose.

But many of us keep waiting for that calling,

hoping for that moment of clarity until we take action.

 

이처럼 우리는 어떤 문제에 본능적으로 끌리기도 합니다. 그리고 우리는 이것을 ‘목적’이라고 생각하곤 하죠.

하지만 많은 사람들이 그 부름을 기다리기만 합니다.

어느 날 갑자기 내게 사명이 주어질 것이라 믿으며, 행동에 나서지 않죠.

 

 

 

That’s why it’s so important to explore other paths.

Your purpose may come from your own pain, your own potential,

or now, from an external problem a challenge that you may not have personally experienced,

but one that compels you to make a difference.

 

그래서 다양한 방법을 탐색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여러분의 목적은 개인적인 고통에서 올 수도 있고, 여러분이 가진 잠재력에서 올 수도 있습니다.

‘외부 문제’에서도 찾을 수 있습니다.

직접 경험하지 않았더라도, 마음이 움직이고 행동해야겠다는 강한 의지가 든다면,

그것이 여러분의 목적이 될 수도 있습니다.

 

 

 

And the fourth path to purpose is platform.

As we just discussed in the case of Andre Agassi… And the fourth path to purpose is platform.

Take Andre Agassi, for example. He built an incredible career in tennis,

and although it wasn’t his passion, he used the platform he created to make a real impact in the world.

 

네 번째로 목적을 찾는 길은 기반(Platform)입니다.

앞서 이야기한 안드레 애거시의 사례처럼,

그는 자신이 쌓아온 경험기반을 활용하여 세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었습니다.

 

 

 

I meet so many people

who feel like they’ve wasted the last 10 or 20 years of their life, chasing a job, a title, a promotion only to realize they still don’t feel fulfilled.

But here’s the truth: Nothing you’ve done is wasted.

Everything you’ve experienced, everything you’ve worked for—it all matters.

It’s a platform—a foundation you can build on to make a difference.

 

저는 많은 사람들과 이야기를 나누면서 이런 말을 자주 듣습니다

‘지난 10년, 20년 동안 나는 직업, 직위, 승진을 쫓아왔어요.

그런데 이제 와서 보니, 무의미하게 느껴져요’

하지만 그렇지 않습니다. 세월을 낭비하지 않았어요.

여러분이 가진 모든 경험, 지금까지 이루어온 모든 것들은 활용될 수 있습니다.

그것은 여러분이 세상을 바꾸는 기반이 될 수 있습니다.

 

 

 

So, don’t undervalue your experience.

Don’t dismiss your skills.

Don’t diminish the effort you’ve put in.

 

여러분의 경험을 과소평가하지 마세요.

여러분의 기술을 과소평가하지 마세요.

여러분이 해온 모든 노력을 과소평가하지 마세요.

 

 

 

No matter where you are in life,

No matter how old you are, everything you’ve learned,

everything you’ve built you can use it to serve others and create impact.

 

여러분이 몇 살이든,

인생에서 어떤 시점에 있든

여러분이 지금까지 쌓아온 모든 것

여러분이 지금까지 배운 모든 것

그 모든 것이 타인을 돕고 세상에 기여하는 데 쓰일 수 있습니다.

 

 

 

And one of the biggest questions I get is:

‘Jay, how do I actually find my potential?’

‘How do I actually identify my skills?’

‘How do I actually discover my passion and use it to help others?’

Sometimes, the hardest part is simply figuring out where to start.

 

그리고 많은 사람들이 저에게 묻습니다.

‘제이, 저는 제 잠재력을 어떻게 찾을 수 있을까요?’

‘저는 제 진짜 강점을 어떻게 발견할 수 있을까요?’

‘저는 내가 가진 것을 활용해서 어떻게 다른 사람을 도울 수 있을까요?’

때로는 방향을 찾는 것 자체가 어렵게 느껴질 수도 있습니다.

 

 

 

I want to give you an exercise

that I want you to do with me right now

that will help you discover it in the next few moments.

 

그래서 지금, 여러분이 직접 해볼 수 있는 간단한 연습을 알려드리겠습니다.

이 연습을 통해 여러분은 몇 분 안에 자신을 더 깊이 이해할 수 있을 것입니다.

