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imple question is can I use this Finish Line strategy to make the start line a goal and get my system more engaged or motivated.
단순한 질문을 하나 하고 싶습니다
우리가 흔히 목표의 결과만 바라보던 방식에서 거꾸로 시작점에 초점을 맞추면 더 큰 동기부여가 될 수 있지 않을까요?
And is there any physiology or physiological changes I should say to reflect the idea that maybe just visually focusing on the start line would actually get me more excited as opposed to make me less excited to engage in effort.
그리고 시작점에 집중하는 것이 노력을 덜 하게 만드는 게 아니라 오히려 더 큰 열정을 불러 일으킬 수 있다는 이 가설을 뒷받침할 만한 생리학적 근거가 있을까요?
There’s certainly vision science that’s tied up in that very first stage of goal setting.
목표 설정의 첫단계와 연관된 시각적 과학이 있습니다.
Like identifying what that goal is in the first place and taking those First steps
우리가 무엇을 원하는지 정확히 알고 첫 걸음을 내딛는 것이 중요하죠
A lot of people’s go-to strategies that involve vision are vision boards or dream boards or, you know, Post-it notes, right?
이런 이유로 많은 사람들이 비전보드나 드림보드를 만들고 포스트잇에 목표를 적어두죠
They’re creating some sort of visual representation of what it is that they want to accomplish.
이런 시각화 전략들이 실제로 효과가 있습니다.
Where is it that I want to be in five years, 10 days, 10 years—whatever, whatever that timeline is that they’re working under?
‘나는 5년 후, 10일 후, 10년 후 어디에 있고 싶은가?’ 이런 식으로 매일 확인하고 다짐하죠
The idea of vision boards or dream boards is that you, like, you know, almost like a scrapbook, collect visual icons that reflect where you want to be to motivate Yourself
비전 보드나 드림 보드의 개념은 마치 스크랩북을 만들듯이, 자신이 되고 싶은 모습을 이미지로 모아서
it’s a really common tactic that people use, and it’s not bad to do that, right?
스스로에게 동기를 부여하는 도구입니다. 이건 많은 사람들이 활용하는 전략이고 결코 나쁜 방법이 아니에요..
For some people, just even knowing what they want in life is a major accomplishment.
사실 어떤 사람들에게는 자신이 인생에서 진정 원하는 것을 정확히 아는 것 자체가 큰 성취가 되기도 하니까요.
Defining the goal can be really challenging for people, and that’s a strategy that works and involves our visual experience, right?
목표를 명확히 설정하는 것은 많은 사람들에게 어려운 일이며, 그렇기 때문에 이 전략은 효과적이고 우리의 시각적 경험을 활용하는 것입니다.
It’s not just—people aren’t saying like, “Why don’t you just sit around and imagine what you want your life to be like in 10 years?”
사람들이 단순히 “그냥 앉아서 10년 후의 인생을 상상해 봐”라고 말하지 않습니다.
The strategy that people are suggesting is like, “No, cut out the picture, put it on a board, and stick it by your bathroom mirror so you see it every day, right?”
대신 이렇게 제안하죠 “사진을 오려서 보드에 붙이고 매일 볼 수 있게 욕실 거울 옆에 두세요.”
Or make a list—people are big on these lists.
또는 “목록을 만들어보세요”하고도 하죠. 사람들은 이런 목록에 열중해요
I have a lot of friends like, “Have you made your list?”
제 주변에도 “너 리스트 만들었어?“라고 묻는 친구들이 많아요.
Yeah, right—the list of things that you insist on having in the context of fitness, relationships, job, etc., etc.
맞아요, 운동, 인간관계, 직업 등에서 꼭 이루고 싶은 것들을 적어놓는 리스트 말이에요.
This seems more and more common.
이런 방식이 점점 더 흔해지는 것 같습니다.
Yeah, totally. And the idea—like, write it down, right?
완전 그렇죠. 그리고 중요한 건, “써보라”는 거예요, 맞죠?
They’re telling you, “Write it down,” like—or create a visual manifestation of it.
