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why is it your job to manage somebody else’s mood? Why, and better yet, why should somebody else’s mood at work, at home, wherever, impact your mood?
왜 다른 사람의 기분을 관리하는 게 내 일이 되어야 할까요? 그리고 더 나아가, 직장에서든, 집에서든, 어디에서든 다른 사람의 기분이 내 기분에 영향을 줘야 할 이유가 있을까요?
I love this — on page 56 you say, “Why get stressed out about things beyond your control? Don’t they really matter? How does something so small have such a large impact on you?”
이 부분이 정말 마음에 들어요. 56페이지에서 이렇게 말하셨죠. “내가 통제할 수 없는 일들 때문에 왜 스트레스를 받아야 할까? 정말 중요한 일일까? 이렇게 작은 일이 내 삶에 큰 영향을 미치는 이유는 무엇일까?”
Because you allow it. Because you allow it.
그 이유는 당신이 그것을 허락하기 때문이에요. 당신이 그것을 허락했기 때문이에요.
And this is the huge thing in this: what is happening around you does not have to happen to you, right?
그리고 이게 정말 중요한 부분이에요. 내 주변에서 일어나는 일이 나에게도 일어나야 할 필요는 없다는 거죠, 맞죠?
What other people are doing — yes, you’re going to feel something.
다른 사람들이 하는 일에 대해 우리는 당연히 감정을 느낄 수 있어요.
You’re going to have an opinion. You will respond. This is human nature.
당연히 의견이 생기고, 반응하게 될 거예요. 그게 인간의 본성이죠.
But what you do in response to what somebody else is doing is where your power is.
하지만 다른 사람의 행동에 내가 어떻게 반응하느냐가 바로 나의 힘이 되는 거예요.
This is how you take responsibility for your life.
이것이 바로 자기 삶에 대한 책임을 지는 방법이에요.
Oprah and let’s look at the word responsibility. Yes, it is the ability to respond.
오프라, 여기서 ’책임(responsibility)’이라는 단어를 다시 생각해볼게요. 네, 이것은 ‘반응할 수 있는 능력’이에요.
And we forget when we get ourselves so stressed out because the grocery line isn’t moving the way that you think it should moving.
그런데 우리는 종종 이런 걸 잊어버려요. 예를 들어, 마트에서 줄이 내가 원하는 속도로 움직이지 않는다고 스트레스를 받는 순간처럼요.
And now you’re draining your life force over something so stupid.
그리고 그렇게 하면서 말도 안 되는 작은 일 때문에 내 에너지를 소진시키고 있죠.
And then you wonder: why are you so tired?
그러고 나서 스스로 묻죠. “왜 이렇게 피곤하지?
Why are you so overwhelmed? Why are you last on your list?
왜 이렇게 지치지? 왜 내자신을 마지막 순위로 미루지?”
It’s because you allow Death By A Thousand Cuts.
그 이유는 당신이 ’작은 상처들의 연속(Death By A Thousand Cuts)’을 허락했기 때문이에요.
You allow people’s moods and inconsiderate strangers and the headlines and the news to be something that impacts you.
당신은 다른 사람들의 기분, 배려 없는 낯선 사람들, 뉴스 헤드라인과 세상의 소식들이 당신에게 영향을 미치도록 허락하고 있어요.
There’s a different way to live. You just say, “Let them.”
하지만 다른 방식으로 살아갈 수도 있어요. 그냥 이렇게 말하세요. “그들이 하게 놔둬.”
Let them.
그들이 하게 두세요.
Because what you’re doing—and this is the really important part—is you are recognizing that this is not within my control, therefore it is not worth my time and energy.
여기서 중요한 것은, 이 일이 내 통제 범위 밖에 있다는 것을 인식하는 것, 그러므로 여기에 내 시간과 에너지를 쏟을 가치가 없다는 걸 깨닫는 것이에요.