 

 

 


자기 발견을 위한 세 가지 목록 만들기

What I want you to do is create four lists.

 

네 개의 목록을 작성해 보세요.

 

 

 

The first list is what you have a skill in but no passion for.

There may be something that you’re pretty good at maybe you’re naturally good at numbers,

maybe you’re a great editor, maybe you’re really good at understanding people’s behavior.

But maybe it’s something you’re not passionate about.

This is likely what you actually do for work.

A lot of our jobs and a lot of our work are based on things that we’re actually good at

but we may not actually enjoy them. So, I want you to write down three things that fall into this category.

 

첫 번째 목록: ‘내가 잘하지만, 열정이 없는 것’ 여러분이 잘하는 것이지만, 정작 열정은 없는 것을 적어보세요.

예를 들면, 숫자 계산이 자연스럽게 잘된다.

영상 편집을 능숙하게 할 수 있다. 사람의 행동을 이해하는 능력이 뛰어나다.

이 모든 것들이 내가 정말로 좋아하는 일은 아닐 수도 있습니다.

사실, 우리가 하는 많은 일과 직업은 우리가 잘하지만, 꼭 즐기지는 않는 것들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 범주에 속하는 세 가지를 적어보세요.

 

 

 

The second list I want you to make is things t

hat you have no skill in but do have a passion for.

Maybe there’s something that makes you say,

‘Oh, I love photography, but I’m a terrible photographer!’

Or maybe you think,

‘I absolutely love art, but I know nothing about buying and selling art.’

What is something that you’re curious about?

Something that you’re passionate about, but you don’t yet have a skill in?

This is something you can learn and develop over time.

 

두 번째 목록: ‘내가 못하지만, 열정이 있는 것’ 이번에는 여러분이 전혀 능숙하지 않지만,

관심과 열정이 있는 것을 적어보세요.

예를 들어, ‘나는 사진을 정말 좋아하지만, 사진을 잘 찍지는 못해!’

‘나는 예술을 사랑하지만, 미술 작품을 사고파는 법은 전혀 몰라.’

여러분이 배우고 싶은 것, 깊이 탐구하고 싶은 것은 무엇인가요?

이것은 앞으로 시간을 들여 배울 수 있는 분야입니다.

 

 

 

The third list I want you to make is things that you have no skill in and no passion for—whatsoever.

This is a list of things where you’re like,

‘I’m not good at it, and I don’t like it. I don’t enjoy it.

I want nothing to do with it.’ Hopefully, in the future, this is something you’ll be able to outsource.

Sometimes, in the beginning, it’s something you just have to get on with—just make it happen,

and you’ll get through it. This is not something you want to do forever,

but it may be something that you need to learn in the short term.

 

세 번째 목록: ‘내가 못하고, 좋아하지도 않는 것’ 마지막으로, 여러분이 못할 뿐만 아니라,

전혀 하고 싶지 않은 일들을 적어보세요.

예를 들어, ‘나는 이 일을 못하고, 즐기지도 않으며, 앞으로도 하고 싶지 않다!’

이 목록의 항목들은 장기적으로 아웃소싱(위임)할 수 있는 일들입니다.

하지만 때때로, 초반에는 피할 수 없는 것들일 수도 있습니다. 일단 해내야 하는 일이기 때문에,

그냥 실행하고, 마무리해야 하는 것일 수도 있습니다. 이것이 여러분이 평생 하고 싶은 일이 아닐 수도 있지만,

단기적으로 배워야 할 필요가 있는 일일 수도 있습니다.

 

 

 

Now, what we want to do with these three lists is use them

to populate the ‘Purpose Box’—the intersection of skill and passion.

 

자, 이제 우리가 해야 할 일은 이 세 가지 목록을 ‘목적 박스(Purpose Box)’에 채우는 것입니다.

 

 

 

Your purpose is not just something you’re passionate about.

It’s not just something that excites you.

It’s something that you’re actually really good at.

 

여러분의 목적(Purpose)은 단순히 열정을 느끼는 것만이 아닙니다. 단순히 여러분을 흥분시키는 것만이 아닙니다.

여러분이 실제로 ‘잘할 수 있는 것’이 되어야 합니다.

