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I remember learning the word “anxiety” when I was a teenager—
제가 10대 때 “불안” 이라는 단어를 처음 배웠던 게 기억나요.
And thinking, “Wow, that’s a really useful word.”
그리고 이렇게 생각했죠. “와, 정말 유용한 단어네.”
Probably nowadays, people learn “anxiety” a lot earlier.
아마 요즘은 사람들이 훨씬 더 어릴 때부터 “불안”이라는 단어를 배우겠죠.
But, you know, in those days, it was a fascinating word to learn.
하지만 그 당시에는 이 단어를 배우는 게 정말 흥미로운 경험이었어요.
And the more one’s vocabulary stretches, the more you’re able to put a flag in bits of your psyche that are perhaps painful.
어휘가 확장될수록, 우리는 우리 내면 속 아픈 부분들에 이름을 붙이고 이해할 수 있는 능력을 갖게 됩니다.
And I think if you think about why people go to psychotherapy—or even, frankly, what motivates a lot of friendship—
사람들이 왜 심리치료를 받는지 생각해 보면**, 혹은 많은 우정이 형성되는 동기가 무엇인지 떠올려 보면요.**
It’s that somebody else helps to give you a vocabulary for bits of your mind and bits of your experience that have, until now, eluded definition.
그것은 다른 사람이 우리의 정신과 경험 속에서 아직 정의되지 않은 부분들에 이름을 붙이는 것을 도와주기 때문이에요.
And that definition is not merely—it’s not really a fancy thing.
그리고 그 정의라는 것은 단순히 멋진 개념을 배우는 것이 아니라,
It’s a life-saving thing.
삶을 더 잘 살아가기 위한 중요한 도구예요.
Because the more you can define, the easier life gets.
왜냐하면 더 많이 정의할수록, 인생이 더 쉬워지니까요.
Freud speculated that the origins of language lie in an ability to bear frustration.
프로이트는 언어의 기원이 ‘좌절을 견디는 능력’에서 비롯되었다고 추측했어요.
So that if a child can think, “You know, I’m currently frustrated, but, you know, mummy’s coming back,”
즉, 어린아이가 “지금은 답답하지만, 엄마가 곧 돌아올 거야”라고 생각할 수 있다면,
And the person’s got those words, then that can help you to bear missing and also bear excitement.
이런 단어들을 사용 할 수 있다면, 그 아이는 그리움을 견딜 수도 있고, 흥분이나 여러 가지 감정을 견디는 것도 도움이 되죠.
Or, you know, all sorts of things—things can become more bearable the more you can put them into language.
그리고 사실 어떤 감정이든, 그것을 언어로 표현할 수 있을수록 더 쉽게 감당할 수 있게 됩니다.
And I think, you know, adults know this when we go about journaling, right?
그리고 어른들도 이 사실을 알고 있어요, 우리가 일기를 쓸 때 말이죠.
You know, why—why is it so helpful to journal?
왜 일기를 쓰는 게 그렇게 도움이 될까요?
Because we—we know it is. All research shows it is.
그게 효과가 있다는 걸 우리는 알고 있죠. 모든 연구가 이를 증명하고 있고요.
What is it about translating a feeling into a word for that feeling that’s helpful?
도대체 감정을 단어로 번역하는 과정에서 무엇이 그렇게 도움이 되는 걸까요?
And I think it tames it.
그것은 감정을 길들이는 과정이라고 생각해요.
It contains and it narrows the spread of difficult emotions.
감정을 ‘담아두고’, 그 확산을 좁히는 역할을 하죠.
It’s very ephemeral, right?
감정은 매우 일시적인 것이잖아요.
You’ve got these thoughts up here, moving around, floating about.
우리 머릿속에는 떠다니는 수많은 생각들이 있죠.
And then they have to be concretized.
그런데 그것을 구체화해야 해요.
And it almost feels like it squeezes it through an aperture of some kind.
마치 좁은 틈을 통과하듯, 그 감정을 단어로 압축하는 과정이 일어나죠.
You say, “Okay, this is what I meant by that.”
"그게 바로 내가 말하려던 것이구나" 라고 깨닫게 돼요.
It’s not this notion. It’s not this sort of ambient set.
그것은 단순한 개념이 아니고, 막연하고 흐릿한 감정 덩어리도 아니에요.
Yeah, yeah. That’s right.
네, 맞아요.
And, you know, think of relationships—couples.
그리고 관계를 생각해 보세요, 특히 연인 관계요.
The more their vocabulary for what they’re going through increases, the more they can say, “You know, I’m feeling this. I’m feeling… You know, when you do that, I feel this,” etc.
서로 겪고 있는 감정과 경험에 대한 어휘가 늘어날수록, “난 이런 기분이야.”, “네가 그렇게 하면 난 이런 감정을 느껴.” 같은 대화를 더 잘할 수 있게 돼요.
And the enemy, you know—the sort of normal word is people say “communication.”
보통 사람들은 이런 문제의 핵심을 “소통“이라고 부르죠.