And if you respect yourself and if you love yourself, you will focus your time and energy on what is within your control.
그리고 자신을 존중하고 사랑한다면, 당신은 당신이 통제할 수 있는 것에만 시간과 에너지를 집중할 거예요.
And that becomes “Let me.”
그리고 그것이 “그럼 나는?”(Let me) 라는 질문으로 이어집니다.
Yes, yes. Let them. And then, let me.
맞아요. 그들이 하게 두고, 이제 나는 어떻게 할 것인가?
This is one of the things I love about you and your podcast and your work here on the planet at this time, where it’s most needed.
이것이 제가 당신과 당신의 팟캐스트, 그리고 당신이 이 세상에서 하는 일을 사랑하는 이유 중 하나예요.
You break down complicated ideas into simple terms and forms that people can understand and relate to.
당신은 복잡한 개념을 사람들이 쉽게 이해하고 공감할 수 있도록 단순한 언어와 형태로 풀어내죠.
And so, “Let them.”
그래서 “그들이 하게 두라.”
You know, the Buddhists have said it. The Stoics have said it. Great religions have all talked about letting go and letting God.
불교에서도, 스토아 철학에서도, 그리고 많은 종교에서도 “내려놓음” 과 “운명에 맡김” 에 대해 이야기해왔어요.
But you put it in common, everyday language and principles that are not just relatable but resonate.
하지만 당신은 이 개념을 우리의 일상적인 언어로 풀어내고, 단순히 이해하는 것을 넘어 사람들의 마음을 울리게 만들어요.
And that’s why I had aha after aha after aha moment when I was reading this book.
그래서 이 책을 읽으면서 저는 계속해서 ‘아하!’ 하는 순간을 경험했어요.
And I know that you are a woman who’s made for this time—for such a time as this.
그리고 저는 당신이 지금 이 시대를 위해 태어난 사람이라는 것을 확신합니다.
Yes, right. And the second part of the theory, which is “Let me,” is actually the more important part.
네, 맞아요. 그리고 이 이론의 두 번째 부분인 “그럼 나는?”(Let me) 이 사실 더 중요한 부분이에요.
Yes. And the reason why is because, first of all, you have to say, “Let them,” because you can’t take control of your own life until you stop trying to control everybody else and everything around you.
네, 그 이유는, “그들이 하게 두라.” 고 먼저 말할 수 있어야, 주변의 모든 것을 통제하려는 시도를 멈출 수 있고, 그래야 비로소 자신의 삶을 통제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And so, “Let them” is when you release control.
그러니까 “그들이 하게 두라” 라는 말은, 통제하려는 마음을 놓아버리는 순간이에요.
Oh my goodness, it’s so freeing.
와, 정말 해방감이 들죠.
Yes, yes.
맞아요, 맞아요.
And then you have to say, “Let me.”
그리고 나서 “그럼 나는?”(Let me) 이라고 스스로에게 물어봐야 해요.
Mhm. Because “Let me” is where you cue yourself.
음, 왜냐하면 “그럼 나는?” 은 스스로에게 신호를 보내는 순간 이기 때문이에요.
Yes, in any moment.
네, 어떤 순간이든요.
Yes, whether you’re upset about the election.
네, 선거 결과에 실망했든,
Yes, or somebody just said, “I don’t love you, and I’m leaving.”
혹은 누군가가 “나는 널 사랑하지 않아, 떠날 거야.” 라고 말했다든지,
Yep, or you got a terrible health diagnosis, or your kid is struggling.
혹은 심각한 건강 진단을 받았거나, 내 아이가 힘들어하고 있을 때든지요.
It’s where you say, “Let me remind myself—I always have power.”
그럴 때 “잠깐, 스스로에게 상기시키자—나는 항상 선택할 힘이 있다.” 라고 말하는 거예요.
Because I can always choose what I’m going to think about this.
왜냐하면 나는 이 상황을 어떻게 받아들일지 항상 선택할 수 있기 때문이에요.