 

 

 

I think this is something that’s often missed in conversations about finding passion and purpose.

We tend to think, ‘Oh, as long as I love it, as long as I enjoy it, as long as it feels meaningful,

then that’s my purpose.’

 

우리는 흔히 이렇게 생각합니다.

‘이걸 좋아하기만 하면, 즐겁기만 하면, 의미가 있다고 느껴지기만 하면, 이게 내 목적이겠지!’

 

 

 

But the truth is Unless we get really strategic, really diligent, and really focused,

it will always remain a hobby. It will remain something nice that we do on the side.

 

하지만 현실은 다릅니다. 우리가 정말 전략적으로, 체계적으로, 그리고 집중력 있게 접근하지 않으면,

그것은 단순한 취미로 남을 뿐입니다. 그저 가끔 즐기는 활동일 뿐, 삶의 중요한 역할을 하지는 못할 것입니다.

 

 

 

There’s an incredible quote I love from Martin Luther King Jr.

that says: “People who love peace need to learn to organize themselves as well as those who love war.”

This is one of my deepest beliefs.

Sometimes, those of us who love goodness, positivity, and high frequencies can be quite unorganized.

We can be kind of wishy-washy and “woo-woo”.

 

저는 마틴 루터 킹 주니어(Martin Luther King Jr.)의 명언을 정말 좋아합니다.

“평화를 사랑하는 사람들은, 전쟁을 사랑하는 사람들만큼이나 체계적으로 조직화될 필요가 있다.”

이것은 저의 가장 깊은 신념 중 하나입니다.

우리는 선한 영향력, 긍정적인 에너지, 그리고 고귀한 가치를 추구하지만, 때때로 체계적이지 못할 수도 있습니다.

약간 비현실적이고 이상주의적일 수 있어요.

 

 

 

But actually, being strategic and focused allows us to create something that has a real impact.

So, with your first list (skill but no passion),

ask yourself: How could you become passionate about that skill?

What could you do to make it more meaningful?

How could you allow yourself to get excited about it, even if it doesn’t currently excite you?

All of a sudden, you’re pushing that skill into the Purpose Box

 

하지만, 전략적이고 집중력 있는 사고방식을 가질 때,

우리는 진정한 영향력을 만들어낼 수 있습니다.

이제 여러분의 첫 번째 목록(잘하지만 열정 없는 것)을 다시 보세요. 이 기술에 더 열정을 가질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일까요?

어떻게 하면 이 기술을 더 의미 있는 것으로 만들 수 있을까요?

지금은 별로 흥미롭지 않더라도,
어느 순간 여러분은 그것을 우리가 원하는 핵심 박스(Main Box)로 밀어넣고 있을 것입니다.

 

 

 

I want you to look at the next list things you have no skill in but are passionate about.

Again, like I said, it could be photography.

Take a photography course. Find a friend who’s a wedding or event photographer

and ask them to show you around.

Shadow someone for a day who in your life could help you learn this skill?

Get introduced to a new trade or profession.

And just like that, you’re moving this skill into the Purpose Box.

 

이제 두 번째 목록을 살펴봅시다

여러분이 능숙하지 않지만 열정을 가지고 있는 것들입니다.

제가 말한 것처럼, 예를 들어 사진 촬영이 될 수도 있습니다. 사진 강좌를 수강해보세요.

결혼식 또는 행사 전문 사진작가인 친구가 있다면, 그들에게 배워보세요.

사진작가를 하루 동안 따라다니며 배우는 ’섀도잉(Shadowing)’을 해보세요.

새로운 분야에 도전할 기회를 찾아보세요.

이렇게 하면, 여러분은 이 기술을 ‘목적 박스(Purpose Box)’로 이동시키고 있는 것입니다.

 

 

 

Now, let’s move on to the final list things you have no skill in and no passion for,

but maybe you need it right now.

Maybe you just started your own business.

Maybe you have a small side hustle.

So, how are you going to do the things

that you don’t enjoy, don’t love,

or aren’t good at in order to help push yourself in the right direction?

 

이제 마지막 목록을 살펴봅시다

여러분이 능숙하지도 않고, 열정도 없는 것들입니다.

그런데, 지금 당장 필요한 기술이 여기에 포함될 수도 있습니다. 여러분이 창업을 막 시작했다면?