But it’s really language.
하지만 사실 더 중요한 건 “언어”예요.
It’s putting language to feelings.
감정에 언어를 부여하는 것이죠.
And so much goes wrong in life because we’re unable to do it.
그리고 우리는 이걸 제대로 하지 못하기 때문에, 삶에서 많은 문제들이 발생하는 거예요.
It starts with ourselves—we can’t do it with ourselves.
그 문제는 우리 자신에게서 시작돼요. 우리는 스스로의 감정을 언어로 표현하는 것조차 잘 못하죠.
There’s a useful phrase that psychotherapists use—“disassociation.”
심리치료에서 자주 쓰이는 유용한 개념이 있어요 바로 “해리“입니다.
It’s a fascinating concept.
이건 굉장히 흥미로운 개념이에요.
What would it mean to disassociate?
해리된다는 것은 무슨 의미일까요?
And the way it’s understood therapeutically is that you could feel an emotion—it’s so difficult, tricky in some way—and you then stop feeling it.
심리치료적 관점에서 해리란, 감정을 느끼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감정이 너무 힘들거나 복잡해서 결국 그 감정을 차단해 버리는 것을 의미해요.
You disassociate from the feeling that’s in you.
즉, 그 감정이 여전히 내 안에 있지만, 나는 그것을 더 이상 인식하지 않는 상태가 되는 거죠.
It’s still in you, but you’re no longer registering it.
그 감정은 내 안에 남아 있지만, 나는 그것을 더 이상 인지하지 않아요.
Tricky, tricky.
정말 복잡한 문제죠.
And the argument is always—the more you can associate, and the less you disassociate, the better off you will be.
중요한 점은, 감정을 언어로 표현하고 받아들이는 능력이 커질수록, 즉 해리 상태에서 벗어날수록, 우리의 삶은 더 나아진다는 거예요.
I started off by going, “It’s really important to know what you’re feeling.”
저는 “자신이 어떤 감정을 느끼고 있는지 아는 것이 정말 중요하다.” 라는 말로 시작했어요.
But let’s also remember—at points, the ability not to feel the full force of everything also belongs to health.
하지만 동시에, 모든 감정을 너무 강하게 느끼지 않는 능력 또한 정신 건강의 일부라는 점을 기억해야 합니다.
So it’s—it’s a double-edged sword there.
즉, 감정을 인식하는 것과 감정을 조절하는 것은 양날의 검과 같아요.
What’s your advice for how people can heal a negative inner voice?
그렇다면, 부정적인 내면의 목소리를 치유하는 방법에 대한 조언이 있을까요?
We’ve got this odd artifact that we’ve carried with us—this inheritance of our life.
우리에게는 마치 유산처럼 따라다니는 이상한 내면의 목소리가 있어요.
But kind of—almost some previous life of ours.
마치 과거의 삶에서 물려받은 것처럼 말이죠.
Where should people begin if they want to have a more friendly inner voice?
왜 그런 걸까요? 그리고 더 친절한 내면의 목소리를 만들고 싶다면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할까요?
Such a good question.
정말 좋은 질문이에요.
I’d say—you have to start by finding the inner voice.
내면의 목소리를 찾는 것부터 시작해야 한다고 생각해요.
Because it doesn’t announce itself as an inner voice.
내면의 목소리는 “내가 바로 내면의 목소리야!“라고 스스로를 드러내지 않기 때문이에요.
So how are we going to—
그렇다면, 우리는 어떻게…
You know, we’re not talking here about literally hearing voices.
여기서 말하는 것은 실제로 귀로 들리는 목소리가 아니에요.
Some people do, but we’re not talking about that here.
물론 어떤 사람들은 실제로 환청을 경험하기도 하지만, 지금 이야기하는 것은 그게 아니에요.
What we’re talking about is a way of speaking to yourself—
우리가 이야기하는 것은 자신에게 말하는 방식이에요.
Or a way of, you know, conducting yourself in your own mind.
혹은, 스스로를 대하는 방식이죠.
That owes more to something from outside than from inside.
그리고 그것은 내면보다는 외부에서 비롯된 경우가 많아요.
And that is more negative.
그리고 그 목소리는 대개 부정적이죠.
Or, we can put it this way—it’s unfair to you and your chances, your hopes, etc.
혹은 이렇게 말할 수도 있어요. 내면의 목소리는 때때로 나 자신과 내 가능성, 내 희망에 대해 불공평하게 가혹할 수 있어요.
So how do we—how do we detect this is even going on?
그렇다면, 우리는 이 내면의 목소리가 실제로 작동하고 있다는 것을 어떻게 알아차릴 수 있을까요?
Because I don’t think it’s necessarily obvious.
왜냐하면, 이 목소리는 명확하게 드러나지 않기 때문이에요.
Here, I think that it’s quite helpful to get people to do what I call “sentence completion exercises.”
이럴 때 도움이 되는 방법 중 하나가, 제가 “문장 완성 연습“이라고 부르는 활동이에요.