And what a beautiful thing that is.
이게 얼마나 멋진 일인가요.
And I get to choose what I’m going to do or what I’m not going to do.
그리고 나는 내가 할 것과 하지 않을 것을 스스로 선택할 수 있어요.
And this is where you remind yourself that you do get to choose.
그리고 이 순간이야말로 내가 선택권을 가지고 있다는 걸 다시금 상기시키는 순간이에요.
If you stay in a relationship, you do get to choose.
이 관계를 지속할지 말지 내가 선택할 수 있어요.
If you’re going to offer support, that’s your choice.
누군가를 도울 것인지도 내가 결정하는 거예요.
That’s why you say, “You’re never stuck.”
그래서 “나는 결코 갇혀 있지 않다.” 라고 말할 수 있는 거예요.
All the people who say, “You get stuck”—you’re never stuck.
“난 어쩔 수 없어”라고 말하는 사람들, 사실 당신은 결코 갇혀 있는 게 아니에요.
Because you always get to choose.
왜냐하면 당신은 항상 선택할 수 있기 때문이에요.
Yes, yes.
맞아요, 맞아요.
Yeah, you say that’s a lie to yourself.
네, “나는 갇혀 있다”라는 건 스스로에게 하는 거짓말이에요.
That you can—you can leave a job.
당신은 직장을 그만둘 수도 있고,
You can leave a relationship.
관계를 끝낼 수도 있어요.
You can leave a living situation, a date, an interview, a conversation—whatever.
살고 있는 환경을 떠날 수도 있고, 데이트를 중단할 수도 있고, 인터뷰를 포기할 수도 있고, 대화를 끝낼 수도 있어요. 무엇이든요.
You’re never stuck.
당신은 절대 갇혀 있지 않아요.
Never, ever, ever, ever, ever stuck.
절대, 절대, 절대, 절대, 절대 갇혀 있지 않아요.
Ding ding ding! Yes. Amen to that.
정답! 네, 정말 맞아요. 아멘!
When they are ready to do the work to change—that’s what I loved that you emphasized over and over again in this.
그들이 변화할 준비가 되었을 때만이 변화가 가능하다는 점, 이것을 당신이 반복해서 강조한 것이 정말 인상 깊었어요.
Nobody’s going to change until they’re ready.
누구도 스스로 준비되지 않으면 변하지 않아요.
Yes. And we make the mistake of thinking that we can push somebody else to do it.
맞아요. 우리는 종종 다른 사람을 변화시키려고 하는 실수를 저지르죠.
And when you push against somebody else, especially somebody that is struggling…
그리고 우리가 누군가를 몰아붙일 때, 특히 이미 힘들어하고 있는 사람을 더 압박하면…
You know, I often think about the fact that the hardest-working kid in a classroom is not the one getting the A—it’s the kid who’s failing.
가끔 이런 생각이 들어요. 교실에서 가장 열심히 노력하는 아이는 A를 받는 아이가 아니라, 성적이 낮은 아이일 수도 있다.
Because they know that they’re not doing well.
그들은 자신이 잘하고 있지 않다는 걸 알고 있어요.
And they can do well—if they can.
그리고 할 수만 있다면, 더 잘하고 싶어 하죠.
And if they’re not doing well, it’s because they’re at a moment in their life where they can’t.
하지만 그들이 잘하지 못하는 이유는 그들이 지금 당장 할 수 없는 상황에 있기 때문이에요.
They’re missing skills, they’re missing hope, they’re missing support.
그들은 필요한 기술이 부족하고, 희망이 부족하고, 지원이 부족한 상태일 수도 있어요.
And so the kid that’s struggling—or the adult that’s struggling—is in deep active conflict within themselves.
그래서 어려움을 겪는 아이든, 힘든 시기를 보내는 어른이든, 그들은 자신과 깊은 내면적 갈등을 겪고 있는 중이에요.