사람들은 “목표를 적어라” 혹은 “시각적으로 구현해라”라고 말합니다.
And so, yeah, that’s effective for identifying what you want.
이런 방법은 내가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파악하는 데 효과적입니다.
But it may not actually be effective for helping you to meet the goal—to get the job done.
하지만 실제로 목표를 달성하거나 일을 끝마치는 데에는 효과적이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So colleagues of mine at New York University have probed why.
뉴욕대의 제 동료들이 이 이유를 연구해봤습니다.
Why is that? Why is just, you know, thinking about what you want in your life and sort of putting yourself vicariously into those shoes—imagining, “What will my life be like if I can accomplish everything on this list?”—why doesn’t that work?
왜 그럴까요? 왜 단순히 인생에서 원하는 것을 생각하고, “이 리스트에 있는 모든 걸 이룬다면 내 삶은 어떨까?“라고 상상하는 것이 효과가 없는 걸까요?
Well, first of all—does it work? The answer is no.
우선, 효과가 있을까요? 답은 ‘아니요’입니다.
And why does it not work?
그럼 왜 효과가 없을까요?
Because what happens—these colleagues, Gabrielle Oettingen and her research team, have found—is that, you know, going through and dreaming about or visualizing how great my life will be when I get X, Y, and Z done…
가브리엘 외팅겐(Gabrielle Oettingen)과 그녀의 연구팀이 발견한 바에 따르면, “내가 X,Y,Z를 이루면 얼마나 멋진 삶이 될까?”하며 목표를 이루었을 때 내 삶이 얼마나 멋질지 꿈꾸고 상상하는 과정에서 벌어지는 일 때문입니다.
That is—that is like a goal satisfied.
그렇게 하면 마치 목표를 이미 달성한 것 같은 상태가 됩니다.
I have identified what it is that I want.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명확히 했고,
I have experienced it, even if just in an imaginary way.
비록 상상 속에서라도 그것을 경험했기에
I’ve had that positive experience of thinking about how great my life is going to be when I get this thing done.
목표를 달성했을 때 내 삶이 얼마나 멋질지를 떠올리며 긍정적인 경험을 이미 한 셈이 되는 거죠.
And they start to sort of rest on their laurels.
그러다 보면 사람들은 그 만족감에 안주하기 시작합니다.
She’s actually measured systolic blood pressure and heart rate.
그녀는 실제로 수축기 혈압과 심박수를 측정했습니다.
And they found that people who do that—who go through that experience of visualizing how great my life will be when I get X, Y, and Z done—their systolic blood pressure, the bottom number on your blood pressure reading, decreases.
그리고 목표를 달성했을 때의 멋진 삶을 시각화하는 경험을 한 사람들의 수축기 혈압(혈압 측정 시 아래 숫자)이 오히려 감소하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I’m all about finding ways to relax, especially in New York, right?
물론 저도 긴장을 푸는 방법을 찾는 걸 좋아합니다. 특히 뉴욕 같은 곳에서는 항상 자극이 강한 환경에서 살고 있으니까요.
You’re constantly living at a high level of stimulation, and so, like—cool, great.
뉴욕에서는 항상 높은 수준의 자극 속에서 살아가니까, 이런 결과가 흥미롭죠.
So maybe I should just, like, think about how awesome my life will be when I get my bucket list done.
그렇다면, 내 버킷리스트를 모두 완료했을 때 내 삶이 얼마나 멋질지를 상상하는 것만으로 충분한 걸까요?
But motivation scientists know that systolic blood pressure is actually an indicator of our body’s readiness to get up and act—to do something.
하지만 동기 부여 과학자들은 수축기 혈압이 사실상 우리 몸이 일어나서 행동할 준비가 되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라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Now, that can be going out for a walk, going out for a run, hitting the gym.
이것은 단순히 산책을 하거나, 달리기를 하거나, 헬스장을 가는 것일 수도 있고,
It can also be things like doing math problems, right?
혹은 수학 문제를 푸는 것처럼 정신적인 활동을 포함할 수도 있습니다.