Where you start off with a sub-sentence and then you have an ellipsis—dot dot dot.
즉, 문장을 반쯤 제시한 뒤, “…“으로 이어지는 방식이죠.
So—“Men are…” “Women are…” “Life is…” “I am…” “I want…” “If…” “Because…”—dot dot dot.
예를 들어, 이런 식이에요.
“남자는…” “여자는…” “삶은…” “나는…” “내가 원하는 것은…” “만약…” “왜냐하면…”
And you say to people, “Right, here’s a list.
그리고 사람들에게 이렇게 말하는 거예요. “자, 여기 목록이 있어요.”
List these things without thinking too much.
너무 깊이 생각하지 말고, 떠오르는 대로 적어보세요.
Very important prompt—without thinking too much.
이게 중요한 포인트예요—너무 고민하지 말고 즉각적으로 떠오르는 것을 적어야 해요.
Just say the first thing that comes into your head.
머릿속에 가장 먼저 떠오르는 말을 그냥 적으세요.
“Men are…”
“남자는…”
“Women are…”
“여자는…”
“Life is…”
“삶은…”
“I am…”
“나는…”
Etc.
이런 식으로요.
Or even beginnings of stories—story completion exercises.
혹은, 이야기를 시작하는 문장을 주고 이어서 완성하는 방식도 좋아요.
For example—“When I meet someone that I…” dot dot dot.
예를 들어, “내가 어떤 사람을 만났을 때 나는…” 이렇게 이어지는 문장이요.
Just finish—finish that sentence.
그 문장을 끝까지 완성해 보세요.
And what people will come out with is fascinating.
그러면 사람들이 내놓는 대답이 정말 흥미로워요.
They’ll go, you know—“Men are cruel.”
예를 들어, 누군가는 이렇게 말할 수도 있어요. “남자는 잔인하다.”
Wow, wow, wow. “Men are cruel?” Are they?
와, 와, 와. “남자는 잔인하다?” 정말 그럴까요?
You know, the person might even be surprised that they’ve said that.
심지어 본인도 자기가 그런 말을 했다는 사실에 놀랄 수도 있어요.
Then you say, “Okay, why’s that? Where did that come from?”
그때 이렇게 질문해 보는 거예요. “그래요? 왜 그렇게 생각하죠? 그 생각은 어디에서 온 걸까요?”
What led you to believe that?
무엇이 당신을 그렇게 믿게 만들었을까요?
And often what you’ll find is a story that owes more to something outside than something inside.
그리고 대부분의 경우, 그 생각은 개인적인 내면보다는 외부 환경에서 비롯된 경우가 많아요.
Or, you know—“When I meet someone, what will happen is…” dot dot dot.
또는, “내가 어떤 사람을 만나면…” 이라는 문장을 주면,
And someone might say, “They’ll be very friendly to me. Then they’ll turn against me.”
누군가는 이렇게 대답할 수도 있어요. “그들은 처음에는 나에게 친절하다가, 결국 돌아서서 나를 배신할 거야.”
Wow, wow—where did that come from?
와, 와—그 생각은 어디에서 온 걸까요?
It’s going to be a specific story in the past that, you know, is being carried forward.
분명 과거에 있었던 어떤 특정한 경험이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는 거예요.
The more the anxious friends can get on top of their anxiety—
불안이 많은 사람들이 자신의 불안을 잘 다룰 수 있게 될수록,
The more they can translate everything I’ve just said into something that sounds like it’s been processed and can be understood by another person—
그들이 자신의 감정을 정리하고, 그것을 타인이 이해할 수 있도록 말로 표현할 수 있게 될수록,
Then the better it can be.
결국 삶이 더 나아질 수 있어요.
So, you know, anxious and avoidant people are walking wounded.
그러니까, 불안형이든 회피형이든, 이런 사람들은 마치 ‘걷는 상처’와 같아요.
And they need to be able to explain the nature of their particular wound—
그리고 그들은 자기 상처의 본질을 설명할 수 있어야 해요.
So that appropriate care can be set up.
그래야 적절한 돌봄과 이해가 이루어질 수 있으니까요.
Awareness, awareness.
즉, ‘자각’이 중요해요.
Which is why, you know, it’s great for people to go to therapy.
그래서 사람들이 상담을 받는 것은 정말 좋은 일이에요.
It’s great for people to explore themselves.
자신을 깊이 탐구하는 것도 마찬가지고요.
It’s not merely fancy.
이건 단순히 멋있어 보이려는 게 아니에요.
It’s not really “whatever.”
그냥 대충 넘어갈 일이 아니에요.
It’s a serious indicator of an easier life.
이런 과정은 삶을 더 편안하게 만드는 중요한 요소예요.
I mean, if you’re with a partner who’s able to go, “Okay, hang on a minute—
예를 들어, 당신이 이런 말을 할 수 있는 연인과 함께 있다고 해봐요.
I think I’m slipping down.