A human being knows, Oprah, when they’re not reaching their potential.
사람은 스스로 자신의 잠재력을 발휘하지 못하고 있다는 걸 알고 있어요, 오프라.
Yes.
맞아요.
Don’t we all?
우리 모두 그렇지 않나요?
Yes. And so they’re already putting so much pressure on themselves.
네. 그리고 그들은 이미 스스로에게 엄청난 압박을 가하고 있어요.
Because they know that they’re not studying, and they’re not excelling.
왜냐하면 자신이 충분히 공부하지 못하고 있고, 기대만큼 성장하지 못하고 있다는 걸 알기 때문이에요.
And we do this with our health.
그리고 우리는 건강 문제에서도 똑같은 패턴을 보이죠.
Like, I think that the people that work the hardest at their health are the people that are struggling with it.
건강 관리를 가장 열심히 하려는 사람들은 오히려 건강 문제로 가장 힘들어하는 사람들일 때가 많아요.
Absolutely.
정말 그래요.
And we don’t stop and think about that.
그런데 우리는 그 사실을 깊이 생각하지 않아요.
We actually come in with judgment and opinions and suggestions like, “Oh, you know, if you cut calories and go for a walk, you might lose some weight.”
대신 우리는 “칼로리를 줄이고 산책하면 살이 빠질 거야.” 같은 조언과 판단을 쉽게 던지죠.
Oh, thanks Einstein. Like, I didn’t think about that.
“오, 고마워, 아인슈타인. 그런 생각은 한 번도 안 해봤네.”
That’s right.
정말 그래요.
Yeah. And so when somebody pushes you—even with the best of intentions—what happens is it creates more pressure.
맞아요. 누군가가 아무리 좋은 의도로 나를 밀어붙이더라도, 결국 더 큰 압박감만 생길 뿐이에요.
And so you didn’t actually create motivation.
결국, 그렇게 해서 동기 부여가 되는 게 아니라…
You created resistance.
저항이 생겨요.
Resentment and resistance.
반감과 저항이 생길 뿐이에요.
Yes, yes, yes. And you also created distance in your relationship.
맞아요, 맞아요, 맞아요. 그리고 그렇게 하면 관계에서도 거리감이 생기게 됩니다.
And so if you really want people in your life to excel—
그래서 정말로 내 주변 사람들이 성장하기를 원한다면,
Because now they’ll just try to hide it from you, or not be truthful with you, or not be forthcoming.
그렇지 않으면, 그들은 당신에게 진실을 숨기거나, 솔직하게 말하지 않거나, 피하게 될 거예요.
Yes. You have to say, “Let them.”
네, 그래서 “그들이 하게 두라.”(Let them) 라고 말해야 합니다.
Because what it does is it creates—for the first time—space for the person to feel accepted instead of judged.
왜냐하면 이렇게 하면 그 사람이 처음으로 평가받는 것이 아니라, 있는 그대로 받아들여질 수 있는 공간을 갖게 되기 때문이에요.
It creates space for them to really learn from life.
스스로 삶을 통해 배울 수 있는 공간이 생기는 거죠.
And it creates space, with your support, for somebody to tap into their own God-given potential to change.
그리고 당신이 옆에서 지켜봐 주는 가운데, 그들이 스스로 변화할 수 있는 내면의 잠재력에 닿을 수 있도록 해 줍니다.
And what I’ve also realized is that every time I have stepped in and tried to pressure one of my kids to study harder or do this or do the other thing—you know what I’m actually doing?
그리고 제가 깨달은 것은, 제가 자녀에게 더 열심히 공부하라고 압박을 가하거나, 무엇을 해야 한다고 강요할 때마다, 사실 저는 이런 메시지를 보내고 있다는 거예요.
I’m actually saying to them, “I don’t think you’re capable of this without me.”
“너는 나 없이 스스로 해낼 능력이 없다고 생각해.”