혹은 작은 사이드 프로젝트를 운영하고 있다면?

그렇다면,여러분이 좋아하지도 않고, 잘하지도 않는 일들을 어떻게 해낼 것인가?

이것을 어떻게 활용해서 나아가고 싶은 방향으로 자신을 밀어붙일 것인가?

 

 

 

These three lists are a great place to start

when you’re trying to discover your hidden potential.

 

이 세 가지 목록을 작성하는 것은,

여러분의 숨겨진 잠재력을 발견하는 훌륭한 출발점이 될 것입니다.

 

 


일의 의미 재해석하기

I think one of our biggest challenges around our conversations of purpose and passion is that they're all about

what we do and not how we think about

what we do they're about what we're doing rather than who we're being they're about

how we act rather than how we think and feel about how we choose to act

 

“우리가 목적과 열정에 대해 이야기할 때,

가장 큰 문제 중 하나는 ‘우리가 무엇을 하느냐’에만 집중하고, ‘그 일을 어떻게 바라보느냐’는 고려하지 않는다는 점입니다.

우리는 ‘내가 하는 행동’에 초점을 맞추지만, ‘나는 어떤 사람이 되어가고 있는가’는 깊이 생각하지 않습니다.

또한, 우리는 ‘내가 어떻게 행동하는가’만 고민하고, ‘그 행동을 선택할 때 내 생각과 감정이 어떠한가’는 중요하게 여기지 않습니다.”

 

 

 

To explain this, I want to share a case study with you.

Amy Wrzesniewski and her team at the Yale School of Management set out to find what they believed was the most difficult job in the world.

In 2019, they found that the most difficult job was being a hospital cleaner.

They believed this was the hardest job because it involved:

Cleaning floors,Toilets,Plates,Bathrooms,Bed sheets,

And even cleaning up after people had passed away.

 

이 점을 설명하기 위해, 하나의 사례 연구를 공유하고 싶습니다.

예일 경영대학원의 에이미 브제즈니에스키 교수와 그녀의 연구팀은 세상에서 가장 어려운 직업이 무엇인지 연구했습니다.

그들이 2019년에 찾아낸 ‘가장 힘든 직업’은 다름 아닌 병원 청소부였습니다.

그 이유는 이 직업이 다음과 같은 일들을 포함하기 때문이었습니다.

병원 바닥 청소, 화장실 청소, 식기 세척, 욕실 청소 침대 시트 교체

그리고 심지어 사람이 세상을 떠난 후 정리하는 일까지 포함되었습니다.

 

 

 

It was an extremely difficult job,

so they went and interviewed these cleaners.

Now, these cleaners, in their own words, describe themselves as low-skilled labor. They said:“We clean floors, toilets, plates, etc., etc.”

They then continued to interview these cleaners, and they found a whole new group of cleaners who described themselves as healers and carers.

These healers: worked the same hours as the cleaners, worked in the same hospitals as the cleaners, had the same shifts, received the same pay,had the same bosses. But some saw themselves as cleaners,

and some saw themselves as healers.

 

매우 어려운 일입니다. 연구팀은 이 청소부들을 인터뷰하기 시작했습니다.

처음에 청소부들은 스스로를 저숙련 노동자라고 표현했습니다.

그들은 이렇게 말했습니다. “우리는 바닥을 청소하고, 화장실을 닦고, 식기를 세척하는 일을 합니다.”

그러나 연구팀이 인터뷰를 계속 진행하는 동안, 완전히 다른 방식으로 자신을 정의하는 또 다른 그룹을 발견했습니다.

이들은 자신을 청소부가 아닌 치유자와 돌보는 사람들이라고 불렀습니다.

흥미로운 점은, 이 두 그룹은 같은 병원에서 일했고, 같은 시간 동안 근무했으며,

같은 업무를 했고, 같은 급여를 받으며, 같은 상사 아래에서 일했다는 것입니다.

그러나 어떤 사람들은 자신을 단순한 ‘청소부’로 보았고, 어떤 사람들은 자신을 ‘치유자’로 보았습니다.

 

 

 

So they asked them why.

The healers replied “Because we believe cleaning is integral to the healing journey of the patient.