“잠깐만, 나 지금 감정적으로 무너지고 있는 것 같아.
I think I’m confusing you with my mother at the moment.”
아, 내가 지금 너를 우리 엄마랑 혼동하고 있는 것 같아.”
Or, “I think an anger that actually belongs to my father is weirdly in the room.”
혹은 “내가 사실 우리 아버지를 향해 느꼈던 분노가 이상하게 지금 이 상황에 투영되고 있는 것 같아.”
When you start to explore your past, you see the intermingling of past and present all the time.
과거를 탐구하기 시작하면, 과거와 현재가 끊임없이 뒤섞여 있다는 걸 깨닫게 돼요.
And the more you’re able to get a handle on that and warn your partner, the easier it is.
그리고 그 사실을 이해하고, 파트너에게 미리 알릴 수 있을수록 관계가 훨씬 수월해져요.
I mean, we don’t need people to be perfect.
우리는 완벽한 사람을 원하는 게 아니에요.
We need people to understand how they’re imperfect.
다만, 자신의 불완전함을 이해하는 사람이 필요할 뿐이에요.
And warn us of the coming imperfection.
그리고 다가올 불완전함에 대해 미리 알려줄 수 있는 사람이 필요해요.
Or, retrospectively, apologize for it in relatively civilized terms.
혹은 이미 벌어진 실수에 대해 성숙한 태도로 사과할 수 있는 사람이면 돼요.
Our own—make their emotional state our responsibility.
우리는 종종 다른 사람의 감정을 우리 책임으로 여기죠.
“If you’re not okay, I’m not okay.”
“네가 괜찮지 않으면, 나도 괜찮지 않아.”
How can we better alchemize that and understand that tendency?
이런 경향을 더 잘 변환하고 이해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일까요?
I mean, look, let’s remember—
일단 기억해야 할 게 있어요.
The psychology of the so-called “people-pleasing person” is someone who no one tried to please for themselves.
소위 ’사람들을 기쁘게 하려는 사람(people pleaser)’의 심리는, 사실 과거에 누구도 자신을 기쁘게 해주려고 하지 않았던 경험에서 비롯돼요.
In other words, they were in an asymmetrical relationship.
즉, 그들은 어린 시절부터 비대칭적인 관계 속에서 자라왔어요.
Probably with a caregiver or parent who didn’t care about their feelings.
아마도 감정을 신경 써주지 않는 부모나 보호자와 함께했을 가능성이 크죠.
They didn’t prioritize their needs, etc.
그들의 필요를 우선시해 주지 않았던 거예요.
And they had to adjust to them.
그래서 그들은 부모에게 맞춰야만 했어요.
So, you know, if you’ve got a parent with a volcanic temper—
예를 들어, 감정 기복이 심하고 쉽게 폭발하는 부모가 있다면,
Where anything might set them off—
아무 이유 없이 화를 내는 부모였다면,
Well, what you say or think is going to disappear completely.
그렇다면 아이는 자신의 생각이나 감정을 표현하는 걸 완전히 포기하게 돼요.
Because all you’re going to be doing as a child is managing the mood of a parent.
왜냐하면 아이의 최우선 과제가 부모의 기분을 맞추는 것이 되어버리기 때문이죠.
They will be an infant, essentially, and you will have to be in the parenting role.
결국, 부모는 미성숙한 아이처럼 행동하고, 실제로 아이가 부모 역할을 해야 하는 상황이 벌어지죠.
And you’ll have to put aside your needs.
그리고 당신의 필요와 감정은 뒤로 밀려나요.
Children are great geniuses at reading the room and doing what needs to be done to survive.
아이들은 환경을 읽고, 생존을 위해 해야 할 일을 해내는 데 천재적인 능력을 갖고 있어요.
It’s a survival strategy.
이것은 생존 전략이에요.
“I will become a people pleaser”—
“나는 사람들을 기쁘게 하는 사람이 될 거야.”
Not in order to annoy people in later life—
이건 나중에 사람들을 귀찮게 하려는 게 아니에요.
But in order to survive.
그저 살아남기 위해서요.
In order to get to the next stage of existence.
존재의 다음 단계를 버티기 위해서요.
In order to reach adolescence—let’s face it.
청소년기까지 무사히 도달하기 위해서죠.
And problem with this, as in so many other neurotic structures,
그리고 이런 문제는, 많은 신경증적 구조들과 마찬가지로,
Is that a very good idea outlives its use.
한때는 효과적이었던 전략이 그 유효기간을 넘어서도 계속 작동한다는 거예요.
And so it’s still operating in circumstances where it’s no longer needed.
즉, 더 이상 필요하지 않은 상황에서도 계속해서 작동하고 있다는 거죠.
So what we need to tell—what the people pleaser needs to tell themselves is—
그래서 ’사람을 기쁘게 하려는 사람(people pleaser)’이 스스로에게 해야 할 말은 다음과 같아요.
“It was amazing that at the age of five, I cleverly worked out that I needed to people-please in order to cope with my intemperate father.