When you step in and try to do it for somebody else—
당신이 누군가를 대신해서 무언가를 해주려고 할 때,
Yes. And you don’t just let somebody face the natural consequences of their decisions.
네, 그리고 그들이 자신의 선택에 따른 자연스러운 결과를 경험하지 못하게 막아버리죠.
When you keep rescuing somebody or making excuses for them,
계속해서 누군가를 구해주거나 변명거리를 제공한다면,
What you’re saying is, “I don’t believe you’re actually capable of doing this on your own.
그들에게 “나는 네가 스스로 이걸 해낼 수 있다고 믿지 않아.” 라고 말하는 것과 같아요.
I don’t believe that you’re capable or strong enough to rise into this.”
“너는 이 일을 감당할 능력도, 강인함도 없다고 생각해.”
I love this because this is a big lesson for people with adult children who they are still supporting financially.
저는 이 부분이 정말 좋았어요. 경제적으로 성인이 된 자녀를 계속 지원하는 부모들에게 큰 교훈이 될 수 있는 내용이니까요.
You say, “When you enable others with money, your words, and your actions, you don’t foster independence at all.”
당신이 이렇게 말했죠. “돈, 말, 행동으로 누군가를 지원할 때, 사실상 그들의 독립심을 키워주지 못한다.”
No. I mean, I had to learn this the hard way.
정말 그래요. 저도 직접 경험하면서 어렵게 배운 교훈이에요.
Because you think by giving people money—and I can tell you for sure—it does the exact opposite.
우리는 돈을 주는 것이 도움이 될 거라고 생각하지만, 실제로는 정반대의 결과를 낳아요.
Yes, it does the exact opposite.
맞아요, 정반대의 결과를 낳아요.
It does the exact opposite.
완전히 반대의 효과를 내죠.
Yes.
그렇죠.
So, my therapist is the smartest woman I’ve ever met.
제 치료사는 제가 만나본 사람 중 가장 똑똑한 분이에요.
And Davin—and she said, “Mel, most adults are just 8-year-olds in big bodies.”
그녀, 다빈이 저에게 이렇게 말했어요.
“멜, 대부분의 어른들은 그냥 몸만 커진 8살짜리 아이들일 뿐이야.”
I believe that is true.
저는 그 말이 정말 맞다고 생각해요.
And the reason why that’s true is—
그 말이 맞는 이유는,
Being able to act like a mature adult and manage your emotions and express yourself in a responsible way—it’s a skill, and you have to learn it.
성숙한 어른처럼 행동하고, 감정을 조절하며, 책임감 있게 자기 생각을 표현하는 것은 ‘기술’이에요. 그리고 그 기술은 배워야 하는 거죠.
And if you were not surrounded by adults that knew how to do that, then you have not been taught how to do that.
그리고 만약 그런 기술을 가진 어른들 속에서 성장하지 않았다면, 그것을 배울 기회가 없었을 거예요.
I know there are many people listening to us right now—
저는 지금 이 말을 듣고 있는 많은 사람들이
You’re in working situations where you’re around people who are behaving like they are in middle school still.
여전히 중학생처럼 행동하는 직장 동료들과 함께 일하고 있을 거라는 걸 알아요.
And they’re grown-ups.
그들은 분명 어른들인데도 말이죠.
And they’re coming to work in their suits and things every day—and are still…
그들은 매일 정장을 입고 출근하지만, 여전히…
Because most people are still emotionally there.
감정적으로는 아직도 어릴 때 그 자리에 머물러 있기 때문이에요.
And here’s what I love about this—
그리고 제가 이 이야기를 좋아하는 이유는,
Because I have a deep concern, as I know you do, about the rise in estrangement.
저는 당신과 마찬가지로, 요즘 인간관계에서 단절이 점점 늘어나고 있다는 사실이 정말 걱정돼요.
I have a deep concern about the labeling of behavior and the labeling of people.