Even if it’s something that’s just mental, systolic blood pressure actually goes up in anticipation of your body or your mind needing to do something—taking the first steps on a goal.
비록 순전히 정신적인 작업이라 하더라도, 수축기 혈압은 우리가 어떤 목표를 향해 첫 발을 내디딜 준비가 되어 있을 때 상승합니다.
So then, it helps us to understand—okay, if I’ve just created this dream board, this vision board, and put myself psychologically in that space of a goal satisfied, why is it bad that blood pressure goes down?
그러면 이렇게 생각해볼 수 있습니다. 만약 내가 드림 보드나 비전 보드를 만들고, 심리적으로 목표를 이미 달성한 것 같은 상태에 놓이게 된다면, 왜 혈압이 낮아지는 것이 문제가 될까요?
Because it means your body is chilling out.
그 이유는 우리의 몸이 긴장을 풀고 쉬기 때문입니다.
It’s like, “All right, cool. I just accomplished something pretty major.”
마치 “좋아, 나는 지금 꽤 큰 목표를 이뤘어”라고 느끼는 것과 같습니다.
I actually now don’t have the physiological resources at the ready to take the first step right now to do something about that.
그 결과, 실제로 지금 당장 목표를 향해 행동할 생리적 준비가 되어 있지 않게 됩니다.
So that was a pretty monumental finding for motivation scientists.
이것은 동기 부여 과학자들에게 있어 매우 중요한 발견이었습니다.
To understand that, like, creating these dream boards, these vision boards, or to-do lists might actually backfire.
즉, 드림 보드나 비전 보드, 혹은 할 일 목록을 만드는 것이 오히려 역효과를 낼 수도 있다는 것이죠.
Because in and of itself, it is the creation of a goal and the satisfaction of the goal.
왜냐하면 이러한 과정 자체가 목표를 설정하고, 동시에 그것을 이미 이룬 것처럼 느끼게 만들기 때문입니다.
And then people understandably give themselves some time to just enjoy that positive experience.
그러다 보면 사람들은 자연스럽게 그 긍정적인 감정을 충분히 즐기려고 합니다.
So much for The Secret.
그렇게 보면 시크릿(The Secret) 이론도 별 효과가 없겠네요.
Yeah, exactly, exactly.
맞아요, 정확히 그렇습니다.
I guess now the Secret folks will come after me with pitchforks, but I try to never say the name, right?
아마 이제 시크릿을 신봉하는 사람들이 나를 향해 들고 일어나겠지만, 그래도 난 그 이름을 직접 언급하지 않으려고 했어요, 맞죠?
Oh well, I’m not afraid to say the name.
뭐, 저는 그 이름을 말하는 게 두렵지 않아요.
I mean, I imagine that certain strategies might work for other people.
어떤 전략들은 다른 사람들에게 효과가 있을 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But everything you’re saying, again, is consistent with what we know about the physiology of dopamine circuits for motivation.
하지만 지금 말하는 내용은 다시 한번, 우리가 동기 부여에 관한 도파민 회로의 생리학적 원리에 대해 알고 있는 것들과 일치합니다.
I have a good friend who, perhaps incidentally, perhaps not, is a cardiologist at a major university.
제게 좋은 친구가 한 명 있는데, 우연인지 아닌지는 모르겠지만, 그는 주요 대학에서 근무하는 심장 전문의입니다.
He said that one of the major errors that people make with book writing and completion is they will tell people they’re going to write a book.
그가 말하기를, 사람들이 책을 쓰고 완성하는 과정에서 저지르는 가장 큰 실수 중 하나는, 책을 쓸 것이라고 주변에 말하는 것이라고 합니다.
And people will say, “Oh, you definitely should write a book! Everyone’s going to love your book.”
그러면 사람들은 “와, 꼭 책을 써야 해! 사람들이 네 책을 정말 좋아할 거야!”라고 반응하죠.
And they never end up writing it.
그러고는 정작 책을 끝까지 쓰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And his theory is that they get so much dopamine reward from that immediate feedback, with all the protection of never having the book criticized, that they never write the book.