“내가 다섯 살 때, 감정 기복이 심한 아버지와 살아남기 위해 사람을 기쁘게 해야 한다는 사실을 스스로 깨달은 건 대단한 일이었어.
But that situation’s now gone.
하지만 이제 그 상황은 끝났어.
And if I keep doing this with my partner, with my colleagues, etc., it’s going to annoy everybody.
그런데 내가 여전히 파트너나 동료들에게까지 이 패턴을 유지하면, 결국 모두를 지치게 만들 거야.
And it’s going to create serious problems.”
그리고 이건 결국 심각한 문제를 초래할 거야.”
So what needs to be done is that person shouldn’t feel shamed.
그러니까 이 사람은 스스로를 부끄럽게 여길 필요가 없어요.
They should be made to feel proud.
오히려 자부심을 가져야 해요.
There should be a little ceremony where they’re able to say to their 5-year-old self—
그리고 이 과정을 상징하는 작은 ‘의식’이 필요할 수도 있어요. 그 의식 속에서, 자신의 다섯 살 자아에게 이렇게 말할 수 있어야 해요.
“Thank you.
“고마워.
Thank you, little [your name].
고마워, 어린 나야.
Thank you for carrying me to a later stage.
네 덕분에 나는 지금까지 살아남을 수 있었어.
And for working out something so clever.”
그리고 그렇게 영리한 해결책을 찾아내줘서 고마워.”
And this applies to all defensive neurotic structures.
이 과정은 모든 방어적 신경증 구조에 적용될 수 있어요.
I mean, let’s imagine somebody who can’t feel very much—
예를 들어, 감정을 잘 느끼지 못하는 사람을 떠올려 보세요.
Who’s invulnerable, doesn’t open themselves up to other people.
쉽게 상처받지 않으며, 타인에게 마음을 열지 않는 사람이요.
And in relationships, that person may be shamed.
그리고 그런 특성 때문에 인간관계에서 비난받을 수도 있죠.
So—“Oh, they’re afraid of intimacy.”
그래서 사람들이 이렇게 말하죠. “아, 저 사람은 친밀감을 두려워하는구나.”
You want to go, “Okay, shaming this person is not going to help.”
그럴 때 우리는 “이 사람을 비난하는 건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는다.“라고 생각해야 해요.
You have to ask another question, which is—
대신 이런 질문을 던져야 해요.
“In what circumstances did their current behavior make sense?”
“이 사람이 왜 이런 행동을 하게 되었을까?”
First question.
이게 첫 번째 질문이에요.
And it always will make sense.
그리고 그 행동은 언제나 그럴 만한 이유가 있어요.
You go back in time and you say, “Right, in those circumstances, of course it made sense.”
과거를 돌아보면, “맞아, 그런 환경에서는 당연히 그렇게 행동할 수밖에 없었겠지.“라고 이해할 수 있어요.
“You know, your father was dying, your mother was absent.”
“예를 들어, 네 아버지는 돌아가시고 있었고, 어머니는 부재 중이었어.”
“Of course it made sense not to feel anything.”
“그러니 아무 감정도 느끼지 않는 게 당연했어.”
“You would have been destroyed by your feelings.”
“그 감정을 다 받아들이면 오히려 너 자신이 무너졌을 거야.”
“Therefore, very clever five- or six-year-old you worked out that it’s best not to feel.”
“그래서 다섯 살, 여섯 살의 너는 ‘아무것도 느끼지 않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다’라는 결론을 내렸던 거야. 정말 영리했어.”
“Problem is, you’re now 35 or 45.”
“하지만 문제는, 지금 너는 35살 혹은 45살이야.”
“And there’s lots of reason to feel.”
“그리고 지금은 감정을 느낄 이유가 충분히 많아.”
“Because there’s someone loving nearby.”
“사랑을 주는 사람이 네 곁에 있고,”
“Or you’ve got children, or whatever.”
“혹은 너에게는 아이가 있거나, 삶을 함께할 사람이 있어.”
“And therefore, we need to say thank you to the younger self.”
“그러니까, 이제는 어린 시절의 나에게 ‘고마워’라고 말해야 해.”
“And then we can move on.”
“그리고 나아가야 해.”
But shame is not going to do it.
하지만 수치심은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아요.
To wag a finger and go, “Oh, another one who’s afraid of intimacy”—
“또 하나의 친밀감 회피형 인간이네.“라고 손가락질하는 것은,
That—no one ever changes like that.
그렇게 해서 변하는 사람은 아무도 없어요.
I say—so much of what we do as adults makes no sense even to us.
제가 말했듯이, 우리가 어른이 되어서 하는 많은 행동들은 우리 자신에게조차 이해되지 않을 때가 많아요.
You know, “Why am I worried every morning?”
예를 들어, “나는 왜 매일 아침 불안할까?”
Again, ask yourself the question.
다시 한 번, 이 질문을 던져보세요.
It’s a key question for your viewers, listeners.