그리고 사람들을 특정한 행동이나 성향으로 ‘낙인찍는 문화’가 심화되고 있다는 점도 우려스럽죠.
And the rise of what I see as very immature behavior—
그리고 또 하나, 제가 보는 건 아주 미성숙한 행동들이 점점 더 많아지고 있다는 거예요.
Of just ghosting or cutting people out.
그저 사람들을 ‘고스팅’(연락을 끊고 사라지는 행동)하거나, 관계를 단칼에 끊어버리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죠.
Without even an explanation.
아무런 설명도 없이요.
And what I love about the “Let Them” theory is that this is not a license to just cut off communication and shrug your shoulders like, “Oh well, let them.”
그리고 제가 “그들이 하게 두라(Let Them)” 이론을 좋아하는 이유는, 이것이 단순히 대화를 끊고 어깨를 으쓱하며 “어쩌겠어, 그냥 내버려 둬”라고 말하는 것을 의미하는 게 아니기 때문이에요.
It’s not supposed to make you lonely.
이것은 당신을 외롭게 만들기 위한 개념이 아니에요.
And it’s also not—because I get a lot of pushback from people going, “Well, I’m just supposed to let them be rude? I’m just supposed to let them do this?”
그리고 많은 사람들이 이렇게 반박해요.
“그럼 내가 무례한 사람들을 그냥 내버려 둬야 한다는 거야?”
“그들이 나쁜 행동을 해도 가만히 있어야 해?”
“I’m going to be a doormat?”
“내가 그냥 당하고만 있어야 한다는 거야?”
No.
아니요.
Right now, you are a doormat because you’re tolerating the behavior.
사실 지금이야말로 당신이 그 행동을 용인하고 있기 때문에 ‘당하는 사람’이 되는 거예요.
This isn’t about tolerating any kind of abuse or any kind of awful behavior.
이 개념은 어떤 형태의 학대나 끔찍한 행동을 참아야 한다는 뜻이 아니에요.
This is about seeing it for what it is.
이것은 있는 그대로의 현실을 바라보는 것에 대한 이야기예요.
This is about saying, “Let them. Let them be who they are.”
이것은 “그들이 하게 두라. 그들이 어떤 사람이든 그대로 두라.“라고 말하는 것이에요.
And let me see this with very clear eyes.
그리고 나는 이 상황을 아주 분명한 눈으로 바라보는 거예요.
Because I know there is no way I can change who this person is.
왜냐하면 나는 이 사람을 바꿀 수 없다는 걸 알고 있기 때문이죠.
And if somebody is treating you poorly, they’re already doing it.
그리고 누군가가 당신을 나쁘게 대하고 있다면, 그건 이미 벌어지고 있는 일이에요.
And when you say “Let them,” you, for the first time, see with clear eyes exactly who you’re dealing with.
그리고 “그들이 하게 두라”라고 말하는 순간, 당신은 처음으로 ‘지금 내가 어떤 사람과 마주하고 있는지’를 똑똑히 보게 되는 거예요.
And then you’ve got to say the “Let me” part.
그리고 나서, 당신은 “그럼 나는?”(Let Me)이라는 질문을 던져야 해요.
Because if you recognize you’re never going to change this person—
왜냐하면 당신이 이 사람을 바꿀 수 없다는 걸 인정하게 되면,
Because saying “Let them” allows you to stop lying to yourself.
“그들이 하게 두라”라고 말하는 것이야말로, 당신이 스스로에게 했던 거짓말을 멈추게 해주기 때문이에요.
Yes, yes.
맞아요, 맞아요.
And the eight-year-old in a big body creates something very important.
그리고 몸만 어른이 된 8살짜리 아이 같은 사람들이 만들어내는 중요한 문제가 있어요.
Because a lot of us have family members that have very challenging behaviors.