If the hospital room is cleaner, people feel better about what they’re going through.

If their space is cleaner, their family spends more time with them. It is integral and critical to how they feel.”

Amy Wrzesniewski and her team coined the term “job crafting,”

where a job wasn’t about what you did every day but how you felt about what you did every day.

There’s an incredible statement from one of my favorite authors,

Wayne Dyer, where he said:“When we change the way we look at things, the things we look at change.”

 

그래서 연구팀은 그들에게 물었습니다.

“왜 여러분은 자신을 ’치유자’라고 생각하나요?”

그들은 이렇게 대답했습니다.

“우리는 청소가 환자의 치유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믿습니다. 병실이 깨끗하면,

환자들은 자신이 겪고 있는 일을 더 편안하게 받아들일 수 있습니다.

공간이 더 깨끗하면, 가족들도 환자 곁에 머무르는 시간이 더 길어집니다.

이것은 환자의 회복 과정에서 필수적이고 중요한 부분입니다.”

이 연구를 통해, Amy Wrzesniewski 교수와 연구팀은 직업이란 단순히 매일 하는 일이 아니라,

그 일을 어떻게 바라보고 느끼느냐에 따라 달라진다는 개념을 정립했습니다. 이를 직업 재구성이라고 명명했습니다.

저는 웨인 다이어의 말 중에서 이와 관련해 가장 좋아하는 명언이 있습니다.

“우리가 사물을 바라보는 방식을 바꾸면, 우리가 바라보는 사물 자체가 변한다.”

 

 

 


마지막 메시지

I challenge you today to look at your work differently.

Look up from your phone. Look up from your laptops.

Look up from your iPads. Look beyond your screen. Look beyond your spreadsheets,

your PowerPoint presentations, whatever it may be maybe your Keynotes.

And ask yourself “Who does my work positively impact?”

We get so caught up in the day-to-day

that we forget that what we create improves the life of someone out there.

And when we reconnect with that feeling, we’re changing the way we look at things.

 

오늘 저는 여러분에게 도전 과제를 드리고 싶습니다.

휴대폰을 내려놓고 노트북도 잠시 치워두고, 아이패드에서 눈을 떼고, 당신의 스프레드시트 너머를 보세요. 파워포인트 프레젠테이션 키노트든 시선을 돌려보세요.

그리고 스스로에게 질문해보세요. “내가 하는 일이, 세상에 어떤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

우리는 일상에 너무 몰두한 나머지, 우리가 만드는 것이 누군가의 삶을 더 나아지게 하고 있다는 사실을 종종 잊곤 합니다.

그러나, 그 사실을 다시 연결하는 순간,

우리는 우리가 바라보는 세상을 변화시킬 수 있습니다.

 

 

 

even if we can't change the thing itself right now or this year

and remember your passion is for you your purpose is for for others

when you use your passion in the service of others it becomes a purpose

 

지금 당장, 혹은 올해 안에 모든 걸 바꿀 수 없다고 해도 괜찮아요.

하지만 기억하세요. 열정은 ‘나’의 것이고, 목적은 ‘타인’을 위한 것입니다.

여러분이 자신의 열정을 타인을 돕는 데 사용하면, 그것이 곧 목적이 됩니다.

 

 


 

📚[제이셰티 저서]

*이 게시물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수도자처럼 생각하기

https://link.coupang.com/a/cio8u

사랑의 8가지 법칙

https://link.coupang.com/a/cio9xe

 

수도자처럼 생각하기(아트 힐링 에디션):소진되고 지친 삶을 위한 고요함의 기술 - 처세술/삶의

쿠팡에서 수도자처럼 생각하기(아트 힐링 에디션):소진되고 지친 삶을 위한 고요함의 기술 구매하고 더 많은 혜택을 받으세요! 지금 할인중인 다른 처세술/삶의 자세 제품도 바로 쿠팡에서 확인

www.coupang.com

 

 

 

사랑의 8가지 법칙 - 인문/교양 일반 | 쿠팡

쿠팡에서 사랑의 8가지 법칙 구매하고 더 많은 혜택을 받으세요! 지금 할인중인 다른 인문/교양 일반 제품도 바로 쿠팡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www.coupa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