이건 이 영상을 보는 시청자나 청취자에게도 중요한 질문이에요.
“When did the current behavior—which now doesn’t seem to make sense—when did it once make sense?”
“지금은 말도 안 되는 것처럼 보이는 이 행동이, 과거에는 언제 합리적이었을까?”
“In what circumstances did this pattern develop?”
“이 패턴이 처음 형성된 상황은 무엇이었을까?”
“This pattern that is now, inverts—mad, or destructive, or boring, or counterproductive—when did it make sense?”
“이제는 비합리적이거나, 파괴적이거나, 지루하거나, 역효과를 내는 이 패턴이, 과거에는 왜 필요했을까?”
And if you can start to see a logic—and there always will be one.
그리고 만약 그 논리를 발견할 수 있다면—반드시 하나쯤은 있을 거예요.
I would suggest, almost always, there will be one.
거의 항상, 논리는 존재한다고 저는 생각해요.
There will be a moment when feeling anxious every morning was bound up with your safety and your survival to the next stage of life.
어느 순간, 매일 아침 불안을 느끼는 것이 당신의 안전과 다음 단계로의 생존과 연결되어 있었던 때가 있을 거예요.
So if you can recover contact with what that stage was—
그러니까 그 시기를 다시 떠올려 볼 수 있다면—
You’ll then be in a position to honor the defensive strategy but also say goodbye to it.
그때 당신은, 그 방어 전략이 한때는 필요했음을 인정하면서도, 이제는 그것과 작별할 준비를 할 수 있을 거예요.
“We’re a car that needs different gears.”
“우리는 다양한 기어가 필요한 자동차 같은 존재예요.”
“You know, sometimes we need to go forward, sometimes we go backwards.”
“어떤 때는 앞으로 나아가야 하고, 어떤 때는 후진해야 하죠.”
“We need to turn right, we need to turn left.”
“때로는 우회전이 필요하고, 때로는 좌회전이 필요해요.”
“We need full maneuverability, right?”
“우리는 완전한 기동성을 필요로 해요, 그렇죠?”
“And I think when people discover an exciting idea, the great tendency is to go, ‘Well, this toolkit will explain absolutely everything, and this will be the only thing I need.’”
“그리고 사람들이 흥미로운 아이디어를 발견하면, ‘이 도구가 모든 걸 설명해줄 거야, 이거 하나만 있으면 돼.’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죠.”
“And, you know, this is why we need the whole history of ideas.”
“그래서 우리가 ‘사상의 역사 전체’를 필요로 하는 거예요.”
“This is why a well-stocked mind has got in it, you know, some books on the Stoics, as it were—some ideas from the Stoics.”
“그래서 ‘지적으로 풍부한 사람’은, 예를 들면 스토아 철학에 관한 책 몇 권쯤 가지고 있고, 스토아적인 사고방식을 일부 가지고 있어야 해요.”
“Some ideas about resilience, about shutting down emotion, and about turning towards pain and all that.”
“즉, 회복력에 대한 아이디어, 감정을 통제하는 법, 고통을 마주하는 법 등에 대한 사고방식 말이죠.”
“We need that sometimes.”
“때때로 우리는 그런 사고방식이 필요해요.”
“We need an aristocratic side.”
“우리에게는 귀족적인 면도 필요해요.”
“We might have read Nietzsche and his aristocratic sense of, you know, needing to overcome, and ‘what doesn’t kill you makes you stronger,’ etc.”
“예를 들어, 우리는 니체를 읽고 그의 ‘극복’에 대한 귀족적 사고방식과 ‘나를 죽이지 못하는 것은 나를 강하게 만든다’ 같은 개념을 배울 수도 있죠.”
“Sometimes we need Nietzsche.”
“때로는 니체의 사상이 필요해요.”
“But if you’re only dieting on Nietzsche, you may also need, you know, John Bowlby and attachment theory.”
“하지만 만약 니체의 사상만 섭취하고 있다면, 존 볼비(John Bowlby)의 애착 이론도 필요할 수 있어요.”
“But if you’re only snacking on John Bowlby—”
“그리고 만약 볼비의 이론만 집어먹고 있다면—”
“So we need a well-stocked mind.”
“결국 우리는 ‘지적으로 균형 잡힌 사고방식’을 가져야 해요.”
“And I think that, as I say, I appreciate that people fall so in love with certain ideas that they think that’s all they’re going to need.”
“그리고 저는 사람들이 어떤 특정한 사상을 너무 사랑해서 그것만으로 충분하다고 믿는 경향을 이해해요.”
“It’s rather, you know, it’s—it’s monotheism, you know—‘only one god, correct?’”
“이건 마치 일신론(monotheism) 같아요. ‘오직 하나의 신만이 옳다’라는 식으로 말이죠.”
“And, you know, the great thing about paganism—ancient Roman or Greek religion, but, you know, you find it in India too, and other parts of the world—there were many gods.”