왜냐하면 우리 대부분은 감정적으로 다루기 어려운 가족 구성원을 한두 명쯤은 가지고 있기 때문이죠.
And we still—
그리고 우리는 여전히…
You—that’s a good way of putting it.
맞아요, 그렇게 표현하는 게 적절하네요.
Well, you know, I think family teaches you how to love people you hate sometimes, right?
가족이란 때때로 미워하는 사람을 어떻게 사랑해야 하는지를 가르쳐주는 존재 같아요, 그렇지 않나요?
And “Let them” is going to create space.
그리고 “그들이 하게 두라”(Let Them) 는 공간을 만들어 줍니다.
It creates space for people to be who they are.
그들이 있는 그대로의 모습으로 존재할 수 있도록 하는 공간을 만들죠.
And it creates space for you to decide how much time and energy you want to pour into people who may be very emotionally immature.
그리고 당신이 감정적으로 미성숙한 사람들에게 얼마나 많은 시간과 에너지를 쏟을 것인지 결정할 수 있는 공간도 생깁니다.
And what I find is that when I view somebody, for example, that might have a very narcissistic personality style—
그리고 제가 깨달은 것은, 예를 들어, 극도로 자기중심적인 성향을 가진 사람을 바라볼 때,
Mhm—always about them.
항상 자기 이야기만 하고,
They fly off the handle.
조금만 기분이 나빠도 화를 내고,
It’s very draining to be around them.
그들과 함께 있으면 정말 기운이 빠진다는 거예요.
I’m not scared of them anymore.
하지만 이제 저는 그런 사람들을 두려워하지 않아요.
Mhm. Because they don’t affect me.
음, 왜냐하면 이제 그들이 나에게 영향을 미치지 않거든요.
And I get to choose how I show up.
그리고 나는 내가 어떤 태도로 그들과 마주할지를 스스로 선택할 수 있어요.
I get to say, “I know exactly who this person is, and I’m just going to let them be.”
“나는 이 사람이 어떤 사람인지 정확히 알고 있어. 그냥 그들이 하게 둘 거야.” 라고 말할 수 있게 되는 거죠.
I’m not going to have any expectation it’s going to be any different.
그리고 더 이상 그들이 변할 거라고 기대하지도 않아요.
But I’m going to remind myself—“Let me remind myself it’s my energy that matters.”
하지만 나는 스스로에게 계속해서 상기시킬 거예요.
“내게 중요한 것은 내 에너지다.”
📚원서 구매하기
https://link.coupang.com/a/ceIkby
The Let Them Theory : A Life-Changing Tool That Millions of People Can’t Stop Talking About - 카운셀링/심리치료 | 쿠
쿠팡에서 The Let Them Theory : A Life-Changing Tool That Millions of People Can’t Stop Talking About 구매하고 더 많은 혜택을 받으세요! 지금 할인중인 다른 카운셀링/심리치료 제품도 바로 쿠팡에서 확인할 수 있
www.coupang.com
'스크립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ENG/KOR] 유년기 감정이 지금의 인간 관계를 만든다. 관계의 뇌과학 저자 인터뷰 | 니콜 르페라 (1) | 2025.03.23 |
---|---|
[ENG/KOR] “내 마음을 모르겠어요.” 감정을 해석할 줄 모르면 고통이 따른다. 감정기복 심한 부모 밑에서 자란 사람들의 특징 | 알랭 드 보통 (1) | 2025.03.17 |
[ENG/KOR] 시크릿 끌어당김에도 알려주지 않는 꿈을 이루는 법 | 에밀리 발세티스 박사 (1) | 2025.03.12 |
[ENG/KOR] 영어공부, 시험공부, 독서에 모두 적용가능한 효과적인 학습 전략 | 조던피터슨 (0) | 2025.03.10 |
[ENG/KOR] 삶이 흔들린다면 확인해 볼, 열정과 목적을 찾는 과정 | 제이셰티 (2) | 2025.03.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