그의 이론은, 사람들이 그런 즉각적인 긍정적인 피드백을 받으면서 도파민 보상을 크게 느끼고, 책이 비판받을 위험 없이 보호받는 상태가 되기 때문에 결국 책을 쓰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I’m sure there are exceptions to this, but I guess it raises the question—what’s the better strategy?
물론 예외도 있겠지만, 그렇다면 더 나은 전략은 무엇일까요?
Yeah, so, I’m not saying that people who enjoy dream board creation should stop what they’re doing.
네, 그렇다고 해서 드림 보드 만드는 걸 좋아하는 사람들이 그걸 당장 멈춰야 한다는 건 아닙니다.
That’s not the take-home message here.
그게 오늘의 핵심 메시지는 아니니까요.
Vision board—oh, definitely not that.
비전 보드? 아니요, 그걸 하지 말라는 뜻은 절대 아닙니다.
No, there’s enough anxiety and fear in the world—we don’t need to encourage more of it.
이미 세상에는 충분한 불안과 두려움이 존재하니, 그런 감정을 더 부추길 필요는 없죠.
But the process of goal setting shouldn’t stop with articulating what the goal is.
하지만 목표 설정 과정은 단순히 목표를 말로 표현하는 것에서 끝나서는 안 됩니다.
So, at that same point that we’re trying to figure out what we want to do—what is my vision for the future—in those planning sessions, we need to simultaneously think about a couple of other things.
그러니까, ‘내가 무엇을 하고 싶은가?’ ‘내 미래 비전은 무엇인가?’ 같은 질문을 던지며 목표를 설정할 때, 동시에 몇 가지 다른 요소도 고려해야 합니다.
One is—how are we going to get there?
첫 번째는 ‘어떻게 목표를 달성할 것인가?’입니다.
So take it out of the abstract.
따라서 목표를 막연한 추상적인 개념에서 벗어나게 해야 합니다.
Take it out of this idyllic visual iconography and start thinking about the practical day-to-day.
이상적인 이미지에서 벗어나, 현실적인 일상 속에서 목표를 어떻게 실천할지 고민해야 합니다.
We need to break it down into more manageable goals.
목표를 보다 실행 가능한 작은 단계로 나누어야 합니다.
Not just my 10-year plan for myself, but my two-week plan.
단순히 ‘10년 후 나의 모습’ 같은 장기적인 계획이 아니라, ‘앞으로 2주 동안 무엇을 할 것인가?’처럼 단기적인 계획도 필요합니다.
What can I accomplish in the next two weeks, and the two weeks after that, that’s going to set me on the right trajectory?
앞으로 2주 동안 무엇을 이루고, 또 그다음 2주 동안 무엇을 해야 내가 올바른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을까요?
That’s probably not surprising to anybody who’s been thinking about how to set goals better.
이런 방식이 목표 설정을 더 잘하는 방법에 대해 고민해 본 사람들에게는 아마 놀랍지 않을 것입니다.
You know—plan big picture, think big picture abstractly, but then also break it down more concretely.
즉, 큰 그림을 그리고, 추상적으로 사고하되, 동시에 이를 구체적인 단계로 나누는 것이 중요합니다.
That’s probably not surprising, but it’s an important aspect of the goal-setting process.
아마 이것은 새로운 개념이 아닐 수 있지만, 목표 설정 과정에서 중요한 요소입니다.
Then again, Gabrielle Oettingen and my department have identified a third, often overlooked or underappreciated stage that has to happen in the goal-setting process.
그리고 또 한 가지, 가브리엘 외팅겐(Gabrielle Oettingen)과 제 연구팀이 발견한 바에 따르면, 목표 설정 과정에서 자주 간과되거나 충분히 평가되지 않는 세 번째 중요한 단계가 있습니다.
And that’s thinking about the obstacles that stand in your way of success.
그것은 바로 목표 달성의 장애물을 미리 고려하는 것입니다.
And that will actually help improve motivation in the long run.