“하지만 다신론(paganism)의 장점은, 예를 들면 고대 로마나 그리스 종교에서도 그렇고, 인도나 다른 지역에서도 볼 수 있듯이, 신이 많았다는 거예요.”
“There was the god of the river, but there was also the god of the sky.”
“강의 신이 있었고, 하늘의 신도 있었어요.”
“And there was the god of the cloud, and there was the god of rain, and there was the god of sunshine—many, many gods.”
“구름의 신도 있었고, 비의 신, 햇빛의 신도 있었죠. 정말 많은 신들이 있었어요.”
“And we need many gods.”
“그리고 우리도 그럴 필요가 있다는 거죠.”
“The sort of primary motivating forces that are behind your studies and sort of thinking over the years?”
“당신이 오랜 시간 동안 연구하고 사고하는 데 있어 근본적인 동력이 무엇인가요?”
“So, it’s brutally and horribly simple—just to help me get through the day.”
“잔인하고도 무섭도록 단순합니다—그저 하루를 버티기 위해서예요.”
“It is extremely personal and motivated entirely by a desire for self-help.”
“이것은 매우 개인적인 것이며, 오로지 자기 자신을 돕고자 하는 욕망에서 비롯되었어요.”
“If it helps anybody else—”
“만약 그것이 다른 누군가에게도 도움이 된다면—”
“I mean, people start to say things like, ‘Gosh, you must have studied a lot. How did you know that about me?’”
“사람들은 저에게 이렇게 묻기 시작하죠. ‘와, 정말 많이 공부하셨나 봐요. 어떻게 제 이야기를 그렇게 잘 아세요?’”
“And I’m like, ‘Frankly, I have no clue.’”
“그리고 저는 솔직히 말하죠. ‘사실 저도 몰라요.’”
“It’s just—I was just doing my stuff.”
“그냥 저는 제 할 일을 하고 있었을 뿐이에요.”
“And it’s beautiful and lovely that it should echo into somebody else.”
“그리고 그것이 누군가에게 울림이 될 수 있다면, 그건 아름답고 멋진 일이죠.”
“But that’s not how I started. It started always with me.”
“하지만 저는 그런 생각으로 시작한 게 아니었어요. 언제나 저 자신을 위한 것이었어요.”
“And, you know, I became a writer—I wrote my first book when I was 22.”
“그러다 작가가 되었어요. 첫 책을 쓴 게 22살 때였죠.”
“And it was not—you know, it—it was a—it grew out of writing a diary.”
“그리고 그건, 뭐랄까… 그냥 일기 쓰는 것에서 자연스럽게 발전한 거였어요.”
“It grew out of trying to solve my own confusions.”
“제 자신의 혼란을 해결하려는 시도에서 비롯된 것이었죠.”
“It was a way of trying to stay afloat—emotionally, psychically.”
“그건 감정적으로, 정신적으로 가라앉지 않기 위한 방식이었어요.”
“And it had nothing to do with a career in that sense.”
“그리고 그 당시엔 그것이 직업과는 전혀 관련이 없었어요.”
“Later on, it became some of the accoutrements of a career.”
“그 후에야 비로소 직업적인 요소들이 덧붙여졌지만요.”
“But, as I say, it began—and it still is to this day—an emotional necessity.”
“하지만 제가 말씀드렸듯이, 그것은 처음부터, 그리고 지금도 여전히 저에게 감정적으로 꼭 필요한 것이에요.”
“I would say it’s a way of coping.”
“저에게는 삶을 버티는 방식이죠.”
“I am—I’m an intellectual.”
“저는—지적인 사람이에요.”
“Not in some fancy, fancy thing.”
“그렇다고 무슨 고상한 걸 추구하는 건 아니고요.”
“But I’m intellectual in the sense that I intellectualize pain.”
“그보다는, 저는 고통을 지적으로 분석하는 사람이라는 의미에서 그렇습니다.”
“You know, if something horrible happens, my immediate impulse is not to jog, or drink, or do all sorts of things people do.”
“그러니까, 끔찍한 일이 생기면, 제 즉각적인 반응은 조깅을 하거나, 술을 마시거나, 사람들이 흔히 하는 방식으로 스트레스를 푸는 것이 아니에요.”
“But it’s to try and think about—‘Well, what is this thing?’”
“대신 저는 이렇게 생각하려고 해요. ‘이건 도대체 무슨 의미지?’”
“What lesson is there here?”
“여기서 배울 교훈은 뭘까?”
“And that lesson is being fished out for me.”
“그리고 그 교훈은 우선 저 자신을 위한 것이죠.”
“If it helps anybody else—fantastic. But I do it anyway. That’s how I operate.”
“만약 그것이 다른 사람에게도 도움이 된다면, 멋진 일이겠지만, 저는 어차피 이 방식을 고수할 거예요. 저는 이렇게 작동하는 사람이니까요.”
“How much better have you become at understanding yourself over the years?”
“오랜 시간 동안, 자신을 이해하는 능력이 얼마나 나아졌다고 생각하세요?”
“How much have you been able to nudge those fundamental physics of your system?”
“자신의 내면 시스템이 작동하는 근본적인 법칙들을 얼마나 바꿀 수 있었나요?”
“I’ve made some progress—yeah, definitely made some progress.”
“어느 정도 진전이 있었어요. 확실히 변화가 있었죠.”
“And I’d say that I understand myself more than I’ve been able to change myself.”
“그리고 저는 제가 스스로를 변화시킨 것보다 더 많이 이해하게 되었다고 생각해요.”
“And one could go, ‘Oh, so nothing’s really changed?’”
“그러면 어떤 사람들은 이렇게 말할 수도 있겠죠. ‘아, 그럼 결국 아무것도 변한 게 없네?’”
“But understanding is a thing as well—that is its own legitimate thing.”
“하지만 ‘이해’ 자체도 중요한 변화예요. 그것만으로도 충분히 의미 있는 일이죠.”
“You know, do I always make wise choices now? Am I always, you know… no.”
“그러니까, 제가 이제 항상 현명한 선택을 하느냐고요? 항상 완벽하냐고요? 아니요.”
“But I do understand things better—yes.”
“하지만 확실히 더 잘 이해할 수 있게 되었어요.”
“I think I’ve also better understood my unconscious.”
“그리고 저는 무의식을 더 잘 이해하게 되었어요.”
“And by that, I mean, you know, it’s also what people call their gut instinct.”
“그리고 여기서 말하는 무의식이란, 사람들이 흔히 ‘직감’이라고 부르는 것이기도 해요.”
“I do think that there are things we know without fully knowing why we know them or how we know them.”
“우리는 가끔 어떤 것들을 알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것을 왜 아는지, 어떻게 아는지 알지 못하는 경우가 있어요.”
“And to allow a little bit more for that slightly mysterious form of knowing.”
“그리고 저는 그런 신비로운 형태의 ‘앎’을 좀 더 존중하게 되었어요.”
“You know, we were talking about sentence completion exercises—”
“우리가 앞에서 문장 완성 연습(sentence completion exercises)에 대해 이야기했죠.”
“Where you’re completing a sentence, you’re letting something bubble up from your unconscious.”
“그 연습을 하면, 무의식에서 무언가가 자연스럽게 떠오르게 돼요.”
“I try and do that more and more.”
“저는 그런 방식의 사고를 점점 더 많이 시도하고 있어요.”
“I ask myself simple questions like, ‘What am I really feeling here?’”
“그리고 저는 스스로에게 단순한 질문을 던져요. ‘내가 지금 진짜 느끼고 있는 감정은 뭘까?’”
“Don’t overthink this—what’s really going on?”
“너무 깊이 생각하지 말고, 그냥 솔직하게—‘지금 내게 실제로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지?’”
“You know, you’ve met this person—what do you really feel around them?”
“예를 들어, 어떤 사람을 만났을 때—‘그 사람을 만났을 때 내 감정은 뭐지?’”
“Just say it—say it to yourself.”
“그냥 솔직히 말해봐 말해보자"
“Don’t, you know—what do you feel?”
“머리로 분석하려 하지 말고, 그냥 네 감정을 느껴보자”
“And then—and then, holding on to that.”
“그리고 그 감정을 붙잡고 있는거죠”
“That something quite important has gone on there.”
“그 순간, 내면에서 꽤 중요한 무언가가 일어나고 있다는 걸 알 수 있습니다.”
“That your answer captures something that a more thought-laden answer might not.”
“그리고 그 즉각적인 대답이, 깊이 생각해서 내놓은 대답보다 더 본질적인 무언가를 담고 있을 수도 있어요.”
“And trusting that a bit more.”
“그리고 그 감각을 조금 더 믿어보는거죠”
“In love, in work, in friendship, in areas of daily life.”
“사랑에서든, 일에서든, 우정에서든, 일상 속 모든 영역에서.”
📚 알랭 드 보통 저서
-왜 나는 너를 사랑하는가
https://link.coupang.com/a/cjCy8r
-불안
https://link.coupang.com/a/cjCy4c
'스크립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ENG/KOR] “하루 10분” 회복력은 이렇게 만들어진다. 불안하고 스트레스에 잠식당하는 당신이 알아야 할 뇌 이야기 | 웬디 스즈키 (1) | 2025.03.30 |
---|---|
[ENG/KOR] 유년기 감정이 지금의 인간 관계를 만든다. 관계의 뇌과학 저자 인터뷰 | 니콜 르페라 (1) | 2025.03.23 |
[ENG/KOR] 그들의 감정은 내 몫이 아닙니다 | 멜 로빈스 (0) | 2025.03.14 |
[ENG/KOR] 시크릿 끌어당김에도 알려주지 않는 꿈을 이루는 법 | 에밀리 발세티스 박사 (1) | 2025.03.12 |
[ENG/KOR] 영어공부, 시험공부, 독서에 모두 적용가능한 효과적인 학습 전략 | 조던피터슨 (0) | 2025.03.10 |