이 과정이 오히려 장기적으로 동기 부여를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됩니다.
And sometimes people think that that, like, is counterintuitive.
하지만 때때로 사람들은 이런 접근법이 직관적이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You’re saying, like, “If I want to increase my motivation—have more motivation—then I need to think about how hard it’s going to be? All the ways that I’m going to fail? How is that going to, like, jazz me up?
“동기 부여를 높이려면 내가 겪을 어려움과 실패할 가능성을 미리 생각해야 한다고요? 그게 어떻게 나를 더 의욕적으로 만들 수 있죠?“라고 의문을 가질 수 있습니다.
How is that going to help me get through when I actually—you know, when things get hard?”
“실제로 어려움이 닥쳤을 때, 그게 어떻게 나를 극복하게 도울 수 있죠?“라고 말이죠.
But it does.
하지만 실제로는 도움이 됩니다.
Because it’s like coming up with a Plan B, a Plan C, a Plan D in advance of actually experiencing it.
왜냐하면 이는 실제로 문제가 발생하기 전에 플랜 B, 플랜 C, 플랜 D를 미리 마련하는 것과 같기 때문입니다.
That if you were on a boat and the boat started to sink, that’s not the time you want to start looking for life jackets.
예를 들어, 배를 타고 있는데 갑자기 침몰하기 시작한다면, 그때 가서 구명조끼를 찾으려는 것은 너무 늦은 거죠.
You already want to know where one is so you can go to it right away.
이미 구명조끼가 어디 있는지 알고 있어야, 긴급 상황에서 바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And the same thing with goal setting.
목표 설정도 마찬가지입니다.
You want to know—what am I working towards, how am I going to get there, and if I experience this obstacle, here’s what I’m going to do about it.
내가 무엇을 목표로 하고 있는지, 어떻게 도달할 것인지, 그리고 만약 장애물이 나타났을 때 어떻게 대처할 것인지 미리 알고 있어야 합니다.
You may never experience that obstacle.
물론 그런 장애물을 전혀 겪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But if you do, you’re probably going to be shy on time, thin on resources, maybe experiencing an anxiety that hijacks your brain.
하지만 만약 장애물이 나타난다면, 아마 시간도 부족하고, 자원도 제한적이며, 심지어 극심한 불안감 때문에 이성적인 판단을 하기가 어려운 상태일 수도 있습니다.
So you’re not functioning at that optimal level of judgment and decision-making.
즉, 최적의 판단력과 결정력을 발휘하기 어려운 상황이 될 수 있습니다.
You want to already have, like, the snap next step in place so you can just hop to it, right?
그래서 미리 다음 단계(플랜 B)를 준비해두어야, 문제가 발생했을 때 즉시 실행할 수 있는 거죠.
We’re not going to do our best thinking when we’re in crisis mode.
우리는 위기 상황에서는 최고의 사고력을 발휘하기 어렵습니다.
But we don’t have to—if we have already used our resources in advance to come up with that Plan B or that Plan C.
하지만 우리가 미리 플랜 B나 플랜 C를 준비해 두었다면, 위기 상황에서 당황하지 않고 즉시 대응할 수 있습니다.
'스크립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ENG/KOR] “내 마음을 모르겠어요.” 감정을 해석할 줄 모르면 고통이 따른다. 감정기복 심한 부모 밑에서 자란 사람들의 특징 | 알랭 드 보통 (1) | 2025.03.17 |
---|---|
[ENG/KOR] 그들의 감정은 내 몫이 아닙니다 | 멜 로빈스 (0) | 2025.03.14 |
[ENG/KOR] 영어공부, 시험공부, 독서에 모두 적용가능한 효과적인 학습 전략 | 조던피터슨 (0) | 2025.03.10 |
[ENG/KOR] 삶이 흔들린다면 확인해 볼, 열정과 목적을 찾는 과정 | 제이셰티 (2) | 2025.03.09 |
[ENG/KOR] 이걸 모르면 절대 성공할 수 없습니다. | 브라이언트레이시 (0) | 2025.03.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